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서아 가비 - 사랑보다 지독하다
김탁환 지음 / 살림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영화 '가비'를 봤었다. 원작이 있는지 모르고 봤던 영화 가비는 무언가 부족함이 있었다. 영화 보는 내내 너무 진지하기만 하고 그렇다고 뭔가 숨막히는 느낌의 긴장감을 주지 않아서 아쉬웠다. 그런데 이 영화의 원작이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노서아 가비>를 읽게 되었다. 노서아 가비는 러시아 커피를 뜻하는 말이다. 영화에서는 고종독살 음모사건에 크게 중점을 두었다면 소설에서는 그것보다 따냐와 따냐가 사랑하는 연인 이반의 사기극에 더 크게 비중을 두었다. 대대로 역관의 집에서 태어났던 따냐는 유복하게 자랐다. 그런데 어느날 청나라 연행길에 수행역관으로 따라갔던 아버지가 하사품을 빼돌렸다는 누명을 쓰고 도망치다 절벽에 떨어졌다는 소식을 접하게 된다. 나라의 물건을 훔친 대역죄인이기에 따냐는 삶이 힘들어질 것을 알고 따냐는 국경을 너머 러시아로 떠나게 된다.

 

역관의 딸로 자랐던 따냐는 아버지로부터 여러나라의 말을 배워왔다. 그중에서도 러시아어를 잘 했기에 그곳에서 생활하는것에 문제가 없었다. 거기서 따냐는 이런저런 사람들을 만나 사기를 치면서 살게 되었다.  대륙을 누비는 사기꾼으로 변신한 것이다. 압록강을 건너기전에 아버지 친구인 복코아저씨와 그의 동료 만두장수 왕씨에게도 사기를 치고 러시아로 건너와서 그림위조 사기를 치는 칭 할아범을 만나 사기를 친다. 그런데 그의 불평등한 동업에 견디지 못해 그를 또 배신하고 얼음여우의 무리들과 어울리게 된다. 그리고 그곳에서는 유럽귀족들에게 러시아의 숲을 사기쳐서 팔아치우며 더 큰 사기단으로 변신한다. 그리고 사기를 치다 만나게 된 사기꾼 이반을 만나게 되고 그를 따라 대한제국의 황제 고종의 바리스타로 황실에 들어오게 된다.

 

이렇게 황실로 들어오기까지 이반과 따냐는 쿵짝이 맞아 많은 이들에게 사기를 치며 살아왔다. 이번에 이반은 나라를 팔아치우려는 사기를 치려고 한다. 영화속에서는 어쩔수 없이 두남녀가 고종황제의 음독사건을 해야했다면 소설속에서는 이유없이 그냥 더 큰 돈을 벌기 위해 사기를 치게 된다. 이반을 사랑하지만 따냐는 이반을 믿을수 없었다. 그는 처음부터 끝까지 거짓이 너무 많았다. 나중에 따냐는 이반이 자신의 아버지를 죽이게 된 사실까지 알게된다. 아버지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물증도 분명했다. 이반의 세치 혀는 여전히 아니라고 말한다. 따냐는 그를 사랑하기에 어느쪽이 진실인지 헷갈리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항상 하나의 최악을 대비하는 여자였다. 이반이 베베르와 이완용과 함께 황제의 암살을 계획하고 나라를 팔아먹으려고 할때 따냐는 사랑하는 사람 이반이 아닌 고종을 택하게 되었다. 그건 나라를 사랑하는 애국심에서 비롯되었던건 아닌것 같다.

 

사기꾼은 진실해서는 안되고 일이 끝난후 같은 곳에 머물러서도 안된다고 말한다. 그런 사기꾼의 기질을 잘 알고 있었던 것이 따냐였다. 사기꾼은 필요없다는것을 느끼게 되면 사람이든 물건이든 버려야 한다. 이반도 고종황제를 음독하고 따냐와 떠나려고 했을때 따냐를 사랑해서 함께가려고 했던 것은 아니였다. 인질이 필요했던 것이다. 마지막까지 데려가야 할 사람이였기 때문에 그녀를 택했던것 뿐이다. 하지만 결국 따냐에게 당하고 그는 죽게 된다.

 

어찌보면 내용이 심각해보일지 모르지만 대대적인 사기꾼을 알려주는 경쾌한 이야기로 전개된다. 음독사건에 너무 파고들기보다는 두 남녀가 충분한 돈을 벌고도 더 큰 욕심으로 더 많은 돈을 벌려고 벌이는 사기극. 서로에게 진실을 보여주지 않고 진실이 오가지 않는 사기들로 결국 둘은 이어질  수 없게된다. 따냐는 대한제국에 머물지 않고 떠난다. 그녀도 사기꾼이기에 그자리에 계속 있지 않고 또 다른 자리를 찾아 떠나는 것이다. 그 시대에 이런 여주인공은 처음인것 같다. 자신이 살기위해 누군가에게 순종하지 않고 자신을 보여주지 않는 따냐.  김탁환의 유쾌한 이야기 방식이 즐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