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켈러 - A Life - 고요한 밤의 빛이 된 여인
도로시 허먼 지음, 이수영 옮김 / 미다스북스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헬렌켈러. 어린시절 세계전집에서 읽었던 기억이 난다. 아주 어린시절부터 앞을 못보고,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했던 소녀의 이야기. 하지만 그 이외의 기억은 없다. 아주 어린시절이후로는 만난적이 없고 그저 그랬던 소녀가 있었는데 애니라는 선생님을 만나게 되고 그때부터 다른 인생을 살아오게 된 이야기정도로만 기억하고 있었다. 그러다 헬렌켈러의 이야기를 다시만나게 되었다. 그녀의 삶이 담긴 이야기. 소설처럼 이야기가 진행되지않고 제 3의 입장에서 그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헬렌켈러보다 전에 앞을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는 소녀의 이야기가 먼저 나온다. 물론 그녀도 그녀를 가르치는 좋은 선생을 만나 그전의 삶보다 훨씬 훌륭한 삶을 살다가셨다. 하지만 그녀보다 헬렌켈러에게 주목하는 이유는 그녀는 자신의 단점을 잘 극복해 내었고 그보다 더 훌륭한 삶을 살다갔기때문에 우리가 기억하고 있는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는 사람들은 어디든 있다. 하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애를 어떻게 가지고 살아가는지가 그 사람의 인생을 결정하게 된다. 자신의 장애를 나쁘게만 보고 못났다고만 생각한다면 한없이 자신을 타락의 길로 몰고 가게 될것이다. 장애를 가진것은 불행한게 아니라 남들보다 조금 불편한 것이다. 물론 그렇게 생각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도 않다. 하지만 어린 헬렌은 자신의 단점을 극복해내어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며 장애우들에게 희망의 불씨가 되어주고 있다.

 

처음부터 그녀도 그렇게 살아오진 않았다. 아기때는 들을수도 있고 볼 수도 있었다. 하지만 아기였던 헬렌이 그걸 기억할리 없다. 어느순간부터 그녀는 앞을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게 되고, 말하지 못하게 되었다. 앞이 깜깜하기만 한 삶을 평생을 살아온 것이다. 엄마의 얼굴도, 가족의 얼굴도, 자신을 가르친 선생 애니의 얼굴도 보지 못한채 살아온 것이다. 그래서 애니를 만나기 전에는 천망지축처럼 살아왔다.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있으면 집어던지도 때를쓰며 엄마를 찾는다. 자신이 표현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몸짓밖에 없었기 때문에 최대한 몸으로 모든걸 표현하였다. 그 표현은 다른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기도 하고 감당하지 못하는 시련을 남겨주었다. 가족들은 점점 힘에 부딪힐수 밖에 없고 점점 희망을 잃어가게 된다. 그런때에 애니라는 선생을 만나게 된다.

 

책속에서는 어린시절의 애니의 이야기도 들려준다. 그녀가 헬렌의 선생이 되기까지. 많은 시련을 겪어오며 살아왔다. 그렇게 살아오다 장애아인 헬렌을 만나게 되었다. 누군가를 제대로 가르친적이 없고 더구나 장애를 가진 소녀였다. 무엇보다 난폭했기때문에 자신이 과연 길들일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서기도 했다. 애니를 만나기전 헬렌은 살아오면서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으면 온몸으로 표현하던 아이였다. 그런 그녀를 감당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부모는 부모대로 가여운 헬렌이 원하는걸 들어줄수 밖에 없고 그렇기에 더욱더 나쁜 버릇이 길들여져 있기도 했다. 하지만 애니는 그런 그녀가 그렇게 자신의 인생을 살도록 내버려 두지 않았다. 더욱더 그녀를 독하게 가르쳤다. 우선 부모로부터 떨어지는게 필요했다. 엄마에게만 의지하려하고 떼를 쓰는 아이였기때문에 무엇보다도 그런 과정이 필요했다.

 

보통의 사람들은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데 귀로 듣고 눈으로 보고 말로 표현을 한다. 하지만 헬렌은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다. 글을 모르는 그녀에게 글을 알려줘야했다. 하지만 그녀가 느낄 수 있는것은 만지는 것뿐이었다. 다른 사람을 알려고 할때도 손으로 더듬어가며 누구인지 기억해낸다. 글을 가르칠때도 그렇게 작은것부터 시작하며 가르쳤다. 그 과정이 신기하기만했다. 어떻게 단어를 표현하고 형용사, 명사 등을 표현할 수 있을까? 듣고, 말하고, 볼 줄 아는 나도 다른나라의 언어를 배우기가 힘든데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그녀가 글을 배워가는 가정이 신기하게 느껴진다.

 

그렇게 차츰 헬렌은 성장하게 된다. 애니에게서 떨어지지 않으며 그녀와 언제나 함께했다. 인생의 스승이고 반쪽같은 존재인 것이다. 지금으로보면 멘토와 멘티의 관계라 할수 있는 애니와 헬렌의 관계. 처음에는 안되고 못하게 하는게 싫었던 헬렌이었지만 차츰 깨달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자신의 인생을 포기하지 않고 새로운 인생을 살아가려고 애를 쓰는 것이다.

 

이렇게 책속에서는 이야기구성이 아닌 다른 사람들의 인터뷰나 발췌를 가져와 헬렌의 이야기를 좀더 사실적으로 이야기해준다. 그로인해 소설보다 좀더 현실적으로 헬렌과 애니를 만나고 이해할 수 있었다. 그녀에게서 많은걸 배우게 되었다. 다른걸 다 떠나서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열심히 살아준 헬렌에게 감사함과 존경을 느낀다. 자신의 현실이 힘들다고 내가 너무 징징대고 있던건 아닐까 반성하게 된다. 나는 그녀처럼 장애가 있는것도 아닌데 내가 가장 힘들다고만 생각한 내 자신이 부끄러웠다. 그녀는 비록 앞을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지만 마음으로 보고 몸으로 표현한다. 누구보다 그녀에게는 희망이 빛이 있었다. 그 빛은 스스로 찾았다. 애니의 도움을 받았지만 자신이 하겠다는 의지가 없었다면 아무것도 해내지 못했을 것이다.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닐까? 스스로 해야겠다는 의지가 없다면 아무것도 할 수 없을것이다. 아무리 옆에서 가르치고 일으켜세워도 나 스스로가 해야겠다는 의지가 없다면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 헬렌을 통해 스스로 해야겠다는 다짐을 해본다. 나만 힘들다고 스스로를 절망에 빠트리지 않고 희망의 빛을 밝혀보겠다고 다짐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