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을 품고 슬퍼하다 - 임진왜란 전쟁에서 조선백성을 구한 사명대사의 활인검 이야기
이상훈 지음 / 여백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어렸을 때 사명대사와 서산대사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를 보면서 임진왜란 당시 나라(조선)를 구하기 위해 승병들을 이끌고 왜병들을 물리치던 모습을 보면서 아주 통쾌했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사명대사와 서산대사의 이야기를 소설책으로 읽게 되니 영화보다 더 생생한 기록을 통해 비록 소설이기는 하지만 두 큰 스님의 위대함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소설 앞 부분에 사명대사가 승려가 되기 전에 사랑했던 두 여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만약이기는 하지만 사명대사의 첫 사랑이었던 아랑이 비명횡사하지 않고 살았더라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사명대사는 등장하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사명대사(속세 이름 임응규)에게는 슬픈 일이었으나 조선 백성들에게는 사명대사의 존재가 아주 다행스런 일이었다.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의 전공을 보게 되면 아마 많은 사람들이 나와 같은 생각을 하지 않을까 싶다.

 

"사명은 저절로 미옥에게 고개를 숙였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사랑이다. 미옥처럼 아낌없이 줄 수 있는 사랑이 진정한 사랑이다. 상대에게 무엇을 바라고 하는 사랑은 진정한 사랑이 아니다. 사명은 미옥을 통해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를 깨달았다."

 

"사명은 신라의 고승 원광법사를 떠올렸다. 원광법사는 신라가 위기에 처하자 나라를 지키는 화랑들에게 살생유택의 계를 설파했다. 그러니 백성을 살리기 위한 살생은 부처님도 용서하실 것이다. 살리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살생은 살생이 아니다. 살생유택이다. 사명은 그날 염주 대신 칼을 들었다."

 

이 책에서 사명대사는 명나라의 이여송장군과 일본의 가토 기요마사에게도 존경받는 인물로 그려져 있는데, 정말 위대한 선승임에 틀림없는 것 같다.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이여송장군이 조선의 관군은 못 믿어도 조선의 승병은 믿을 수 있었다고 이 책에서 기록하고 있는데 당시 조선이 얼마나 엉망이었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임금이 나라를 버리고 명나라로 도망가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하니 이미 조선은 망한 나라나 다름없었을 것이다. 의병과 승병들이 나라를 지키겠다고 나서지 않았더라면 아마 조선은 망했을 것이고, 현재의 대한민국도 없지 않을까 생각하니 아찔하다.

 

"'고향에서 멸시받는 조선인 포로들이 자유롭게 살 수 있는 마을을 만들자.' 사명은 이에야스가 선물한 모든 것을 절에다가 맡겼지만, 그것을 포로들을 위해 써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는 이에야스가 준 명주 2만 필을 모두 팔아서 고향 밀양에 조선인 포로를 위한 마을을 만들었다. 미옥도 그곳에 정착하게 하였다. 사명의 소문을 듣고 전국에서 차별받던 조선인 포로들이 밀양으로 몰려들었다. 그것이 아직도 남아 있는 밀양의 일본인 마을이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임진왜란 당시 죽어간 수많은 조선 백성들의 울부짖음을 듣는 것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끔찍한 장면이 떠올려졌다. 지금도 마찬가지이지만 전쟁은 이 땅에서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현재 푸틴이 우크라이나를 침고하여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데, 이 책에서도 언급했듯이 후세의 역사가들은 푸틴을 일본의 토요토미 히데요시와 같은 평가를 할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우리가 일본의 식민지였을 때는 일본과 경쟁 상대가 되지 않았어. 그러나 지금의 한국은 이미 일본을 뛰어넘고 있어. 우리는 아직도 식민지였을 때의 박탈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나는 그것에서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해. 지금 세계시장에서 우리나라와 일본이 협력하면 미국도 중국도 우리를 감히 넘볼 수 없는 상황이야. 그래서 진정한 파트너로서 협력해야 냉정한 국제질서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야." 나도 이 주장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이제 우리나라는 반일이 아니라 극일을 해야할 때인 것이다. 지나치게 과거의 패배주의적인 인식에서 벗어나서 일본과 협력을 통해 밝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 때다.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냉전을 이용하는 정치지도자들이 나는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나서 조선이 '숭유억불'정책을 썼기 때문에 임진왜란 당시 엄청난 전공을 세운 승병들의 기록이 부각되지 않았고, 사명대사와 서산대사의 이야기도 크게 회자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안타까웠다. 이 책을 통해 우리 국민들이 반일정서에서 벗어나서 극일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