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을 사는 여자, 10년 후를 사는 여자 - 계속 성장하는 이들은 알고 있는 멀리 보는 연습
아리카와 마유미 지음, 송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가끔씩 여자들의 자기관리에 관한 책을 읽게된다.

내 자신이 너무 나태한건 아닌지.. 지금 이대로가 괜찮은건지.. 걱정스러울때가 있다.

그럴때 스스로 성공한 여자들. 성공이 아니더라도 자기관리를 잘 하는 여자들을 만나면 조금 자극이 된다.

물론 그들처럼 책을 쓰거나 잘 해나갈 자신은 없다. 

하지만 적어도 '내가 지금 이러고 있을때가 아니구나..' 싶은 반성을 하게 만들어준다.

<10년 전을 사는 여자, 10년 후를 사는 여자>의 저자 아리카와 마유미는 <서른에서 멈추는 여자, 서른에서 성장하는 여자>의 저자이다.

그때도 그 책을 읽고 '내가 지금 이러고 있으면 안되는데..' 라는 반성을 하게끔 해줬다.

하지만 여전히 나는 그자리에 멈춰있다는걸 알았다. '상황이 그래서 어쩔 수 없었어..'라고 변명해보지만 결론은 그랬다.

 

 

그녀역시 많은 일을 하면서 살았다. 서른넘은 나이에도 여전히 갈팡질팡하며 자신의 미래를 그리지 못했다고 한다.

20대 시절에는 적당히 일을 하다 결혼을 할 생각이었지만 결혼을 실패하고 그로인해 아무것도 남은것이 없다는걸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때부터는 남자들처럼 열심히 일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었고 일을 그만두고 여행을 떠나기로 한다.

서른이 넘어서 선택한 여행은 그냥 떠나고 싶어서라는 이유가 아닌 자신이 할 수 있는걸 하기 위해서이다.

어리지도 않고 그렇다고 대단한 전문성이 있는것도 아니어서 남들과는 다른 시각을 갖는 것이 필요했다.

좀더 멀리 세상을 바라보며 자신만의 차별화를 만들기 위해서 떠나기로 한것이다.

그리고 평소 하고 싶었던 글을 쓰는 일을 하기로 했다. 직접 사진 찍는법도 배우고 글도 쓰면 좋을 것 같았다.

하지만 처음 시작한 일은 원하던 글을 쓸 수 있는건 아니었다.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일을 하고 나중에서야 진짜 자신이 뭘 해야하는지를 꺠닫게 되었다고 한다.

자신처럼 살아온 여자들의 이야기. 그들도 뭔가 다른 점을 발견할수 있다는 사실을 깨우쳐주고 싶어 글을 쓰기 시작했다.

많은 일들을 해왔고 그 경험들이 지금 살아가는 여성들에게 뭔가 자극을 줄 수 있을 것 같아 글을 쓰기 시작한것이다.

 

 

그렇게 지금의 그녀가 살고 있다. 여성들에게 많은 자극을 주고 있다.

지금 현실이 예전의 그녀의 현실보다 더 각박하지만 그래도 그 안에서 뭔가 찾아내야 한다고 말해준다.

일을 하고 있는 여성도 일을 하지 않은 전업주부도 그 안에서 뭔가 찾아야 하고 나만의 무언가를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지금의 나를 대체해주는 사람은 많다. 하지만 전문성을 갖게 된다면 어디에서도 자신을 찾을 거라는 사실.

그게 쉽진 않지만 미래를 내다보며 조금씩 준비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하지만 여자에게는 가장 큰 걸림돌이 있다.

누구나 여성이라면 공감하는 이야기이다. 결혼을 할 것인가? 이대로 혼자 살것인가.

결혼을 하고 나면 아이를 낳아 키우는것부터 시작해서 육아까지.

일을 포기하고 아이를 낳아 키우면 자신의 전문성은 그대로 단절되고 다시 회사로 복귀하기도 힘들다.

쉬는 동안 자신의 커리어는 없어지고 새로 시작하게 된다. 그렇다고 아이를 포기하면 또 많은 행복이 사라질 것이다.

뭔가 하나를 가지려면 하나를 놓쳐야 하는 상황이 오게 된다.

결혼을 하지 않고 평생 혼자서 살아가는 것도 고민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어떤 선택을 하든지 분명 고민의 순간은 온다. 

이럴때 어떻게 하는게 현명한 선택인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건 멈추지 말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스스로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살고 있어도 내가 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아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사회로 나갈 수 있도록 준비해 놓는 것이다.

어떠한 것이든 좋다. 기왕이면 나만이 할 수 있는 전문성을 준비해 놓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오랜 세월을 살아갈 것이다. 그리고 언젠가는 누군가에게 의지하고 싶어지는 순간이 올 것이다.

혼자 사는 사람이라면 혼자 사는 사람대로 결혼을 했다면 남편과 가족에게 의지하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누군가에게 의지하고 살아간다는 생각보다는 스스로도 일어설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다.

이혼을 생각하며 결혼하는 사람은 없겠지만 그만큼 자신을 위한 준비도 잊지 말아야 한다는걸 알려준다.

여전히 미스테리인것 같다. 모두들 뭔가를 하고 싶어도 무엇을 해야할지 몰라 방황하게 된다.

여전히 '이대로는 아닌것 같다'는 생각이 머리속에서 떠나지는 않을 것이다.

그녀가 하는 말이 이해가 안되는건 아니지만 아직은 더 많은 생각이 필요한것 같다.

하지만 중요한건 현재와 과거의 시간속에 머물면 안된다는 사실이다. 지금보다는 미래를 내다봐야한다는 사실을 일꺠워준다.

그리고 그 미래를 내다볼 줄 알아야 진짜 현명한 여자가 될 거라는 사실. 그 사실은 변하지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