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삼국지
임창석 지음 / 아시아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부터 중국의 '삼국지연의'에 깊이 빠져서 삼국지연의와 관련된 다양한 책들을 읽고 있다. 최종 목표는 퇴직 후 중국으로 '삼국지 문화기행'을 떠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즘 중국어 공부를 새로 시작했고, 삼국지 관련 책도 꾸준히 읽고 있다. 그런데, 한국인으로서 우리나라의 역사를 등한시할 수는 없다고 생각되어 이 책 <한삼국지>를 읽게 되었다. 나는 학창시절 국사시간에 삼국시대 역사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배운 기억이 없다. 삼국을 통일한 통일신라에 대해서는 고구려, 백제에 비해 다루는 내용이 많았던 기억은 있지만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고대사에 대해서는 제대로 배우지 못했던 것 같다.

책의 앞부분에서는 고구려가 수나라와의 싸움에서 크게 승리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평원왕과 영양왕의 뛰어난 리더십이 고구려를 승리로 이끌었던 것 같다. 어느 나라든지 위기에는 영웅이 탄생하는 법. 고구려에서는 온달장군, 을지문덕, 연개소문 등의 명장이 있었고, 평원왕, 영양왕, 영류왕 등의 훌륭한 왕이 있었기에 대륙을 지배한 고구려의 기상이 현대의 우리에게 이어지고 있는 것 같아서 고구려 이야기를 읽을 때는 기분이 고조되는 느낌을 받게 된다.

안타까웠던 것은 고구려 영류왕이 당나라와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화평책을 유지하려고 했지만 연개소문의 반대로 연개소문과의 불화가 깊어지게 되어 비극적인 결말을 맞게 된 점이다. 그 후 연개소문의 강경책으로 인해 당나라와의 결전이 불가피해졌고, 안시성 성주인 양만춘장군의 탁월한 전술 덕분에 당나라 이세민의 대군을 막아낼 수 있었다. 하지만 전쟁이 할퀴고 간 고구려의 상처는 깊고 아팠다. 고구려의 상황은 악화되고 있었고, 신라는 이때를 놓치지 않고 당나라와 동맹을 맺는다. 신라군이 황산벌에서 백제군을 물리치고, 당나라와 신라의 연합군은 백제를 멸망시켰고, 당나라 군은 백제의 의자왕과 백제의 수많은 백성들을 당나라로 끌고 갔다.

백제가 멸망한 후 고구려에서는 연개소문이 병석에 눕게 되고, 연개소문의 자제들간의 내분으로 고구려는 자멸하고 만다. 백제의 뒤를 이어 고구려마저 멸망하자 나라를 잃은 백성들은 중심점을 잃고 흩어졌다.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뒤 신라는 당나라와의 연맹이 깨지고 서로 전쟁을 하게 된다. 신라의 문무왕은 당나라 군사들을 몰아내기 위한 효과적인 무기가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고 있었고, 당나라 군사들의 쇠뇌보다 훨씬 더 멀리 나가고 철갑을 뚫을 수 있는 강한 쇠뇌를 제작하였다. 결국 매소성의 전투와 기벌포 해전에서 크게 패한 당나라는 신라에 대한 침공을 완전히 단념하게 되고, 서로 전쟁에 대한 사과와 친서를 보내 화친을 맺었다.

"고구려와 백제라는 이름은 사라졌어도 그들의 고유한 관습과 지혜는 백성들의 마음 속에 남아 후손들의 영혼이 되었고, 신라인의 이해심과 어우러져 미래의 역사가 되었다. 시간은 역사를 지워나가지만 역사는 인간들의 생명력을 먹고 다시 태어났다. 인간들이 흘린 피와 눈물들은 역사를 발효시켜 흔적이 되었고, 영웅들이 내쉬었던 숨결들과 지략들은 승화되어 문명의 발자취로 남았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중국에 비해 국토의 면적이 비교도 되지 않을만큼 작은 우리나라가 수나라, 당나라의 거대한 중국과 싸워 이길 수 있었던 데는 왕과 신하들, 그리고 백성들이 합심단결할 수 있게 만든 위대한 리더십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지금 우리나라가 비록 남북으로 나뉘어 갈등과 대립의 관계에 있지만 통일이 된다면 과거 거대했던 고구려의 영토를 수복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동아시아에서 강대국으로서의 위용을 되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언제쯤 통일이 될지...갑갑할 따름이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