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딩으로 리드하라 - 세상을 지배하는 0.1퍼센트의 인문고전 독서법
이지성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읽기시작했을때 처음에는 좋아하는 장르의 책을 읽었다. 지금은 좀더 다양한 장르의 책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 책 편독이 심하면 좋을것 같지 않고 다방면의 이야기도 알고 싶기도 했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고전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인터넷에서도 종종 관련 기사를 읽기도 했고 여기저기 책카페를 돌아다니다 보면 고전에 대한 소식을 듣기도 한다. 그리고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것은 인문고전을 읽어야 할때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천재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다. 사람답게 살기위해서.. 사랑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다. 우리의 잠자고 있는 두뇌를 깨워야 한다. 그래야 나는 앞서 갈수도 있고 나를 사랑할 수 있고 또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지성은 인문고전 읽기의 필요성을 거듭강조한다. 그의 책을 많이는 아니지만 몇권정도 접한적이 있다. 하지만 그때 당시 그의 책을 읽었을때는 그냥 별뜻없이 읽었다. 마음깊이 깨닫는게 있지는 않았다. 자기계발서가 그렇다. 알고 있는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그 이야기를 실천하기가 어렵기때문에 우리는 알면서도, 읽었으면서도 다른 삶을 살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행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좀더 어렸을때 책이라는걸 접했으면 좋았을걸 이라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그랬다면 난 뻔한 삶을 살고 있었을까? 아니면 좀 더 활동적인 사람이 되어 다른 인생을 살고 있을까? 물론 지금도 늦지 않았다고들 말한다. 알고 있지만 10년전에 알았더라면 이라는 생각을 버리기가 쉽지는 않다. 아무 제약없이 할 수 있었던 그때와 지금은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 물론 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나를 지지해주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걸 알기에 해보기도 전에 쉽게 포기해버리는것이다. 무튼 그렇게 머리속이 복잡할때 이지성의 '리딩으로 리드하라'를 읽게 되었다. 좀 다른 세상을 만난 느낌이었다. 사실 어렵게 느껴졌다. 그가 말하는 그 깨달음이 무엇인지 직접 겪어보지 않는다면 표현할 수 없을것 같았다.

 

천재들을 보면 그들에게는 공통된 점이 있다. 바로 인문철학을 읽었다는것이다. 인문고전을 읽었다는것이다. 물론 인문고전을 읽지 않고 천재가 된 사람도 있겠지만 그들에 비해 인문고전을 읽은 천재들은 뭔가 다르다는게 느껴진다. 마음이 있다고 해야하나? 그들은 자신을 위해서 읽은 것이 아니다. 자신과 더불어 너와 우리를 위해서 살고 있다는게 느껴졌다. 우리가 알고 있는 천재들 중에는 태어났을때부터 천재인분들은 극히 드물다. 많은 사람들이 그들을 포기하기까지 했다고도 한다. 하지만 다른 교육을 통해 그들의 두뇌를 깨어주었다. 그리고 그들은 천재가 되었다. 음악의 천재 바흐, 헨델, 베토벤, 바그너 등이 있고 수학의 천재 데카르트, 파스칼, 뉴턴, 라이프치히 등이 있고 미술의 천재 다빈치, 피카소, 로댕, 세잔, 샤갈 등 이런 천재들은 중 고전을 사랑하지 않은 사람은 없었다고 이야기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치원 황상과 연암 박지원도 처음에는 문맹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들은 인문고전을 접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깨달음을 얻어 천재가 되었다. 인문고전이 현저히 떨어지는 인간의 두뇌를 변화시킬수 있는지 확신하기는 어렵지만 아이작 뉴턴도 전교 꼴지에서 인문고전을 만나 과학의 역사를 새로 썼고, 윈스터 처칠도 꼴지만하다 스물세살에 인문고전 독서를 시작하고 난 후 2차 대전을 승리로 이끌고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토머스 에디슨도 인문고전 독서후 발명왕이 되어 지금까지도 현대인들에게 인정받은 천재로 남아있다.

 

하지만 인문고전을 그냥 읽는다고해서 그들처럼 천재가 되는것은 아니다. 제대로 읽는것이 중요하다. 단순한 지식은 인간을 변화시키지는 못한다. 변화는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 지혜가 있을때 생겨나는것이라고 말한다. 그 지혜를 바로 인문고전을 통해서 얻을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학 대학에서는 인문학 강의를 하고 그들에게 인문고전을 읽게하고 토론을 한다. 우리나라도 80년대까지만해도 인문고전을 읽는 대학생들이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요즘에는 논술을 위한 공부나 시험을 위한 공부만 하기에 머리가 좋을지는 몰라도 천재가 나올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그들은 지혜를 발견하지 못했기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대기업의 CEO들은 모두 인문고전을 읽는다. 삼성의 이병철회장도 현대의 정주영회장도 모두 인문고전을 사랑한 사람들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독서를 통해 우리나라 최고의 기업으로 클 수 있었고 세계에서 인정받는 기업이 되었다.

 

인문고전은 되도록 원서를 읽는게 좋다. 물론 어렵다. 책 1권을 때려면 1년은 더걸린다. 몇년 몇십년이 걸릴지도 모른다. 옛날의 천재들은 그렇게 원서를 읽으려 고대 그리스어, 아랍어를 배워가며 고전을 읽었다. 그래야 진정한 깨달음을 얻을수 있기때문이다. 왜 그런건지.. 왜 그렇게 된것인지.. 스스로 꼬리에 꼬리를 물며 질문하고 답하며 새로운 물음을 위해 또 다른 고전책을 접하면서 지혜를 얻어가는 것이다. 그래서 그 지혜를 얻기란 쉽지 않다. 천재가 되는게 쉽지 않은 길만큼 그 깨달음을 얻기가 쉽지 않음을 말해준다. 하지만 그만큼 필요하다는걸 거듭강조한다.

 

처음에는 통독하고 다음에 정독을 한다. 그리고 필사를 하고 자신만의 의견을 갖는다. 그리고 인문고전의 연구가와 토론을 시켜야하는것이다. 하지만 아이들에게 이런 가르침을 하기 위해서는 동기를 부여해주어야 하고 단계별로 성과를 잘 해내었다면 칭찬해주고 보상해주어야한다. 인문고전은 교육을 받는 환경도 중요하다. 무조건 읽게하면 지치게 되고 오히려 거부감이 들지도 모른다. 처음에는 실컷 놀면서 교육받을수 있도록 해주어야하고 다음으로 사랑과 격려가 바탕이 된 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리고 하나님을 경회하는 분위기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이야기 한다.

 

최초의 경제학자의 그 근원을 보면 인문철학에서 나왔다. 인문철학을 통해 경제의 두뇌를 깨우게 된 것이다. 유럽의 유명한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 케인스, 하이에크등 그들이 사고하는 두되를 가진 것은 모두 인문철학을 통해서이고 그로인해 경제학을 바라보게 되고 유명한 경제학자가 된 것이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전설적인 투자자들도 모두들 독서광이었으며 최고수준의 인문고전의 독서가였다는 사실이 인문철학의 중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철학자들이 경제학을 만들었다. 경제학자는 군중과 다르게 생각하는 철학자의 사고방식을 가진사람들이다.  그렇게 인문철학이 중요하다는 사실 그로 인한 깨달음으로 경제도 바라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해준다.

 

하지만 무조건 많이 읽는다고 천재가 된다는것은 아니다. 이해할수 있을때까지 읽고 읽고 또 읽어야 한다. 읽었으면 필사도 하면서 자기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해설서는 안된다. 그건 자신의 생각이 아닌 남의 생각을 받아들이는것이다. 옛조상들의 생각을 다른 사람의 생각을 통해서 얻는다는것은 생각하지 못하고 두되를 깨우는 일이 아니다. 스스로 해야만 한다.  요즘들어 왜들 논어를 읽으려 하는지 이해할수 있을것 같다. 옛조상에서 우리는 삶의 지혜를 얻게된다. 그 한 권을 읽기 위해서 그냥 읽는게 아니라 깨닫고 지혜를 얻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걸릴지도 모른다. 지금 나는 천재가 되려고 인문고전을 읽으려는 생각은 없다. 하지만 사람이 살아가는 삶에 대한 깨달음을 얻고 싶어 인문고전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앞으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당장에 그 효과가 들어나지 않을지 모르지만 지금부터 미래를 위해 인문고전을 통한 지혜를 얻는다면 좀더 밝은 미래가 앞으로 태어날 자손들에게 펼쳐질것 같다. 그러니 이제라도 우리도 인문고전 교육의 필요성을 모두가 깨닫고 교육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