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 - 빌려주는 사업의 시대가 온다
리사 갠스키 지음, 윤영삼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최근에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업 아이템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이 책 또한 소셜 공유를 통한 사업기회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메시(Mesh)라는 단어는 그물코라는 단어지만 이제는 정의가 바뀐 듯 하다. 사용하지 않는 물건들을 이웃과 공유하여 바꾸던 물물교환의 개념을 사업에 접목시켜 메시라는 형태로 만들어 버렸다.

 

사실 공유 또는 물물교환은 예전부터 있었던 사업의 형태이다. 하지만 예전에 있던 사업은 수익적으로 접근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최근 선풍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소셜네트워크 즉, 트위터,페이스북,그루폰, 등등을 이용하면 평소에 자신이 갖고 있었으나 활용도가 낮은 물건들을 빠른 시간안에 서로 공유시켜 주면서 수수료를 받는 형태의 사업이 수익성이 높다는 것을 여실이 보여주고 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자동차, 의류, 부동산(집) 등의 공유 사업은 벌써 안정 궤도에 들어갔을 정도로 사업이 번창하게 되었고 이외에 이러한 공유 사업이 가능한 다른 분야들도 빠르게 사업이 시작되어 있다. 물론 이는 미국에 한정된 이야기이지만 벌써 유럽에는 확산되고 있고 곧 우리나라에도 정착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사실 우리나라에서도 티켓몬스터나 쿠팡처럼 소셜커머스는 어느정도 자리를 잡은 듯 하다. 그러나 이 책에서 제시하는 자동차나 집 공유 사업은 아직은 미미한 것 또한 사실이다.

 

한가지 우려스러운 점은 이렇게 소셜을 이용한 사업이 성공하여 어느정도 고객층을 확보하면 대기업에게 쉽게 매각한다는 것이다. 결국 사업이 먹튀의 성격이 강하다는 반증도 되니 지속가능한(?)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시류에 편승한 반짝이는 아이디어만 갖고 뛰어들기엔 위험부담이 클 것 같다.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업을 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신선하게 다가올 책이라 생각이 들지만 이러한 공유사업을 잘못하면 쉽게 시장에서 사장될 거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그렇더라 하더라도 지금 세상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소셜사회라는데 이견이 없다면 이러한 곳에서 사업의 아이디어를 찾는 것도 흥미있는 일일 것이다. 최근에 읽었던 크러쉬 잇!(http://shhwang2007.blog.me/60131135705) 이라는 책과 일맥상통하는 내용이 있는 것 같아 같은 관점에서 읽어보면 괜찮을 듯 싶다. 현재와 미래의 트랜드를 읽을 수 있을테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