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에 읽는 맹자 - 굽이치는 인생을 다잡아 주는 2,000년 마음공부
조형권 지음 / 유노북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서 제 개인 의견을 담아서 작성하였습니다.>

오래 전부터 '공맹사상'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들어왔지만 책을 통해서 공자와 맹자의 사상에 대해서 배운 적은 없었기에 이번 기회를 통해서 맹자의 사상에 대해 배우고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마침 내 나이가 50대 중반에 접어들다 보니 더 늦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도 들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서문에서 맹자에 대해 쓴 내용 중에서 눈에 들어오는 내용이 있어서 언급해본다. "맹자는 공자보다 더 현실적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고, 왕도 정치를 추구했습니다. 왕도 정치는 덕(德)에 의한 정치입니다. 이는 덕치(德治)로 표현되며, 백성을 사랑하는 인에 기반합니다. 이를 통해서 백성과 함께 즐길 때 비로소 진정한 군주, 리더가 될 수 있다고 맹자는 주장했습니다." 맹자가 주장하는 이런 리더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앞에는 왜 나타나지 않는 걸까요?

'맹자는 군자라면 흔들리지 않는 마음, 부동심(不動心)을 가져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부동심을 가지기 위해서 '세상에 거리낄 것이 없는 정신적·육체적 기운'인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길러야 한다고 했습니다. 마음이 동요되지 않으면 근심이 닥쳐오더라도 근심으로 여기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심을 갖는다는 게 일반인에게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만 그렇게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을 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한 삶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상대방에 대한 불만이 있다면 나의 입장이 아니라 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역지사지(易地思之), '상대방과 처지를 바꾸어 생각한다'는 말이 <맹자>에서 나오는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역지사지'의 출전이 다름아닌 <맹자>였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다.

'살면서 우리가 용기를 발휘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잘못된 점을 바로잡기 위해 나서는 경우입니다. 다만 문제가 있을 때마다 매번 문제 제기를 한다면 지적을 받는 사람도 거부감을 느낄 것입니다. 아무리 문제가 많다고 하더라도 말입니다. 따라서 문제가 있다면 이를 잘 지켜보다가 시운이 무르 익었을 때 문제를 제기해야 합니다. 파급력을 키우려면 다른 사람들의 공감도 얻어야 합니다.' 잘못된 점을 바로잡고자 할 때 맹자의 조언을 참고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좋은 충고를 들어도 이를 받아들이고 숙성시켜서 내 것으로 만들고 실천하는 것은 오롯이 그 사람의 몫입니다. 맹자와 그의 제자들이라는 훌륭한 선생님을 제선왕, 양혜왕, 등문공은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습니다. 단지 유명한 학자를 옆에 두고 경청하고 있다는 이미지만 광고한 것에 불과했습니다.' 아무리 훌륭한 선생님의 가르침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받아들이고 실천하는 것은 오롯이 그 사람의 몫이라는 말에 전적으로 동감이다. 초나라의 항우가 만약 참모인 범증의 말을 받아들이고 실천했더라면 한나라의 유방에게 패했을까라는 의문이 드는 것도 같은 이유라고 생각한다.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격언을 잘 새겨야 할 일입니다. 겸손하기 위해서는 우선 귀를 열어야 합니다. 입이 한 개이고 귀가 두 개인 이유는 모두 잘 알지만 막상 실천을 잘 못합니다. 성인이라고 불리는 공자와 맹자, 성군의 대명사 요임금과 순임금은 평생 자신을 낮추면서 상대방을 존중하고, 이를 통해서 종국에는 자신들이 뜻한 바를 이루었습니다.' 이 말은 내가 정말 마음 속에 새겨서 삶 속에서 실천해야 마땅한 말이라고 생각한다. 평소 경청을 잘 하지 못하는 나의 태도부터 바로 잡아나가야 할 것이다.

'지금은 기대보다 아쉬운 결과가 나오더라도 원망하기보다는 수용하려고 합니다. 이것도 마흔 중반 이후 독서를 많이 하고 사색하고 글을 쓰면서 마인드가 많이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제 우물 안에 갇혀 살다가 더 넓은 세상에 다양한 사람들을 책이나 글을 통해서 만나며 감사할 것이 참 많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결국 모든 것에 다 의미가 있다는 점도 알게 되었습니다.' 저자가 자신의 경험담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내가 걸어온 바와 너무나도 흡사해서 많이 놀랐다. 나 또한 마흔 이후 책을 꾸준히 읽고 있으며 글을 쓰면서 생각이 많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잘못한 점은 사과하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사과하는 습관은 감사하는 습관만큼 중요합니다. 물론 겉으로만 사과하는  것이 아닌 진심 어린 마음이 필요합니다. 그것은 가정에서부터 시작해 사회생활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감사하는 습관을 키우는 것처럼 사과하는 습관을 키운다면 아름다운 어른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하게 사과하는 어른에게 사람들은 돌을 던지지 않고 오히려 그 용기를 칭찬합니다.' 저자의 이 말에도 나는 전적으로 동감이다.  잘못을 저지르고도 사과할 줄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나도 많기에 사회가 점점 혼탁해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먼저 나부터라도 잘못에 대해서는 진심어린 사과를 할 수 있는 용기를 갖도록 노력해야겠다.

이 책에는 오십의 안목과 지혜를 채우는 맹자 58수가 담겨 있는데, 꼭 나이가 오십 대인 사람만 읽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오십 대가 아니더라도 이 책을 통해 맹자의 지혜를 얻어서 삶을 더욱 굳건하게 지켜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