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도 퇴근 좀 하겠습니다
정경미 지음 / 다연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육아는 퇴근이 없다. 물론 짬짬이 시간은 있다. 그리고 그 시간도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 아이들은 돌보지만 집안일은 내가 좀 게을러지면 그 시간에 쉴 수는 있다. 하지만 집안일보다 어려운 게 아이 돌보는 일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내 손으로 다 해야 하고 아이들 마음도 내 마음 같지 않아 어르고 달래도 안되는 경우가 많다. 일찍 잠을 재워도 어느 날은 잘 자고 어느 날은 계속 깨서 우느라 몇 번을 왔다 갔다 하다 결국 같이 잠이 들곤 한다. 그렇게 엄마는 퇴근이 없다. 상시 대기해야 하는 게 엄마다.

이 책은 육아를 조금 더 편하게 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엄마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저자 역시 처음에는 모든 엄마들처럼 육아를 했다. 하지만 좀처럼 쉴 틈 없는 육아일에 지치고 정작 나 자신이 없어지는 모습을 발견한다. 조금 번거롭고 힘들지만 내가 아이를 기다려주면 조금씩 그 아이가 성장하게 되는 모습을 통해 점차 육아 퇴근시간이 빨라짐을 알게 된다. 바로 기다림. 그 기다림을 통해 엄마가 조금이라도 일찍 육아에서 퇴근하길 바라는 이야기가 이 책에 담겨있다. 그리고 그 기다림이 아이를 조금씩 성장하게 한다는 것을 직접 경험으로 보여준다.

나 역시 그 사실을 알고 있다. 아이는 조금만 기다려주면 조금씩 성장한다는 것을.. 물론 쉽지 않다. 성격이 급하고 어느 정도 정돈이 돼 있어야 마음이 놓이는 내가. 기다려주기란 쉽지 않다. 혼자 두면 한 시간이 넘도록 밥을 먹는 아이. 기다리다 지쳐 결국 먹여주는 나를 발견한다. 뭔가 흘리면 다른데 더 번질까 봐 닦으면서 애만 혼내는 나를 발견한다. 엄청 깨끗하게 정리하며 사는 것도 아니면서 아이가 뭔가 흘리고 빨리 뭔가 하지 못하면 기다리지 못하고 아이부터 혼내고 내가 다 해주고 왜 엄마를 힘들게 하냐고 화만 내는 나의 모습에 반성해본다.

사실 아이가 하게 기다려주면 되는데.. 다들 처음부터 잘했던 것도 아닌데.. 나라고 처음부터 잘한 게 아니었을 텐데. 그렇게 실수하면서 배우고 성장했을 텐데 그걸 기다려주지 못하고 늘 아이에게 화만 냈다. 그리고 내 일이 많다고 힘들다고 짜증 내며 아이에게 투정 부렸던 것 같다. 이제 둘째가 두 돌이 지났다. 두 돌이 지나니 아이가 말도 알아듣고 조금씩 자기 의견을 말할 줄 알아 예전보다는 육아가 편안해졌지만 여전히 나는 아이 둘을 돌보면서 내가 하는 것이 많다. 그것이 엄마가 해야 하는 일이라고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 같다.

뭔가 흘리면 아이가 치우게 두면 되고 빨리 먹지 못해도 혼자 스스로 먹을 수 있도록 기다려주면 된다. 위험한 것도 알려주고 혼자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알려주면 된다.

저자는 아이에게 많은 기회를 주고 기다려준다. 물론 늘 그럴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아이가 엄마에게 미안해지지 않도록 스스로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면 그만큼 아이는 성장한다. 또래의 아이들보다 할 수 있는 것들이 많고 그로 인해 엄마가 편안해진다. 아이에게 화를 내지 않으려면 아이와 나를 분리해야 한다. 내가 낳아서 나라고 생각하는 마음을 버리고 아이도 하나의 인격체로 바라봐야 한다. 완벽하려는 엄마의 욕심을 내려놓고 아이가 자기주도적으로 생각과 행동을 할 수 있도록 기다려줘야 한다.

물론 엄마가 사용하는 말도 중요하다. 엄마가 어떻게 말을 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행동도 달라진다. 건강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엄마가 노력하자. 무엇을 하든 아이에게 어떻게 해라 가 아닌 보여주기. "Just show" 아이는 부모의 모습을 보고 자란다. 그 모습이 어떠느냐에 따라 아이의 행동이 결정된다. 부모의 말투를 배우며 부모의 행동을 따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바라는 모습은 스스로 보여주자. 그럼 아이도 그 모습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지금 당장을 힘들지 몰라도 아이에게 기회를 주면 줄수록 조금씩 엄마의 일이 줄어들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생각해보면 혼낼 일이 아닌데 혼냈던 일들이 많았다. 그리고 잠든 아이에게 미안해하는 나. 결국 내가 아이에게 화낸 건 내가 힘들어서였던 것이다. 아이가 한 것들을 내가 치우려고 하니깐. 아이가 한 일이니 아이가 하게끔 하면 되는데.. 먹이고 입히고 재우는 모든 일들을 내가 혼자 하려고 해서 힘들다고 아이에게 화를 냈던 것이다. 이제는 조금씩 그런 일들을 아이에게 넘기려 한다. 육아 서적에 나온 모든 이야기가 나에게 적용될 수는 없겠지만 아이가 올바르게 성장하길 바란다면 아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들은 스스로 하라고 넘겨줘야겠다. 그리고 조금 일찍 엄마도 퇴근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