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서양미술 인문여행 시리즈 14
샤를 블랑 지음, 정철 옮김, 하진희 감수 / 인문산책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도 교양이라는 것을 좀 쌓고 싶었다. 어디선가 봤던 그림, 어디선가 들었던 음악이 아닌 "이건 '빈센트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에'야", "저건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야"라고 말할 수 있는 그런 교양 말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본 것 같기도 하고 누구 것 같기도 하고.. 그 그림의 시대적 상황이 어땠으며 작가가 어떤 의도로 이런 그림을 그렸는지 이 그림을 그릴 때 어떤 기법으로 그렸는지.. 이런 것은 절대 하나도 모르는 사람이다. 그래서 교양을 쌓는 데 도움이 될까 싶어 <교양 서양 미술>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왜 교양을 쌓아야 할까? 솔직히 살아가면서 그림을 모른다고 뭐가 어떻게 되진 않는다. 또한 그림을 나만의 스타일로 감상하면 되지 전문가처럼 이건 어떻고 저건 어떻고 그렇게 알 필요도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진품 그림 하나가 어마어마한 가격대로 재테크가 된다는 사실도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또 그런 한편 내 마음의 풍요로움을 가지고 마음의 여유를 느낄 수 있고 누군가에게 그림을 소개함으로써 내가 으쓱해지는 느낌을 받는다면 그것만으로도 삶의 질이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해보기도 한다.

<교양 서양 미술>에는 정말 많은 그림이 실려있다. 솔직히 아는 그림보다는 모르는 그림과 작가가 많았다. 교양을 쌓아볼까 싶었던 읽었는데 너무 모르는 게 많아 한 번 읽어가지고는 절대 교양이 생길 것 같지 않았다. 그런데 그림에 대한 자세한 설명으로 인해 아무것도 모르는 그림에 대해 조금 정감을 느꼈다. 그림만 봤을 때 "어디서 고상함이 느껴지지?", "어디서 남성성이 느껴지지?", "어디서 여성성이 느껴지지?"라는 느낌을 받았다면 그림에 대한 세세한 설명이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었다.

색상이라는 것. 회화에 있어서 필요한 존재이다. 동물들은 소리로, 지적인 인간도 자신만의 목소리로 나를 표현한다. 하지만 '사파이어'나 '에메랄드' 등 무기체 자연은 색상이 아니라면 표현할 방법이 없다. 그렇기에 회화에서 색상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그림을 통해 작가의 느낌을 알 수 있기도 하다. 아이들의 심리 테스트를 통해 아이의 심리를 알 수 있듯 작가의 그림을 통해서도 작가의 내면을 알아볼 수 있는 것이다. 화가가 잔인하고 부정적인 행동을 그린다면 그 화가에게서 공포감을 느낄 수도 있는 것이다.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 정말 유명한 그림인데 이 그림이 왜 유명한지 이해하진 못했다. 그림을 제대로 바라본 적이 없어서인지 모르겠다. 이 그림 안에는 정말 많은 사람들이 있다. 어떻게 저 많은 사람을 그렸는지도 신기하지만 저 많은 사람들의 행동이 다 다르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안에는 천벌을 받는 사람도 있고, 구원을 받는 사람도 있고 마리아와 예수도 있으며 나팔을 불고 있는 천사들도 있다. 여기저기서 뒤엉켜 싸우고 있는 듯한 그림이었는데 세세히 살펴보면 표정도 행동도 다른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림을 통해 운명의 대비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림에서 색상의 역할을 다시 강조해본다. 어떤 색으로 표현하는가에 따라 그림에서 느껴지는 이미지가 다른 것이다. 많이들 알고 있듯이 차가움은 파란색으로 뜨거움은 빨간색으로 표현한다. 만약 색상이 없다면 스케치(데생)만 있다면 그런 것을 표현할 수 있었을까? 수줍거나 부끄러움을 표현하기 위에 볼을 빨갛게 색칠하기도 하고 창백함을 표현하기 위해 하얗게 표현한다. 빈센트 반 고흐의 '밤의 카페테라스'라는 그림을 보면 밤하늘을 청색으로 카페는 노란색을 표현했다. 이렇듯 색상의 보색 관계로 인해 작가 감정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 그림을 그릴 때 어떤 색을 사용할지 결정하는 것 또한 작가에게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것이다.

그림을 그릴 때 필요한 다양한 표현기법. 이 중 이해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도 상당히 많았다. 그림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기 때문에 교양을 알고 싶어 읽은 책이 조금 어렵기도 했다. 하지만 그림을 통해 천천히 읽어내려간다면 인문학적인 교양도 쌓을 수 있으면서 마음의 풍요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너무 많은 작가의 다양한 그림을 만날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그림들에게 어떤 특징이 있는지 어떤 기법으로 표현했는지 이 그림을 그렸을 때 작가의 심정은 어땠는지 작가마다의 특징을 조금은 알아볼 수 있었다. 여전히 그림은 나에게 어렵지만 조금이라도 그림에 대한 교양이 쌓아지는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