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 - 나로 살아가기 위한 든든한 인생 주춧돌, 논어 한마디
판덩 지음, 이서연 옮김 / 미디어숲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아직 논어를 완독해 본 적이 없다. 단지 논어에 관련된 책을 몇 권 읽었을 뿐이다. 그런데 논어는 읽으면 읽을수록 깊이가 느껴지고 좀 더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 같다. 이 책 <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는 저자가 논어에 관해 쓴 세 번째 책이라고 한다. 첫 번째 책이 <나는 불안할 때 논어를 읽는다>였고, 두 번째 책은 <나를 살리는 논어 한마디>였다. 

 

"공자의 '논어'는 사람 마음 속을 파고든다. 그 감동은 나이 불문이다. 어떤 난관에 부딪힐 때 공자는 '논어'를 통해 해답을 제시한다. 공영방송국에서 내 능력을 펼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 괴로워하는 나를 지켜준 공자의 말은 바로 이것이다."
- 군자는 도를 도모하지, 먹을 것을 도모하지 않는다.
- 군자는 도를 걱정하지, 가난을 걱정하지 않는다.
- 다른 사람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 걸 걱정하지 말고, 내가 다른 사람을 알아주지 않는 걸 걱정해야 한다.

 

혁신이라는 것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다. 기자는 혁신이 아니라고 말했지만 '기존 요소들을 새롭게 조합해'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것이 바로 '혁신'이다. 나도 혁신에 대한 저자의 정의에 동의한다. 이 세상에 완전히 새로운 것의 탄생이라는 것을 기대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만족감을 지연하는 힘은 아주 중요한 능력이다. 일반 사람들은 배움에 싫증을 내고 무언가를 가르쳐주면 당장 보답을 얻기를 원한다. 즉각적인 반응이 없다면 사람들은 일을 쉽게 포기한다. 좀 더 큰 일을 할 수 없는 이유는 만족감을 지연하는 능력이 낮기 때문이다. 내가 지금까지 저자의 지적처럼 행동을 했던 적이 많은 것 같다. 즉각적인 반응이 없을 때 쉽게 포기했던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이제부터는 좀 더 큰 일을 할 수 있도록 만족감을 지연하는 능력을 키워나가야겠다.

 

한 사람의 도덕적 수준과 됨됨이를 이해하려면 그가 사적인 장소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지켜봐야 한다. 우리도 자신이 집에서 어떻게 행동을 하는지 생활하며 맞닥뜨리는 각종 스트레스와 짜증을 긍정적으로 대면할 필요가 있다. 출근했을 때 동료들을 진심으로 대하고 집으로 돌아가면 가족들에게도 진심으로 대해야 한다. 자신을 단속하고 다른 사람을 진심으로 대하며 공손하게 행동하고 적극적으로 소통할 때, 우리의 삶은 비로소 화목하고 편안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나는 밖에서의 행동에 비해 가정에서 아내에게 진심으로 대하지 못했던 것 같아서 이 글을 읽으면서 많은 반성을 했다. 앞으로는 밖에서나 집에서나 늘 진심으로 사람들을 대하도록 노력해야겠다.

 

도에 뜻을 두어야 한다는 공자의 말은 진리를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생의 목표를 물질적인 속박에서 벗어나 세상의 이치를 탐구하는 데 두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뉴턴, 아인슈타인, 노자와 같은 사람이 바로 도에 뜻을 둔 인물이다. 이들은 우주의 이치와 인생의 의미를 알고자 했다. 사사로운 이익에서 벗어나 큰 포부를 가지면 인생이 무료하지 않고 추구해야 할 길이 끝이 없어 정신적으로 완벽한 만족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 책에는 주옥같은 문구가 정말 많이 담겨 있는 것 같다. 공자는 2천년을 뛰어넘어서 현재에도 많은 이들에게 훌륭한 가르침을 전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논어에 담겨있는 깊이있는 내용을 다 이해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지만 이 책을 통해 앞으로도 논어와 관련된 책을 꾸준히 읽으면서 좀 더 공부를 하도록 이 책이 내겐 큰 동기부여를 해주는 것 같다. 도에 뜻을 두어야 한다는 공자의 말을 삶 속에서 꾸준히 실천해 나가면서 나도 도에 뜻을 둔 삶을 살아가도록 노력해보고 싶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