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을 나온 암탉 (반양장) - 아동용 사계절 아동문고 40
황선미 지음, 김환영 그림 / 사계절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낳은 정보다 기른 정이 더 무섭다라는 말이 있다. 잎싹에게도 낳은 정보다는 알이 부화되기까지 품었던 정, 그리고 정성을 다해 초록머리를 기른 정이 무서웠다. 모성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고 느끼게 해 준 책이었다. 

닭과 오리가 엄마와 자식이 될 수 있을까? 동물들의 세계에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 것이다. 마당에 있던 집오리와 문지기 개, 수탉이 비웃었듯이, 그들의 세계에서는 이해를 할 수 없는 일이겠지만, 인간의 세상에서는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고, 이해할 수 일이다.  

입양이 그렇다. 내 배가 아파서 낳은 아이가 아니고, 오직 사랑과 정성을 다해 기른 정이기에 낳은 정보다 기른 정이 더 무섭다는 말이 나왔을 것이다. 아무리 내가 낳은 자식이라도 잎싹만큼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잎싹은 사랑을 주어야 할때도 알고 있었고, 사랑하지만 떠나 보내야 할 시간도 알고 있었다. 자식은 품에서 떠나 보내는 것이 쉽지 않은데 잎싹은 시기에 맞게 초록머리가 살아갈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초록머리를 떠난 보낸 잎싹의 마음이 부모와 자식이 처음 분리되었을 때 부모가 느끼는 그런 마음이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초록머리가 멀리 날아가는 모습을 보았고, 마지막 자신의 몸은, 족제비에게 내 주었던 잎싹. 그렇게 미워하던 족제비였는데, 족제비에게 물려 가면서도 잎싹은 족제비를 미워하지 않았다.  

"자... 나를 잡아 먹어라. 그래서 네 아기들 배를 채워라" 했던 잎싹. 마지막 귀절을 읽으면서, 이런것이 엄마의 마음이구나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