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밀레니엄 1 - 상 -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ㅣ 밀레니엄 (아르테) 1
스티그 라르손 지음, 임호경 옮김 / 아르테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2012년 8월 21일
제목: 밀레니엄I부: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상, 하)
지은이: 스티크 라르손
옮긴이: 임호경
펴낸곳: 아르테
초판 1쇄 발행 2008년 7월 30일
현재 구판은 절판되고 2011년 뿔(웅진)에서 출간된 개정판이 나와 있다.
이 책 상권 중반까지 읽었을 때쯤 불현듯 어디선가 들은 이야기란 생각이 들었다. 그제야 얼마 전에 얼핏 본 2011년에 개봉한 미국 영화 ‘The Girl with the Dragon Tattoo’의 기사를 본 기억이 났다. 검색을 해보니 아니나 다를까 이 책은 그 영화의 원작이었다. 그리고 알아낸 또 하나의 사실-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것 같지만 나처럼 뒷북치시는 분들이 계실까 해서 소개한다.
작가의 데뷔 삼부작 중 그 첫 번째인 이 책은 2005년에 스웨덴에서 처음 출간되었고, 다른 두 작품도 잇달아 출간되었다. 삼부작인 이 글들은 같은 주인공들이 등장하지만 각각 다른 사건들을 다룬다. 각각의 책에 실린 이야기는 독립적이지만 배경에 깔린 주인공들의 이야기들은 시리즈 전체에 이어져 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시리즈 첫 번째인 이 글부터 읽으시기를 추천한다.
작가인 스티그 라르손은 이 글 삼부작의 원고를 출판사에 모두 넘기고 얼마 있지 않아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죽어서 자신의 책이 출간되는 것이나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끄는 것을 보지 못했다고 한다. 그때 그의 나이 50이었다. 요즘 시대로 치자면 꽤나 젊은 나이인데 그런 일이 없어서 이후 그가 더 많은 글들을 쓸 수 있었다면 어떤 작품들이 나왔을까, 참 궁금하면서도 애석한 일이다.
조금 알아본 바에 의하면 한국책의 제목인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이 원작의 제목과 동일하다. 도대체 영미 출간본의 제목이자 할리우드 영화 제목인 ‘The Girl with the Dragon Tattoo’는 어디서 왔는지 모르겠다.
출간 직후부터 밀레니엄 시리즈는 유럽과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그리고 2009년에는 스웨덴에서 영화화 되고, 작년 2011년에서 미국에서 또 한 차례 영화로 만들어졌다.
책 이야기로 넘어가서, 이 이야기는 경제저널리스트인 주인공 미카엘 블롬크비스트가 한 부패한 금융자본가를 고발했다가 역으로 명예훼손죄로 징역을 선고받은 때부터 시작한다. 그때 은퇴한 재벌 회장인 헨리크 반예르가 그에게 접촉해 온다. 헨리크 반예르는 미카엘에게 37년 전 홀연히 실종된 조카 손녀딸에 대해 마지막으로 조사해주기를 부탁하고 그 대가로 큰 액수의 보상과 그의 현재 처한 상황을 뒤집을 수 있는 정보를 약속한다. 이후, 미카엘은 반예르 일가의 가족사를 추적하며 하리에트 반예르가 사라진 정황들을 하나씩 살펴 나간다.
그리고 그가 사건의 핵심에 조금씩 접근하면서 또 다른 주인공인 리스베트 살란데르를 만나게 된다. 리스베트는 25세의 사회부적응자이자 천재해커로 이 사건에 관련된 조사를 돕다가 점점 빠져들게 된다. 어울리지 않는 듯 어울리는 두 사람이 함께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흥미롭다.
처음에는 전형적인 밀실트릭이 펼쳐지나 했는데 그 예상을 뒤집어진다. 주인공 두 사람은 우연히 뜻밖의 사실들을 발견하게 되고 엽기적인 연쇄살인범을 뒤쫓게 된다. 워낙 유명한 작품이라 긴 얘기가 필요 없을 듯하다. 추리와 스릴러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꼭 한 번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올 초에 우연히 ‘비스트’라는 북유럽 추리/스릴러물을 읽고-같은 작가(들)의 ‘스리 세컨드’가 출간되었다. 조만간 꼭 읽어보고 싶다.-영미소설에서는 느껴보지 못한 재미에 푹 빠졌었는데 그 뒤를 이어 이렇게 좋은 작품을 만나 정말 기쁘다. 정밀한 트릭이나 액션이 가득한 영미소설들과는 달리 이 두 북유럽 작품들은 독자들에게 우리들이 사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사회적 화두들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여운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