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서울을 걷다
권기봉 지음 / 알마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처음 읽게 접했을땐 서울 여행에 관한 책인줄 알았다. 서울에서 태어나 지금까지도 서울에서 살고 있지만 그리 크지 않은 서울 곳곳도 잘 몰랐다. 아직 안가본곳이 더 많고 서울에 대해 묻는다면 어떤 대답을 해줘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가던 곳만 갔었고 있었던 곳에서만 지냈다. 이 책은 정확이 이야기하자면 여행에 관한 책은 아니다. 혹시라도 '다시 서울의 걷다' 라는 의미에서 서울 여행에 관한 책이라고 생각했다면 이 책을 덮을지도 모른다. 이 책은 서울을 이야기해준다. 오랜 역사속의 서울. 한국사에 있는 서울의 흔적들을 되돌아 보는 시간을 갖게 해준다.
 
 
 
국사시간에 한국사에 대해서 공부한적이 있다. 지금도 아니지만 그때는 그렇게 국사가 싫었다. 다 지난 이야기를 왜 알아야 할까? 라는 생각없는 생각을 했었다. 오늘날이 있다는 것은 과거를 부정할 수 없다. 미래가 중요하지만 우리가 가지고 있는 역사를 알아야 실수는 반성하며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이 책은 그런 서울의 과거 모습을 보여준다. 내가 태어나기도 훨씬 전. 부모님이 태어났을때쯤 이라고 해야하나? 그때 당시의 서울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서울을 알아가는 흔적여행이 시작된다.
 
 
 
박정희 대통령 당시의 모습, 지하철이 처음 생기게 되기까지의 여러 우여곡절들, 어느 한순간 갑자기 강남의 집값이 폭등하게 된 이유, 하나였던 궁들이 나뉘게 된 씁쓸한 흔적들, 개발하기 급급해서 많은 사건 사고들이 터졌던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등의 가슴아픈 우리의 현실들, 조용했던 거리들이 하나둘씩 채워져 가는 서울의 모습, 개발로 인해 사라져가는 우리의 문화유산들, 잊어서는 안될 우리의 많은 역사. 그건 서울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사이기도 하는 일들이었다. 어쩌면 잊고 지냈던 우리 한국사의 모습. 그런 서울의 곳곳의 모습이 이 책 한권을 읽고나니 많은 생각을 하게끔 해준다.
 
 
 
그냥 지나쳐버릴 서울의 모습이었다. 그저 이쁘기만 하고 점점 좋아지는구나 라고만 생각했다. 하지만 그로인해 사람들이 다치고 필요없는 부분들로 예산이 부족하기도 하고 잘못 만들어진것에 대한 불필요한 것들까지 아직 서울이 완벽하다고 말하기에는 아픈 곳들이 많았다. 특히 보여주기 위한 서울의 모습을 위해 그때당시에 지어진 건물들과 다리들은 부실사고로 큰 상처를 주었다. 모두들 남의 탓으로 돌리고 자신의 잘못이 아닌것처럼 어영부영 넘어가려는 모습들로 인해 다쳐서는 안될 시민들에게 상처를 주었다. 그리고 그때서야 내실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다 지나고 나서 반성하는 모습이었다. 숭례문도 한사람의 잘못으로 우리의 문화재를 결국 훼손시키고 말았다. 어쩌면 그건 한사람의 잘못이 아닌 우리모두의 잘못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본다.
 
 
 
지금의 서울은 20년전과 너무 다르다. 유럽의 어느나라를 가도 50년전과 다른 모습은 거의 없다. 하지만 우리는 개발에 힘써온탓에 오랜 역사가 무색할만큼 불과 몇십년전과도 너무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시간이 더 지나게 되면 점점 그 모습이 사라져 우리의 후손에게 어떻게 우리의 역사를 알려줄지 가끔 걱정스러울때가 있다. 오랜 역사를 가진 나라이지만 그런 옛모습을 찾을 수 없어 씁쓸해지는 순간이었다. 외국것을 많이 들여오고 콘크리트와 시멘트로 뒤덮어 버린 건물들, 그래서 아름답지 못한 서울을 바라보니 안타까웠다. 잠시 다녀왔던 파리나 독일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고 전통이 있지만 우리는 그 모습을 거의 찾을 수가 없다. 지금이라도 지켜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된다. 서울을 다시 돌아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어느 나라보다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서울. 그리고 그 서울에는 우리의 옛날이 있다. 반성하는 시간을 가지며 나는 서울을 다시 돌아보기로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