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국이 처한 현실을 직시하게 만드는 책이다.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사회 양극화와 고령화에 따른 현재의 상황과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분석한 보고서이다. 사회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경제 관념이 없는 독자들에게는 다소 어려운 책이 될 수도 있겠지만 사회적인 관심이 있는 독자에게는 매우 유익한 책임에 틀림없다.
현재 한국이 처한 상황은 선진국도 아니고 후진국도 아닌 애매한 상황에 와 있다. 후진국처럼 아직도 성장에 목메야 하는 상황이며 선진국처럼 사회 약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안정장치에 투자해야 하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잘못된 길로 들어서면 망하기 쉬운 구조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아직도 선진국들에게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하게끔 만드는 보고서이다.
이 책이 제시하는 통계적 자료는 상당히 방대하며 분석자료 역시 상당한 양을 자랑한다. 결국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보고서이므로 더욱 더 신뢰가 가는 부분이 많다. 우리가 현실적으로 처한 상황이 최악은 아니지만 절대 잘하고 있지도 않은 상태에서 국가는 어떻게 해야하고 국민은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길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복지개혁은 어떻게 해야 하나? 노동개혁은 어떻게 해야 하나? 이러한 복지와 노동/고용을 잘 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재정개혁은 어떻게 해야하나? 크게 이렇게 3가지의 주제를 갖고 쓴 보고서이다. 다소 원론적인 이야기들도 많이 나오지만 정책을 책임지는 윗 사람들이라면 한번 꼭 읽어봐야 하는 책이며 일반 국민으로써도 사실을 정확히 인지하고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누가 뭐래도 '돈'이 최고이다. 즉, 돈이 있어야 복지도 되고 고용도 되고 성장도 된다는 논리이다. 하지만 돈이 많다고 해서 다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 돈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얼마나 많은 사람이 행복하게 잘 살게 되는지 결정된다. 현재의 선진국들 중 북유럽 같은 정책으로 이끌고 가느냐 아님 미국과 같은 정책으로 이끌고 가느냐...그것도 아님 일본처럼 처절히 고통을 받느냐는 앞으로 우리가 얼마나 더 공부를 해야 하느냐와 같은 말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현실을 직시하고픈 독자에게 꼭 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