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 치료제 혁명 - 제3의 신약 디지털 치료제의 모든 것!
하성욱.김유영 지음 / 클라우드나인 / 2022년 8월
평점 :
디지털 치료제? 상당히 생소한 용어이지만 또한 어떤 것일지 매우 궁금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는데 한마디로 환상적인 치료제가 될 것이고 기존의 아날로그 치료제를 보완하면서 함께 의료방면에서 치료뿐만 아니라 예방, 방지에도 엄청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강력한 무기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디지털 치료제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스마트폰이라는 휴대폰이 나오고 아울러 웨어러블 스마트키기들이 개발되면서 등장한 치료제라고 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존의 의약품의 경우에는 임상에도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고 시간도 엄청나게 소요되면서 임상과정에서의 리스크가 상당한데 비해 디지털 치료제의 경우 비록 임상이 필요하지만 비용 절감 및 시간 절약, 그리고 데이터의 지속적인 보유, 관리가 가능하다는 매력점을 가지고 있더군요.
한마디로 디지털 치료제의 경우 하나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라고도 볼수 있는데 병원에 가지않고도 평상시에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자신의 신체리듬이나 생활습관을 저장, 기록하여 질병의 예후를 미리 판단할수 있고 아날로그 치료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더욱 효과를 본다고 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나 제게 놀라웠던 것은 치매나 우울증등 아직 인류가 정복하지 못한 신경질환이나 정신질환 분야에서 디지털 치료제가 많은 도움을 줄수 있다는 것이었어요. 게임을 이용해서 흥미를 가지면서 정신치료를 받을수 있다고 생각만해도 엄청난 일이 아닐까요?
그리고 우리나라보다 미국등의 다른 나라에서 디지털 치료제의 실제 적용 사례가 앞서가고 있더라구요. 코로나19로 인해 더욱 이런 디지털 치료제로의 전환이 가능한 환경은 마련되어 있고 외국에서는 활발하게 제약사와 디지털 치료제 개발기업의 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져 있더군요. 우리나라의 경우도 바이오기업이 당당하게 세계에서 유명세를 내고 있는데 디지털 치료제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기업이 꼭 조만간 나올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한마디로 제3의 신약이라고 할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의 경우 기존 치료제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정부의 가이드라인이나 임상관련에서는 아직도 논의가 필요하고 협의를 요하는 부분이 있지만 이런 부분은 디지털 치료제의 효과가 검증이 다각화되면 해결이 될 것 같습니다.
집에서도 병원을 가지않고 내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로 나의 신체리듬을 분석하고 어떤 질병의 징후가 보이는지를 파악해서 의사로부터 치료제를 받을수 있다면 특히 거동이 불편한 어른들이나 제대로 의사표현을 못하는 아이들에게 더욱 디지털 치료제는 매력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한마디로 의료에서도 혁명이 일어나고 있고 이런 혁명이 인류의 건강과 번영에 제대로 쓰일수 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