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어보기 부끄러워 묻지 못한 재무제표 상식 -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던 재무제표 상식 A to Z
이병권 지음 / 새로운제안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업무가 바뀌어 경영관리도 떠맡게 되면서 오랫동안 보지 않았던 회계관련 책들을 다시 읽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재무제표를 제대로 보는 방법을 익히고자 이 책 <재무제표 상식>을 읽게 되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재무제표의 기본 개념에서 시작하여 재무제표를 활용하여 어떻게 회사의 경영상태를 파악하고 투자를 결정해야 할지에 대해 다양한 사례와 함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해주고 있다.

재무상태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채와 자본의 금액적 균형인데, 이를 나타내는 지표가 부채비율이다. 부채비율은 부채를 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안정성 측면에서 부채비율은 낮을수록 좋다. 이익도 중요하지만 현금흐름은 훨씬 더 중요하다. 현금이 없으면 차입금의 원리금상환뿐만 아니라 주주배당금 지급도 불가능해서 투자자로부터 지속적인 투자를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사업의 1차적인 부실은 매출채권과 재고자산 등 영업자산으로부터 발생한다. 장기간에 걸쳐 재고자산이 팔리지 않거나 매출채권이 회수되지 않는다면 심각한 위험에 처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런 영업자산에 전혀 문제가 없는 기업도 때로는 부실위험에 처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과잉투자다.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있듯이 매사에 너무 지나치면 안 된다. 투자자산과 유형자산의 비중과 증가추이를 보면 회사의 성장전략을 읽을 수 있으며 과다여부도 체크할 수 있다.

부채가 위험하긴 해도 무조건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부채가 많다는 것은 역으로 자기자본의 비중이 적다는 뜻이므로 이로 인해 주주 돈의 성과인 자기자본순이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내 돈의 투자수익률을 높이려면 남의 돈을 많이 쓰라는 것인데 이를 부채사용의 레버리지(지렛대) 효과라고 한다.

기업의 생산활동이나 구매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매출총이익을, 영업활동의 성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영업이익을 살펴봐야 하며, 투자나 재무활동에 따른 성과를 따져보기 위해서는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을 체크해야 한다. 즉, 매출액을 기준으로 매출총이익의 비율이나 매출원가의 비율을 전년도와 비교함으로써 당기 제조(매입)원가의 과다투입여부를 알아낼 수 있으며, 사업성과인 영업이익의 크기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과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그리고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을 통해 기업의 전체적인 총 성과를 진단할 수 있다.

우량기업과 부실기업을 구별하는 기준은 매출수익성이 아니라 자본수익성, 즉 "투자된 돈이 제대로 성과를 내는가?"다. 매출수익성이 낮더라도 총자본회전율이 올라가면 자본수익성이 개선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출수익성이 떨어진다면 자본회전율은 높아져야 하고, 반대로 자본회전율이 떨어진다면 매출수익성이 개선되어 서로 보완해줘야 한다.

오랜 만에 회계관련 책을 읽어서 그런지 처음에는 페이지가 잘 넘어가지 않았는데 조금씩 읽어나가다 보니 예전에 읽었던 책의 내용들도 기억이 나고 해서 중간부분을 넘어서부터는 진도가 잘 나갔던 것 같다.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재무제표 상식만 제대로 이해하고 업무에 임한다면 경영관리 잘 한다는 소리를 충분히 들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회사에서 경영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책임자라면 이 책을 한번 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아서 강추한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