-
-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 - 인공 지능이 흉내 낼 수 없는 인간다움에 대하여
김재인 지음 / 우리학교 / 2024년 10월
평점 :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김재인/우리학교)
학생들이 읽을 만한 인공 지능 관련 도서가 나와서 참 반갑다. 챗GPT의 새로운 버전이 나올 때마다, 그리고 그림과 음악을 하는 다채로운 인공 지능이 나올 때마다 아이들과 그에 대해서 나누고 고민한다. 인공 지능이 인간을 능가할 수 있는지, 그렇다면 어떤 부분을 능가할 수 있는지 하는 고민부터, 인공 지능이 인간을 대체할 수는 있는지, 인공 지능이 흉내낼수 없는 인간만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고민한다. 그것이 앞으로 아이들이 나아가야 할 길임에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 책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는 그런 고민에 대해 꽤나 명쾌한 답을 내려준다. 철학자인 김재인 교수가 쓴 이 책은 인공 지능의 발전과 특징을 통해, 인공 지능이 할 수 있는 것과 아직 어려운 것, 그리고 결코 해낼 수 없는 것은 무엇인지를 아주 쉽게 알려준다.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드는 여러 사례와 예시, 에피소드는, 각 꼭지마다 나오는 어려운 주제를 무척 쉽게 이해하게 돕는다.
이 책은 인공 지능의 발전과 한계를 통해,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본질적 역할을 강조한다. 책의 초반에는 생성형 인공 지능에 대해서 알려주면서, 인공지능이 제시하는 여러 결과물의 빈틈이 무척이나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인간의 언어를 제대로 학습한 인공 지능이지만, 인간의 모든 세계가 언어로만 되어 있지 않기에 인공 지능이 인간의 세계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책의 중반에는 인공 지능에 비추어 인간의 특징을 설명한다. 언어의 맥락을 이해하는 인간, 자의식을 가지고 판단을 내리며, 가치를 부여하는 인간다운 면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준다.
후반부에서는 인공 지능이 발전하면, 우리는 무엇을 배우고 고민해야 하는지 생각하게 만든다. 아무리 일반 인공 지능이 발전한다고 해도, 인간다운 삶, 사고방식, 의식을 갖기 위해서는 우리는 여전히 배우고 익히고, 생각하고 고민해야 한다. 창의적인 발견과 사유는 반드시 외우고 익힌 공부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공 지능이 나오면, 이제 공부는 끝, 지긋지긋한 글쓰기도 안녕일 줄 알았겠지만, 인공 지능의 발전과 별개로 우리가 항상 배우고 익히고 글을 통해 사유해야 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그 이유는 너무나 단순하게도,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스스로 목적을 갖고 생존하며, 삶을 살아가는 생명체다. 인공 지능과 로봇은 스스로의 삶에 목적을 부여할 수 없고, 오직 인간만이 그 목적을 부여하기에, 인공 지능은 인간처럼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될 수 없고 오로지 패스트 폴로워(Fast Follower)가 될 뿐이다.
다 읽고 생각을 정리하면서 돌이켜 보니, 이 책은 인공 지능에 대한 책인 척하면서, 결국 인간이 무엇인지를 사유하게 하는 철학책이었다. 인공 지능을 통해서, 역설적으로 우리는 왜 사람인지를 알게 한다. 그 어떤 기계도 할 수 없는 일, 말의 맥락을 이해하고 상대의 표정을 통해 감정을 느끼고 공감하며, 어떤 일에 의미를 부여하고 가치 판단을 내리는 일, 평가하고 스스로에 대해 고민하는 일, 너무나 인간적인 그 일을, 우리가 별로 배우지 않아도 당연히 해내는 그 일들이 우리를 인간답게 만드는 것이다. 거기서 조금 더 나은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배우고 익히며, 세상이 정해놓은 틀을 조금씩 넘어서며 발전하는 것, 그것이 우리 삶의 목적인 것이다.
초등 고학년에서 중학생까지, 두루 추천할 만한 책이다. 인공 지능에 대해서 함께 나누고 고민하고 싶은 선생님과 어른들이 읽어도 좋다. 그저 머리로만 생각하지 말고, 철학자의 깊이 있는 사유를 통해, 인공 지능과 인간다움에 대해서 깊이 사유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2024.10.22
*본 서평은 ‘우리학교’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자유롭게 작성한 글입니다.
#인간은아직좌절하지마
#김재인
#우리학교
#인공지능
#챗지피티
#추천도서
#초등권장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