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가족입니다 - 2005 보림창작그림책공모전 대상 수상작 ㅣ 보림창작그림책공모전 수상작 11
이혜란 글 그림 / 보림 / 2005년 10월
평점 :
가슴 찡하게 읽은 책이다. 여러가지의 눈으로 읽어 본 책이다. 손녀의 입장으로, 며느리의 입장으로 그리고 자식의 입장으로 읽을 수 있던 책이었다.
손녀의 입장으로, 할머니가 참 싫을 것 같다. 장농에서 벌레가 나오고, 밤마다 오줌싸고, 음식장사를 하는 집에서 웃옷을 훌렁훌렁 벗어버리고... 우리 어른들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상황들을 아이에게 이해하라고 하는 것은 좀 힘들지 않을까 싶었다. 하지만, 책속의 아이는 아버지의 말에, 어머니의 말에 묵묵히 우리 가족이니까 이해를 하게 된다. 같이 살면서 깨닫게 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그냥, 가족이니까 소중하다고. 할머니도 가족이니까...
며느리의 입장으로, 안쓰러운 마음도 듣는 어머니일 것이다. 살림이 넉넉하지도 않은데, 중국집으로 운영하고 있는 식당에서 병든 시어머님 모시고 산다는 것이 어찌 쉬운 일이겠는가. 하지만 책속의 며느리는 불평 한마디 하지 않는다. 얼굴 표정도 싫은 내색도 없다. 하지만, 아이들에게 미안해 하는 마음은 전해지는 듯 하다. 어느 어미가 내 자식 불편하게 하고 싶겠는가. 하지만, 남편을 낳아주신 어머니이기에 그리고 가족이기에 묵묵히 힘든 것도 참아내는 며느리의 모습이었다.
자식의 입장으로, 요즘 같은 세상. 긴 병에 효자 없다는 말이 맞다. 병이 길어질수록 사람은 지치게 되어 있다. 요즘 세상에는 병든 부모를 모시고 있는 것은 칭찬을 받을 일도 아닌것처럼 되어 버렸다. 책속의 아들은, 어려서부터 같이 산 엄마가 아니었어도, 딸아이가 할머니랑 같이 살기 싫다고 했어도, 아빠를 낳아준 엄마라서 안된다고 말한다. 가족이기에 안된다는 말이다.
가족이라는 울타리는 나에게 힘을 주기도 하고, 힘듦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가 지치고 힘들어도 지키고 있는 것은, 항상 힘들때만 있는 것이 아니고, 웃음을 줄때도, 행복을 줄때도 있기에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튼튼하게 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저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단단해지길 원하면서...
이 책의 마지막까지 읽으면서 잊혀지지 않는 내용이 있다.
아빠, 할머니 다 시 가라고 하면 안 돼요?
안 돼.
왜요? 아빠 어릴 때도 따로 살았다면서요.
그래도 안 돼. ..... 엄마니까.
할머니는 아빠 엄마거든.
그럼 아빠, 할머니도 우리 엄마처럼 아빠를 사랑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