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 독서법 - 마음과 생각을 함께 키우는 독서 교육
김소영 지음 / 다산에듀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의 중요성은 누구나 알고 있다. 지금 같은 시대에 책을 읽는 사람이 많진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은 매일같이 쏟아져 출간되고 있다. 그리고 어디에서든 성공한 사람들은 책을 읽었다고 말한다. 책도 물론 어떻게 읽느냐가 중요하고 어떤 책을 읽었냐가 중요하지만 책도 읽어봐야 책도 고를 줄 알고 자기에게 필요한 것도 찾아 읽을 수 있게 된다. 책을 통해 깊이 있는 지식을 얻을 수도 있고 재미와 감동을 얻을 수도 있다. 또 그 안에서 우리가 몰랐던 다양한 언어를 만나기도 하다. 독서의 중요성과 필요는 누구나 알고 있다. 꼭 어떤 이유를 대지 않더라도 독서를 필요하다.

하지만 그 중요하고 필요성을 알면서 요즘은 책을 많이 읽지 않는다. 어른이 되면 점점 더 책을 멀리하게 된다. 어렸을 때부터 독서습관이 잡혀 있지 않다면 어른이 되고 나서 책을 읽는 게 더 힘들다. 요즘은 책 말고도 재미있는 게 너무 많다. 너무 많은 재미있는 것을 두고 그림보다 글이 많은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찾고 싶은 정보도 검색하면 바로 나오는데 한 권을 통째로 읽어서 그 정보를 힘겹게 얻으려 하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럴수록 어렸을 때부터 올바른 독서법을 갖추어야 한다.

하지만 재미로 읽는 책을 공부처럼 하게 된다면 좋아하는 아이는 없다.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고 자기 생각을 적는다면 아이들은 오히려 더 책을 읽기 싫어하게 될 것이다. 물론 책을 잘 읽었는지 제대로 이해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글을 쓰는 작업도 필요하다.

하지만 <말하기 독서법>에서는 꼭 글쓰기가 아니어도 괜찮다고 이야기한다. 말하기 독서법. 글이 아닌 말로 먼저 책에 대해 이야기해보는 것이다. 자기의 생각을 글로 쓰기 전에 말로 이야기해보는 것이다. 부모는 아이가 책과 가까워질 수 있도록 책을 읽고 난 후 글로 독후감을 쓰라고 하기보다 먼저 말로 독후감을 쓸 수 있도록 도와주자. 말하기는 책과 친분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읽은 것을 말로 할 수 있어야 글도 쓸 수 있다. 말을 하는 것은 아이가 생각하는 방법을 배워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꼭 필요하다. 생각을 말로 표현해보고 수정하면서 제대로 완결된 하나의 덩어리를 만들 수 있다.

말하기와 토론이 비슷하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 말하는 독서교실에서 토론은 규칙과 훈련이 필요하고 말하기는 관심과 공감, 표현하고자 하는 의지를 바탕으로 진행한다고 한다. 물론 토론하기에 적절한 주제라면 토론도 진행한다. 자기의 생각을 말로 잘 전달할 수 있어야 상대의 말을 듣고 생각을 발전시키거나 전환해 미래에도 필요한 인재가 될 수 있는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책은 틈틈이 읽기보다 따로 시간을 내어 읽는 게 좋다. 독서와 사고력, 표현력을 중요하게 여긴다면 그에 걸맞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부모와 함께 읽으면 더 좋은 독서교육이 된다. 부모와 함께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더 좋다.

창의력을 키워주는 그림책, 언어의 힘을 배우는 동시, 생각을 키우는 동화, 메타 인지 능력을 키우는 지식책. 분류되어 있는 책들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알려준다. 그림책을 예로 들어 보면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자연스럽고 정확한 발음으로 읽는다. 제목이나 그림을 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지 짧게 이야기를 나눠본다. 읽으면서 모르는 단어는 넘어가도 괜찮다. 아이가 물어보면 대답해주고 읽다 보면 문맥상 아이가 이해하는 경우가 있기에 넘어가도 괜찮다. 그림책을 읽고 먼저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무엇이 느껴지는지, 어떤 장면이 가장 인상에 남는지, 작가가 왜 이렇게 그림을 표현했는지, 다양한 이야기를 나눈다. 그림책을 읽고 난 후 떠오르는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해본다. 이런 방식으로 책의 종류별로 어떻게 읽고 어떻게 말하고 어떤 것을 쓰는지 알려준다.

독서력과 어휘력은 맞물려 있다. 책을 많이 읽는다고 어휘력도 느는 건 아니다. 물론 도움은 되지만 그 뜻도 정확히 알아야 잘 쓸 수 있다. 그래서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좋다. 그리고 그 어휘를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책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어휘력도 늘었다면 글로 써본다다.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를 때 무엇이든 글감이 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독서를 할 때 먼저 아이의 성향을 알고 있으면 좋다. 외향형인지 내향형인지 감각형인지 직관형인지 정확히 알아야 아이에게 맞는 독서법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에 유형별 독서법도 실려있다. 아이가 부모와 다를 수도 있다. 그런데 부모는 자기의 성향만 생각해서 아이에게 독서지도를 할 수 있으니 아이의 성향에 따라 다른 독서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다.

책을 그냥 읽기는 쉽지만 생각하면서 읽기는 어렵다. 나도 책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해보지 못했는데'라고 생각을 많이 한다. 내 생각을 말로 전달하고 글을 쓴다는 건 어렵다. 하지만 먼저 이야기를 나눠서 해본다면 쉽게 정리가 되는 것 같다. 아이에게도 말하기 독서법을 먼저 알려줘야겠다. 아직 그림책밖에 읽어보지 않았지만 아이의 생각을 들을 수 있는 그림책부터 시작해서 글을 알게 되고 읽을 수 있게 되면 더 다양한 책과 친해질 수 있도록 엄마인 나도 함께 독서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