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양장) - 버려서 얻고 비워서 채우다 글항아리 동양고전 시리즈 7
노자 지음, 김원중 옮김 / 글항아리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71장 知不知上, 不知知病의 해석에 대단히 실망했다.

두 구절은 서로 대조대구되었으니, 그 내용이 다를 지언정, 같은 구조, 형식의 문장이다. 그러니 전구를 뒤의 不知를 목적어로 해서, "알지 못한다는 것(不知)을 아는 것이(知) 최상이라(上)" 풀이 했다면, 뒤구 역시, 知를 목적어로 하여, 같은 형식으로, '아는 것을(知) 알지 못하는 것이(不知) 병이다(病)' 풀어야 마땅하다. 그런데, 이 책은, 유독 후자의 경우는, '알지 않는 것을 안다 [말]하는 것이(不知謂知) 병이라'고, 전구와 달리, 그 순서를 거꾸로 풀어 내용으로는 사실상 전구와 같은 뜻이다. 그리고 이를 모면하기 위해, 똑같은 不을 놓고도, 전구에선 '못한다'고 풀고, 뒤구에서는 '않는다'고 다르게 푼다. 그래도 부족하기에, 뒤구에서는 원문에 없던 '말한다(謂)'와 같이 노자가 말하지 않은 의미까지 덧붙이고 있다. 그러니 이는 '직역'이 아니다. 

기존 판본으로 보면, 전구는 왕필 주를 따른 것이고, 뒤구는 하상공 주를 따른 것으로, 원문의 어의를 살리기 보다는, 그냥 각기, 보고 싶은 대로 짜깁기해 본 것이라 할 수 있다. 오강남 교수 풀이에 이런 식의 '절충'이 있어, 눈 살을 찌푸리지 않을 수 없었지만, 종교학자고, 전문적인 한학자가 아니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겠다고, 그냥 지나쳤는데, 한학자 마저, 문외한과 똑같이, 이런 식으로 푼다는 건 대단히 실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만일 이렇게 풀려면 아예 하상공 주를 그대로 따라, '알면서도, 알지 않는다고 말하면 최상(知, 不知, 上)이고, 모르면서도, 안다 말하면 병이라(不知, 知, 病)' 했다면 좋았을 것이다. 물론 이는 노자의 뜻이 아니라, 하상공이, [논어] 위정편에서, "알아지는 것이면, 알아지는 것이라 하고(知之, 爲(謂?)知之) 모른다면, 모른다 하는(不知, 爲不知), 이것이 안다 함이라(是知也)"던 공자님 말씀을 따라, 모르면서도 아는 체 함을 경계하고자 한 풀이이긴 하다.

그렇다고, 모두 왕필 식으로 풀자면, 이 구절들은 또 서로 모순이기는 하다. 왜냐하면 '모르는 것을 아는 것(知不知)'이나, '아는 것을 모른다는 것(不知知)'은 결국 모두 '모른다는' 뜻으로, 겨우 그 순서가 다른 것으로, 하나를 최상이라 하면서 다른 하나를 질병이라 할 만한 근거가 딱히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왕필 역시 뒤 구절에만 주석을 붙여, "앎이 (어떤 일을) 지탱하기에 부족한 것을 알지 않으면, 곧 병인 법이라 함이라"고, 즉 앎의 한계를 지적하여, 안다는 것 역시 거의 모름이라, 결국 모름을 모른다는 뜻으로 풀이하여, 이러한 모순을 피하고 있다.

따라서, 다시 노자 판본 비교로, 노자의 원의를 찾으려 했다면, 마땅히 '백서 갑 본'으로 돌아가, "모름을 알면(知不知), 바람직함이 아닌가(尙矣), 모름을 모르면(不知不知) 병이 아닌가(病矣)"라 풀어, 노자 원본이 무엇이고, 노자의 진정한 메세지가 무엇인지를 밝혔어야 했다.

그러니 이 책은, 본장에 대해서는 직역도 아닌데, 논리적 모순을 밝히지 못하여, 철학적 해석도 아니고, 공자에 편향되었으니 객관적이지도 않고, 문자학적의미는 살필 필요도 없었는데 판본상 이설을 교감하지 않았으니 문헌학적 의미를 종합판단한 것도 아니고, 심지어 대구를 무시했으니, 문맥을 살핀 것도 아니다...

 

모르는 것을 모른다 하고, 모르는 것을 아는 것은 이처럼 어려운 일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