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3줄 초등 글쓰기의 기적 - 아이의 마음과 생각이 크게 자라는 하루 3줄
윤희솔 지음 / 청림Life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기초가 탄탄해야 하는 것 같다. 건물을 세울 때도 기초가 탄탄해야 부실 위험이 없고 내 몸도 어렸을 때부터 몸에 좋은 것을 골고루 잘 먹고 자라야 큰 병 없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것 같다. 공부도 그렇다. 기초가 탄탄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하면 따라잡기 어렵다. 물론 잘 따라갈 수도 있긴 하지만 공부를 배우기 시작할 때 제대로 배운다면 더 쉽게 따라갈 수 있다는 것을 누구나 잘 알고 있을 것이다. <하루 3줄 초등 글쓰기의 기적>은 학교 선생님이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어 아이들과 함께 글쓰기를 시작하면서 기적을 만나게 된 우리가 잘 할 수 있으면서도 쉽게 따라 하지 못하는 글쓰기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우리가 집에서 글쓰기를 아이와 함께 하려고 해도 어려워하는 부분이 어떤 이야기를 써야 하는지이다. 어떤 주제로 글을 써야 하는지 이것은 어른들에게도 어렵기 때문에 글쓰기를 쉽게 시작하기 힘들어한다.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도 아이들에게는 어렵다. 한글이 아직 서툰 아이에게는 자신의 생각을 글로 담아내는 게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루 3줄이라면 조금 가볍게 시작할 수 있다.

어려운 책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나의 일을 먼저 적어보는 것이다. 나의 하루 중 기억에 남았던 일을 써보는 것이다. 때로는 화가 난 마음도 글 한 줄에 풀려 내려가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어른들도 일기를 쓰면 그날의 화난 감정이 조금은 사그라지는 것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아이들도 그렇다. 항상 좋은 일만 있는 것도 아니고 그날의 나쁜 감정도 글을 쓰면서 내 마음을 좀 더 정확하게 알게 되기도 하고 좀 더 객관적으로 내 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처음부터 책과 친하지 않은 아이들에게는 책과 친해지는 게 먼저다. 책을 읽어야 글도 쓸 수 있다. 하지만 책과 친하지 않다면 글을 쓰기가 쉽진 않다. 아이들이 그림책과 친해질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눈에 띄도록 여기저기 두고 엄마가 먼저 호기심을 가지고 책과 말을 걸어본다. 아이도 심심하면 언젠가는 책에 관심을 가질 것이고 기왕이면 아이가 좋아할 만한 주제의 책을 준비해놓는다. 다양하게 책과 친해지는 방법을 통해 책과 친해진 후 책에 대해서도 글을 써본다.

초등학생들은 받아쓰기와 일기를 통해서 글을 배우고 쓴다. 일기를 쓰는 것이 어떤 면에서는 좋을 수 있지만 그로 인해 사생활 침해가 될 수 있어 끊임없는 논란은 있다고 한다. 하지만 저자는 일기를 통해 아이의 생각을 들여다볼 수 있고 아이의 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아이 스스로 일기를 쓰는 것은 좋다고 한다. 그림일기도 좋지만 글을 쓰는 것이 글쓰기에는 더욱 도움이 된다. 글로 표현하기 어렵거나 글보다 그림이 낫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림을 통해 일기를 쓰고 내 마음이나 내 상태를 직접 글로 쓰는 것이 훨씬 좋다고 이야기한다. 물론 그림을 좋아하는 아이는 그림일기를 쓰는 것도 좋다.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할 줄 모른다. 그래서 어떻게 글로 써야 하는지 어렵기도 하다. 그래서 감정이나 감각 단어가 있는 책을 통해 자신의 감정이 어떤지 알아보는 것도 좋다. <아홉 살 마음 사전>이라는 책을 통해 우리에게 어떤 감정이 있는지 아이 스스로 알아보고 찾아보게 하는 것도 좋다. 마음 사전을 통해 내 마음이 어떤지 스스로 잘 표현하기 어려운 아이들에게는 직접 찾아보면서 자기의 마음도 표현할 수 있어 도움이 될 것 같다.

독서록을 쓰고 고사 성어와 한자, 속담을 알아두면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우리가 한글을 쓰고 있지만 여전히 한자가 많이 남아있다. 한글을 읽을 줄 알아도 한자로 된 글은 어떤 뜻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는 어른도 그렇다. 따라서 한자를 쓸 줄은 몰라도 글이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한자를 알고 있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아이가 무언가를 관찰하고 그것을 글로 쓰는 것도 글쓰기에 도움이 된다. 또한 그런 글을 통해 아이의 창의력을 볼 수 있다. 같은 사물을 보고 우리는 다른 생각을 한다. 아이는 지식보다는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 때문에 어른보다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창의력이 생기고 그것을 어른들의 지식으로 덮어버려서는 안되니 아이가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면 좋다.

글쓰기는 아이뿐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그래서 요즘 어른들을 위한 글쓰기 책도 다양하게 출간되고 있다. 공부의 힘을 길러주기도 하지만 글쓰기를 통해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음을 <하루 3줄 초등 글쓰기의 기적>을 통해 배울 수 있었다. 아직 한글이 서툴러 제대로 한글 쓰기가 어렵긴 하지만 내년이면 학교에 입학하니 조금씩 글쓰기를 실천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