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세상을 탐하다 - 우리시대 책벌레 29인의 조용하지만 열렬한 책 이야기
장영희.정호승.성석제 외 지음, 전미숙 사진 / 평단(평단문화사)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부제우리시대 책벌레 29인의 조용하지만 열렬한 책 이야기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이 책은 짧은 독서에세이 여러 편을 모아놓은 것이다. 그 사이사이에 흑백으로 된 사진들이 하나둘 씩 끼여 있어 눈을 즐겁게 한다. 물론 독서나 책과 관계된 사진들이다. 글과 사진이 함께하는 에세이인 셈이다.

 

각각의 에세이는 대여섯 장을 넘지 않는 분량이다. 이 짧은 글에서 글 쓴 이들은 책에 대해, 책읽기에 대해 각자 자신들의 이야기를 한다. 어떤 이는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에 대해, 또 어떤 이는 어떻게 책을 읽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나 자신의 개인적인 독서 체험에 대해 말한다.

 

글을 쓴 이들 중에는 이름을 들으면 알 수 있는 이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이들도 있다. 글 쓰는 일과 관련된 업종에서 일 하는 일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이들도 있다. 이들 29인이 지닌 공통점이라면 책읽기, 독서를 참 좋아하는 것 같다는 단 한 가지다.

재능 있는 책 도둑은 아무 책이나 훔치는 게 아니라 훔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훔친다. 다른 것이 아닌 책을 훔침으로써 문명과 역사에 대한 안목을 넓히며 지식과 감성의 이종교배로 유전자를 개량할 수 있다. 훔친 책은 가슴을 뛰게 하는 긴장이 부작용처럼 곁들여 지고 잘 읽히고 쉽사리 잊히지 않았다. 나보다 수준 높은 책 도둑의 서고에서 동굴 속의 알리바바처럼 넋이 나가 서 있던 적도 두어 번 있다. 그 정선된 보물을 다시 훔침으로써 우리 책 도둑들은 시대정신을 공유한다.

책을 훔치면서 알게 된 진리가 하나 있다. 훔친 책은 언젠가는 도둑질을 당한다는 것이다. 군대에 갔다 왔더니 어떤 녀석인지 그동안 내가 피땀 흘려가며 훔쳐 모은 책만 골라 가져가버렸다. 샀거나 물려받은 책은 귀신처럼 알고 전혀 건드리지 않았다.

(pg 45-46, 성석제 책 도둑의 변명에서)

       

현실 속에서 만난 사람은 상처를 주고, 영상매체나 음성매체 속의 이야기는 스쳐 지나갈 때는 강렬하고 시간이 지난 후에는 막연한 인상밖에 남기지 않는다. 하지만, 책은 날것의 현실과 체험을 문자의 그물로 사로잡아 단단한 의미와 심상으로 가공해서 내게 건네주었다. 시간이 지나도 책에 담긴 언어는 변하지 않는다. 그것은 나를 상처 입히지 않을 만큼 부드러우면서도 나를 매료시킬 만큼 견고하고 아름다운 보석이었다.

(pg. 56, 송경아 이야기를 좋아하면 가난해진다고?’에서) 

   

소설가 이명랑 씨의 도서관 어린이 열람실을 찾아가던 어린 시절 이야기도 인상 깊었고, 장영희 교수님의 문학과 책읽기가 왜 아직도 유효한가에 대한 글도 좋았다.

 

책을 좋아하고 독서를 즐기는 사람들은 항상 다른 이들은 어떤 책을 읽고 있는지 궁금하고 그들의 독서생활에 호기심을 느낀다. 적어도 나는 그렇다. 하지만 내 주변에서 책을 좋아해서 꾸준히 독서를 하는 이들은 찾기 힘들다. 나 같은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출간 목적과 의도를 밝힌 부분을 발췌해서 덧붙인다.

      

, 세상을 탐하다는 이러한 청유형의 독서문화 캠페인의 일환으로 집필된 글들이다. 이 글들은 책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읽을 것인지를 말하고 있다.

(중략)

이 책의 유별난 점은 이 책의 인세 수입을 대한민국의 독서 문화와 도서관 문화를 북돋는 데 쓰기로 모든 필자 분들이 마음을 모으고, 그 인세를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에 기보하기로 하였다는 점이다.

(pg. 203-204, 안찬수 책은 아름답다에서)

  2013413일에  종이책으로 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