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멘탈 - 과거 현재 미래 생존을 위해 반드시 익혀야 할 기술
박세니 지음 / 차선책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서 읽고 제 의견을 담아서 작성하였습니다.>

나는 운이 좋게도 어렸을 때 친척 어르신의 가르침 덕분에 공산주의의 폐해에 대해 일찍부터 제대로 배울 수 있었다. 공산주의사회에서는 사유재산을 보장받지 못하기 때문에 열심히 일할 사람이 없어지게 되고 하향평준화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당시 친척 어르신의 말씀이었다. 지나고 보니 그 말씀이 옳았다는 것이 1990년대에 접어들 무렵 공산주의 맹주였던 소련이 붕괴되면서 동구권 공산주의 국가들이 연이어 붕괴되는 것으로 증명이 되었기 때문이다.


'자본주의 세상을 살려면 돈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돈을 버는 데 필요한 충분 지식을 못 갖춘 사람들은 돈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갖고 살아가며, 아마 그들의 부모들도 그러했을 것이다. 돈을 벌기 위한 지식이 부족했음을 인정하지 않기에 궁핍한 자신과 달리 돈이 많은 타인들을 보면 당연히 부아가 치민다. 가난한 자와 부자는 지식 차이로 결정된 것임을 끝내 이해하지 못하면 계속해서 부자들을 미워하고 시기 질투하게 된다.'


'부자가 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갖추지 못한 채 계속해서 노력해 봤자 절대 부자가 되지 못할 것이다. 아직 부자가 못되었다면 현재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하라.' 부자가 되는 데도 필요한 지식이 있다는 저자의 주장을 나는 책을 읽기 시작할 무렵에는 반신반의했다. 하지만 책을 읽고 나니 저자의 주장이 절대적으로 옳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궁극적으로 본질적 지식이 가장 중요한 것임을 완전하게 느끼면서 살아가야지 제대로 된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결국 우리는 죽을 때 고도의 집중과 몰입 상태에서 만들어진 추억만 갖고 가는 셈이다. 이렇게 가장 중요한 가치를 남들보다 훨씬 더 많이 생각하고 그에 입각해서 삶을 살아가다 보면 필연적으로 멋진 삶을 산다.'


'영업의 시작은 상품이 아니다. 내가 누구인지를 상대가 받아들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먼저다. 상품 이야기를 꺼내기 전에,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진리와 본질의 언어로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은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에 '이게 과연 될까?'를 고민한다. 그 생각 자체가 자신과의 싸움이고, 시작 전에 스스로를 무너뜨리는 방식이다. 내가 제안하는 접근은 다르다. '이 일이 과거에 누군가에 의해 실행된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부터 던져라. 있다면 나도 반드시 할 수 있다. 그 사람의 방식을 연구하고 실천하면 된다. 반대로 아무도 해낸 적이 없는 일이라면, 어떻게 하면 지금은 가능하게 만들 수 있을지를 고민하면 된다. 핵심은 '될까 안 될까'의 감정적 진동이 아니라, '가능성의 구조화'다.' 과거에 누군가에 의해 실행된 적이 있다면 나도 할 수 있다는 생각, 더 나아가서 실행된 적이 없다면 내가 하면 된다는 생각을 가지는 게 좋을 것 같다.


'부자가 되는 방법은 명확하다. 타인의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춘 뒤, 그것을 바탕으로 많은 사람을 돕는 것이다.' 타인의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부자가 되는 방법이라는 저자의 주장에 나도 상당 부분 공감한다. 


'당신이 스스로의 일에 진심으로 몰입해 있다면, 고객은 당신의 상품보다 당신을 신뢰하게 된다. 그것이 진짜 영업이다. 그리고 그때부터 당신이 영업의 주도권, 그 칼자루를 쥐게 되는 것이다.' 나는 작년부터 회사에서 '축산기자재' 영업을 총괄하고 있지만 영업이 이렇게 힘든 줄 미처 모르고 있었다. 이 책에서 저자가 소개하고 있는 성공적인 영업을 위해 해야 할 일들을 삶 속에서 실천하면서 나도 축산기자재 영업에 있어서 성과를 거두고 싶은 게 솔직한 나의 바람이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나서 '영업은 이렇게 해야하는 거구나!'라는 큰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지금까지 내가 해 왔던 영업방식을 되돌아보고 잘못된 점을 저자의 조언과 저자가 강조하는 멘탈 트레이닝을 따라 하면서 개선해 나간다면 머지 않아 기대를 뛰어넘는 영업성과를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