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경제 101 - 구독모델을 활용하는 39가지 방법
스노우볼랩스 지음 / 스노우볼랩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인지 우리 일상 속으로 구독경제가 자리를 잡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다양한 품목의 구독경제 서비스가 시행이 되고 있는 것 같다. 내가 어렸을 때는 신문과 우유를 구독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요즘은 면도기와 면도날에서부터 꽃, 그림, 과자 등에 이르기까지 정말 다양한 것 같다. 이 책은 구독경제를 소개하면서 구독모델을 활용하는 39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내가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내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신사업 모델을 찾고 있는데 아무래도 이 책이 도움이 될 것 같아서이다.

 

"구독경제는 현재진행형이다. 수많은 기업이 구독경제를 공부하고 있다. 많은 기업과 사람이 구독 상품과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미 충분한 사례가 나왔다. 이 책은 우리의 삶이 어떻게 변하고 있고, 우리가 어떤 기회를 마주하고 있는지 이야기한다. 이를 통해 기업과 고객, 구독자를 이해하고자 한다. 구독경제의 세계를 함께 살펴보자."

 

"SaaS 기업은 어떨까? 소프트웨어 개발은 오래 걸린다. 막대한 자금을 넣어야 한다. 출시 후 실적이 기업가치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런데 구독 모델은 완전히 다른 효과를 빚어낸다. 기업은 고객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살피며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구독자 이탈을 최소화하면서 더 좋은 소프트웨어로 진화할 수 있다는 뜻이다. 구독 모델은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이 크게 도약하는 발판이 되었다."

 

"새로운 산업은 신조어를 만든다. 폭음과 폭식을 의미하는 빈지(Binge)와 본다는 뜻의 워치(Watch)가 결합한 '빈지워치'는 단기간에 TV프로그램 등 콘텐츠를 몰아서 보는 행위를 뜻한다. 사람들은 왜 영상 콘텐츠를 몰아보는 걸까? OTT(Over The Top)는 넷플릭스같이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는 TV서비스를 말한다. 구독경제의 핵심인 OTT산업에는 넷플릭스를 선두로 새로운 경쟁자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매월 구독료를 받는 비즈니스 모델을 내세우고 있다. 고객은 구독한 OTT 내 콘텐츠를 모두 즐길 수 있다."

 

"구독 모델은 일회성 구매 패턴의 고객보다 충성 고객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어낸다. 그런데 고객은 쉽게 떠난다. 사업자는 압도적인 서비스를 만들어 독점적, 독과점적 지위를 차지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받았다. 기업은 아주 저렴한 가격이나 압도적인 개인 맞춤형 서비스 혹은 매우 우수한 품질 중 적어도 하나는 확보해야 한다. 소프트웨어와 콘텐츠에서 촉발된 구독경제 모델은 이제 오프라인으로 퍼지고 있다. 면도기, 생리대, 책, 이불 등 일상생활용품은 대표적인 상품군이다. 이제 막 발을 뗀 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기대어 여러 스타트업이 혁신을 선보이고 있다."

 

"구독 모델은 정반대 길을 걷는다. 계획적 구식화보다는 지속적인 개선에 방점을 찍었다. 구독 모델은 고객이 어쩔 수 없이 새로운 제품을 사게 하지 않는다. 오히려 고객의 불만에 귀 기울이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한다. 매출이 단기적으로 준다고 해도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데 가치를 둔다. 그러한 행위가 장기적 이윤으로 돌아온다고 믿기 때문이다. 소비자 기만은 그들의 방식이 아니다."

 

"장기 구독자를 확보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구독경제의 힘은 고객의 반복 구매에 있다. 필리에서 받은 영양제가 집에 쌓이고 있다면 머지않아 구독을 해지할 가능성이 크다. 영양제가 남았는데 또 살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고객에게 영양제를 계속 먹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고 그 행동을 유도하는 법을 고안하는 것은 필리의 성장에 필수다."

 

"구독 모델은 저렴한 가격만으로는 성공하기 어렵다. 톤28은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관을 중심에 둠으로써 장기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했다. 과거 사람들이 소비자 역할에 충실했다면 지금의 고객은 소비자이자 감시자이자 조력자다. 제품만 좋다고 성공하는 시대는 지났다. 비도덕적이거나 자연 파괴적인 행위를 하는 기업은 가치를 잃게 되고, 사람과 자연을 소중히 하는 기업은 공고한 경제적 해자를 파나갈 것이다."

 

이 책에서는 3장부터 6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구독서비스에 대해 소개를 하고 있다. 3장에서는 큐레이션 구독을 소개하면서 꾸까(꽃), 오픈갤러리(그림), 월간가슴(여성 속옷), 월간과자(과자), 그린릴리(제철과일), 월간펫띵·미유파우·구독캣·콩박스(반려동물용품), 스티치픽스(의류), 윙크·술담화(주류), 손오공·비츠박스·바베쿡(육아) 등의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4장에서는 서비스 구독을 소개하면서 런드리고(세탁), 노블메이드(고급타월), 키드픽(아동복), 서프에어(항공서비스), 레저 미(일본관광산업), 원메디컬(의료서비스), 수퍼(집수리·관리) 등의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5장에서는 콘텐츠 구독을 소개하면서 넷플릭스(OTT), 이모티콘플러스(이모티콘), 퍼블리(콘텐츠), 뉴욕타임스(디지털뉴스), 모닝브루·뉴닉·고스트·스티비·메일리(뉴스레터), 헌트어킬러·데드볼트 미스터리 소사이어티(미스터리 박스), 아마존 오더블(오디오북), 마스터클래스(온라인 강의) 등의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6장에서는 IoT구독,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연결에 대해 소개하면서 허스크바나(야외 정원 장비), 펜더(전기악기 및 연주법), 펠로톤(운동콘텐츠), 텔라닥(의료서비스), 룸(폰 부스, 미팅룸, 포커스 룸), 테슬라(프리미엄 커넥티비티, 오토파일럿, FSD(Full Self Driving)), 고프로(영상저장), 현대셀렉션(자동차) 등의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나는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전 세계적으로 구독경제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는 소식은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다양한 분야의 구독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는 것은 자세히 모르고 있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다양한 구독서비스를 참고하여 내가 몸담고 있는 회사의 신사업모델을 구독서비스에서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도 구독서비스의 범위와 시장점유율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하지 않을까 싶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