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할머니네 -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책고래마을 34
박현숙 지음, 박성은 그림 / 책고래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나니 공감하는 부분이 참 많다. 옛날에는 정말 그랬던 아이들이 많았다. 아이를 많이 낳아 키웠기 때문에 둘째나 셋째를 낳은 엄마는 좀 더 큰 첫째 아이를 외할머니네 맡기곤 했다. 형제가 많았던 나는 외할머니네가 너무 멀어 외할머니 손에 자라진 않았지만 친구들이나 주변 이야기를 들어볼 때 이런 친구들이 꽤 있었다. 그래서인지 이 책을 읽고 나니 내가 아이를 낳아 키웠던 그때가 생각난다. 몇 년 되진 않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니 첫째 아이의 기분이 어땠을지.. 생각해보게 된다.





한참 응석 부리고 싶을 나이일 텐데.. 동생을 맞이하게 된 아이. 하루에도 몇 번씩 큰 소리로 울기만 한 동생이 아이는 너무 밉다. 너무 힘에 붙인 엄마는 아이를 외할머니네 보내기로 한다.

할머니가 집에 오셨고 엄마는 첫째의 손을 잡아주지 않고 할머니에게 아이를 맡긴다. 억지로 할머니의 손에 끌려가는 아이. 울면서 기차를 타고 할머니 집에 가는 길에 잠이 든다. 그리고 외할머니 네에서 지내게 된다. 할머니는 엄마가 해주지 못한 것들을 대신해준다. 집과는 너무 다른 시골의 풍경과 할머니의 보살핌으로 이제 엄마가 보고 싶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루하루 시간을 보내면서 외할머니 네에서의 생활도 나쁘지 않고 즐겁다고 생각하고 엄마는 보고 싶지 않다고 매일 생각한다.



엄마가 보고 싶지 않다고 생각했는데 왠지 모를 슬픔이 밀려온다. 할머니는 아이를 달래기 위해 귀한 눈깔사탕도 주지만 왠지 모를 그리움이 밀려온다. 그리고 트럭에 끌려가는 엄마 소를 바라보는 송아지의 슬픈 눈을 보고 아이도 눈에 눈물을 흘린다. 아이도 송아지의 눈을 보고 나니 엄마가 조금 보고 싶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아이는 엄마가 보고 싶어 병이나 앓아눕는다. 그렇게 또 시간이 흘러 엄마가 아이를 데리러 오게 된다.



나를 할머니에게 보낸 엄마가 미웠지만 결국 엄마를 너무 보고 싶어 했다는 것을 아이는 깨닫게 된다. 엄마를 바라보며 보고 싶었다고 사랑한다고 말하고 싶었을 텐데 아이는 엄마 품에 안겨 그저 울기만 한다.

엄마도 아이를 보내고 싶진 않았을거다. 하지만 엄마도 너무 힘들어서 그랬을 것이다. 엄마가 아이에게 해줄 수 있는 것들을 다 해내기 힘들어 아주 잠시 할머니네 아이를 맡겼을 것이다. 나도 그랬다. 둘째가 태어나고 처음 몇 달은 너무 힘들었다. 아직 첫째도 어린데 밥도 먹여줘야 하고 옷도 입혀줘야 하고 다 씻기고 놀아주고 해야 하는데 더 어린 동생을 돌봐줄 수밖에 없었다. 물론 다들 그렇게 자란다. 엄마니깐 좀 더 힘을 내고 사랑하니깐 이겨낸다. 그래도 엄마는 엄마라는 것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아이 하나일 때의 엄마와 아이 둘일 때의 엄마 또 셋, 넷 일 때 다르기 때문에 그런 엄마들을 엄마가 된 나는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아이도 엄마가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미워서 외할머니 댁에 보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엄마의 사랑을 믿고 있으니 엄마가 보고 싶다는 생각도 하게 되고 엄마가 조금 밉기도 했을 것이다. 송아지 눈에 흘린 눈물을 보고 아이는 눈물을 흘린다. 송아지도 엄마가 다른 곳으로 가게 되어 슬픈데 아이는 어땠을까? 아이는 송아지를 통해 꾹꾹 참아낸 자신을 알게 되고 며칠간 엄마가 보고 싶어 앓아눕게 된 것이다. 그래도 엄마는 돌아왔다. 아이에게 돌아왔다. 아이도 엄마도 특별한 말은 없었지만 아이도 엄마도 알고 있었을 것이다. 엄마와 아이 서로 많이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그리고 많이 보고 싶었다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