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순신의 심중일기 1 - 혁명이냐 죽음이냐 그의 진짜 속마음은?
유광남 지음 / 스타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장군의 뛰어난 활약상에 대해서 너무나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다만 당시 조선의 임금이었던 선조에게만큼은 이순신장군은 훌륭한 부하라기보다는 국민들로부터 신망을 받고 있는 자신에게는 정적과도 같은 존재가 아니었을까? 이 소설의 핵심은 이순신장군이 꿈꾸었던 조선은 어떤 나라였을까?를 상상하는 작가의 복심이 아닐까 싶다.
이순신장군이 의금부 감옥에 갇혀있는 상황에서 이 소설은 시작한다. 이순신장군을 설득하여 새로운 '이순신의 나라'를 세우기를 원하는 무리들로 인해 고뇌하는 이순신장군의 심리를 이 소설은 잘 묘사하고 있는 것 같다.
내가 학창시절 국사수업 시간에 배웠던 내용은 이렇다. 이순신장군을 제거하기 위한 일본의 계략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선조가 이순신장군에게 출전명령을 내렸으나 일본의 계략일수도 있음을 간파한 이순신장군이 뒤늦게 출전한 것을 명령불복이란 죄를 씌워 이순신장군을 체포하여 의금부 감옥에 가뒀다. 감옥에서 이순신장군의 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모진 고문을 했지만 끝내 이순신장군은 허위자백을 하지 않았고, 정탁의 상소문에 힘입어 방면되어 백의종군을 하게 되었다. 백의종군을 하던 중 원균이 칠천량해전에서 참패하여 조선의 수군에게는 고작 판옥선 12척만이 남게 된 상황에서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되었다. 그 이후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명량대첩이 있었고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였던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장군은 적의 총탄에 맞아서 전사했다.
이 책에서는 이순신장군이 의금부 감옥에 갇혀있는 상황에서 사야가 김충선을 비롯한 수많은 사람들이 이순신장군을 살리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사야가 김충선이 이순신장군을 구출하기 위해 영의정 서애 유성룡, 병조판서 오성 이항복, 도원수 권율장군 등을 만나서 설득하는 장면이 정말 눈물겨웠다. 일본인이었지만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귀화한 항왜장수인 사야가 김충선. 이순신장군에게 새로운 '이순신의 나라'를 세울 것을 주장하지만 이순신장군은 김충선의 제의를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1권에서는 이순신장군을 구출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갖은 노력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2권에서는 정말 이순신장군이 '새로운 이순신의 나라'를 세울 것인지 아니면 꿈으로 그칠 것인지 자못 궁금하다. 빨리 2권을 읽어봐야겠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