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팅 클럽
강영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계동에 김작가와 영인은 함꼐 살고 있다. 김작가는 계동에서 어린이 글짓기 교실을 하고 있지만 그녀의 글짓기 교실에 오는 아이들은 많지 않다. 고등학교를 다니고 있는 영인은 졸업을 앞두고 있지만 대학 갈 형편도 실력도 되지 않는다. 좋아하는 남자에게 무작정 들이대기만 하고 번번히 실패하고 그래서 생각한 결과 여자를 좋아하기로 한다. 생긴것도 평범하지 못한데 하는 행동까지 평범하지 못한 영인과 그녀의 엄마 김작가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김작가는 작가이지만 그렇다고 제대로 책 한권 낸 사람인가 하면 아니다. 잡지에 아주 작게 글이 실린정도.. 본 사람보다 안 본 사람이 더 않은 그런 대중적이지 않은 작가였다. 그리고 영인에게 모성애를 전혀 느끼게 해주지 못한. 다른 엄마에 비해 너무 나도 다른.. 영인은 혼자 컸다 할 정도로.. 자식에 무심한 엄마이다.

처음 이 책을 접했을때  글 쓰는 비법 같은게 있을줄 알았다. 영인이 커피숍에서 인기 작가를 만나는 장면이 나온다. 그곳은 인기작가가 조용히 글을 쓰는 커피숍으로 가끔 마주치는 그녀에게 영인은 자신이 쓴 글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글을 읽은 작가는 말한다.

"누구나 소설을 쓸 수 있지. 장점이 없지는 않아. 생각한 대로, 표현이 맞는지 안 맞는지는 상관 없이 그냥 계속 썼다는 거. 체력이 좋아 그런가. 그게 장점인데 그것 말고는 장점이 없어. 사실 누구나 소설을 쓸 수 있는 건 아냐. "

" 학생 글에는 주의 주장만 있어. 말만 있다구. 그렇게 써서 사람들에게 재미를 줄 수 있을까? 누가 학생의 생각을 궁금해 할 것 같아? 사람들은 바보가 아냐. 소설을 쓸 때는 작가의 생각 따위는 아예 설명하려 들지 않는게 좋아."

그리고 그녀는 영인에게 <설명을 하려 들지 말고 묘사를 하라> 라는 충고를 해준다.

"사람들이 소설을 읽는 이유는 소설이 다른 장르와비교했을 때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과 제일 비슷하기 때문이야. 설명하려 들지 말고 보여줘. 구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라구"

그렇게 그녀에게 말해주는 장면이 있다.

 

설명이 아니라 묘사라.. 그런거 같다. 소설을 보다보면 어떻게 저렇게 잘 묘사했을까 싶을정도록 잘 설명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 살인의 장면이라던가 요리를 하는 모습이라던가. 그냥 "사람을 죽였다", "맛있게 요리를 했다"라고만 써더라면 아마 아무것도 느끼지 못했을것이다. 하지만 사람을 죽이는 장면을 하나하나 묘사를 한다던가 요리하는 장면을 맛깔나게 묘사하여 우리는 잔인함을 느끼거나 먹지 않아도 맛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이다.

 

묘사만을 생각하며 묘사를 해나간 글을 가지고 다시 작가를 찾아간 영인. 그리고 이번에 그녀는 영인에게 충고한다.

"간결하고 분명한 묘사 뒤에 반드시 작가의 사고 과정이 드러나야해. 그런 건 묘사가 아니라 진술이지. 작가의 사고. 작가의 판단에서 오는 힘이 있는 진술이 반드시 들어가야 해 . (...)묘사와 진술 그 두가지가 적절히 섞어야 해. 좋은 문장이란, 좋은 소설이란 그런거야. 하지만 학생은 아직 묘사를 잘하기에도 바쁘지.."

 

영인은 계속해서 글을 써나아갔다. 김작가가 쓰레기같은 글이라고 무시해도 아랑곳하지 않고 그런 쓰레기같은 글을 계속해서 써내려갔다. 그러면서 커피숍, 공장등 이곳저곳에서 일을 하면서 그녀는 글을 썼다. 그동안 김작가는 계동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하는 글짓기가 아닌 계동주민을 위한 글짓기교실 '글쓰기를 사랑하는 계동 여성들의 모임'을 만들었다. 영인이 보기에는 그냥 계동주민의 '종이컵을 든 동네 아줌마들의 결연한 수다방'정도로 밖에 보이지 않았지만..

 

이곳저곳 일을 하면서 영인은 미국까지 가게된다. 그리고 그곳에서 네일아트를 배우며 일주일중 6일을 돈을 벌며 하루는 글쓰기에 몰입한다. 그러다 문득 '라이팅클럽'을 만든다. 그리고 기대되는 첫만남. 비록 많은 사람이 온건 아니지만 여러 이야기를 나눈다. 그리고 걸려온 전화. 김작가가 많이 아프단다. 오랜 미국생활을 끝내고 서울로 돌아가 그녀를 만난다. 늘 건강하고 씩씩하게 자식은 돌보지도 않았던 김작가였는데 정신병원에 입원해있었다. 몸은 야위었고 가끔씩 일어나는 발작. 그리고 많이 늙어버렸다. 그런데도 그녀는 계속 무언가를 썼다.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에게 편지를 쓰기도 하고 헛소리도 하지만 그녀는 아프면서도 그렇게 글을 쓴다. 그리고 모두가 곧 죽을것같다고 했지만 결국은 죽지않고 정신까지 돌아와 신문사에서 주최한 문예공모에 당선이 된다.

 

그녀들은 글쓰기를 멈추지 않았다. 비록 등단조차 시도해보지 못했지만 영인은 글쓰기를 멈추지 않고 서울로 돌아와서도 네일아트를 하며 글쓰기를 한다. 계동이라는 동네를 배경으로 한 영인의 이야기로 그녀의 주변 이야기를 들려준다. 비록 이 책에서 글쓰기의 비법은 전수받지 못했으나 글쓰기의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 누구나 글을 쓸수 있는 시대이다. 나도 영인처럼 무작정 아무생각없이 나의 이야기를 그냥 설명할 뿐이지만 그래도 글쓰고 싶은 마음은 멈출 수 없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