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와 거기 - GQ 에디터 장우철이 하필 그날 마주친 계절과 생각과 이름들
장우철 지음 / 난다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와 거기'. 제목이 맘에 든다. 여기에는 무엇이 있고 거기에는 무엇이 있을까? 계절의 변화에 따라 작가는 사진을 보여주고 글을 쓴다. 잡지 'GQ'의 에디터로 처음 책을 펴냈다. 그의 글을 좋아하는 사람과 좋아하지 않는 사람, 그의 사진을 좋아하는 사람과 좋아하지 않는 사람. 내가 느낀 그의 책은.. 나의 취향이 아니였다. 사진과 글이 있는 책을 좋아하지만 흐름이 이어지지 않는 책을 좋아하지는 않는다. 이 얘기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갑자기 다른 이야기가 시작된다. 사진에세이가 거의 대부분이 그런 방식으로 편집되어 있긴 하지만 사진에세이에서 사진을 통해 말해주는 사진에서 느낄수 있는 감성부분도 내게는 좀 부족했다. 그래도 이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다. 이 책을 바라보는 지극히 개인적인 나의 느낌이다.

 

 

 

총 5부로 나눠져 있는 '여기와 거기'.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사진은 여러 곳을 여행하면서 찍은 사진들이 섞여 있다. 나라를 나누지 않았고 지역을 나누지 않았다. 비슷한 느낌의 사진들이 나열되어 있다고 해야하나? 인물사진보다는 풍경의 사진들이 주로 찍혀있다. 그리고 글이 군데 군데 적혀있다. 누군가는 그의 글을 좋아할수도 있고 누군가는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건지 라는 생각이 들수도 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이 책은 지극히 개인적인 에세이다. 누군가에게 공감을 얻으려고 하려는 책도 아니고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고자 한 책이다. 그리고 사람들의 인터뷰도 중간중간 실려있다. 그가 질문을 한다. 그리고 상대가 답을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가수 이소라, 이상은, 태양 그리고 사진작가 권부문,  구례에 사는 농부 홍순영의 사람이야기가 실려있다.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가 담겨 있는 '여기와 거기' 여러 곳을 여행한다. 그곳은 서울일수도 있고 부산일수도 있다. 파리 일수도 있고 일본일수도 있다. 이곳저곳을 여행하면서 사진을 찍는다. 그리고 그곳에서 느끼는 생각들을 적는다. 꼭 그 풍경에 관한 느낌은 아니다. 그냥 그 순간 생각나는 자신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엄마와 함께 평양으로 여행을 가서 사진을 찍기도 하고, 계절에 따라 어울리는 곳을 찾아가 그 곳의 계절을 담아온다. 그가 느끼는 단어들을 정리해본다. 끄적대는 말들. 낙서일지도 모르는 짧은 글들일지 모르지만 그가 느끼는 단어들을 정리해본다. 그 단어의 정의라기보다 그 단어에 관한 이야기와 생각. 예를들어 여름방학하면 여름방학때 있었던 이야기를 적어본다. 김추자와 김정미라면 그가 생각하는 김추자와 김정미에 관한 생각을 적는다. 때로는 길게 또 때로는 짧게 자신이 느끼는 모든 이야기를 적어본다.

 

 

 

사람들과의 짧은 인터뷰. 인터뷰를 통해 사람을 알아간다. 대화를 나누면서 그 사람을 알아가는것. 스타일수도 있고 우리주변의 평범한 사람일수도 있다. 인터뷰를 하는 동안 그 사람은 특별한 사람이 되어간다. 에디터답게 인터뷰의 형식은 자유롭다. 그리고 평범하진 않고 특별하다. 그가 이야기하는 여기와 거기. 그곳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곳일수도 있고 다른 곳일수도 있다. 어떤 한 장소일수도 있고 그 장소에서 만나는 사람들일수도 있고 그 장소에 있는 풍경. 그 계절일수도 있다.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의 그의 첫번째 사진 에세이 '여기와 거기' 비록 내 취향의 이야기는 아니였지만 타인의 개인의 취향을 느껴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