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 - 제15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최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당신 옆을 스쳐 지나간 그 소녀의 이름은』, 최진영, 한겨례출판, 2010
- '진짜' 보다 '진짜' 같은 '가짜'들의 온기
여기, 제 이름은‘언나’라던, 그 전에는 ‘이년’, ‘저년’이었다던 소녀가 한 명 있다. 제 나이조차 가늠하지 못하는, 제 이름조차 갖지 못한 그 소녀는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말간 몸으로 덩그러니 서서 나를 마주하고 있다. 그 말간 소녀의 눈에는 잔뜩 독이 올라 있었고, 두 주먹은 피가 새어나올 만큼 꽉 쥐어져 있었다. 하지만 나는 보았다. 자신의 맨 몸을 독한 척, 악한 척으로 잔뜩 감싸고 있지만 무서워 벌벌 떨던 두 다리를. 자신을 도와 달라 속삭이던 작은 입술을.
그렇게 독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스스로 더 독해진 한 소녀의 성장기가 눈앞에 적나라하게 펼쳐졌다. 굉장한 흡인력과 가독성을 가진 이 소설은 분명히 10대(아무리 어려도 10대 이상으로 추정된다.) 소녀의 눈으로, 마음으로 써내려진 글인데도 어디 하나 상큼하거나 재기 발랄한 구석이 없다. 오히려 잔인하고 혹독하다. 소녀의 입에서 흘러나오는 말들이, 소녀가 바라보는 사람들이, 소녀의 눈에 비춰지는 세상의 모습들이 보는 내내 나의 마음을 자꾸만 무너져 내리게 만들었다.
술을 마시고 자신을 때리는 아빠와, 그런 아빠에게 얻어맞고 자신에겐 밥도 주지 않는 엄마를 소녀는 ‘가짜’라고 치부해버린다. 그래서 가짜 아빠와 가짜 엄마를 포함한 세상의 수많은 가짜를 불태워버리고 남는 ‘진짜’, 자신의 진짜 엄마를 만나기 위해 집을 떠난다. 진짜 엄마를 찾으려는 소녀의 결심은 지금 이 추잡하고 아니꼬운 세상의 부정을 의미한다. 하지만 우리는 알게 된다. 소녀의 진짜 엄마는 이 세상에 따로 존재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소녀는 부정하고 싶은 것이다. 자신을 이따위로 내버려두는 이 커다란 세상 자체를. 그것도 아주 무덤덤하게. 소녀의 그런 무덤덤함은 우리 마음 깊숙한 곳을 더욱 크게 울려왔다.
소녀는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황금다방 장미언니, 태백식당 할머니, 교회 청년, 폐가 사내, 각설이패 등 짧은, 혹은 긴 시간 그들에게서 머물며 소녀는 종종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잊은 듯 평화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아이러니 한 것은 소녀가 만나는 사람들은 보고 있자면 하나 같이 가슴 먹먹해진다는 것이다. 그것은 그들이 모두 아주 낮은 곳에서 소리 없이 흐느끼며 고단하게 살아가는 사회 현실 속 인물들이기 때문이었다. 남자(지식인)에게 핍박당하고 자식에게 이용당하고, 세상에게 소외당하고, 가난에 허덕이고, 부모에게 버림 받고……. 하나같이 가엾은 존재들이다. 하지만 그들은 소녀를 행복에 가까운 것에 잠시 머물게는 하지만 결국에는 소녀를 지킬 수도 없는 존재들이다. 그렇게 힘도 없고 가진 것도 없는 미약한 존재들인 것이다. 그래서 소녀를 버렸을 때도, 소녀를 잡지 못했을 때도 그 누구 하나 미워할 수 없는 묘한 느낌이었다. 자의에서 또 타의에서 그들과 이별하며 소녀는 그들을 가짜로 추정해버린다. 눈물을 흘리지도, 슬퍼하지도 않고 어김없이 담담하다. 하지만 나는 그 담담한 모습에서 이별의 상처를 알아버린 소녀를 보게 되었다. 그렇게 소녀는‘누군가 웃기 위해 누군가는 울어야 한다는’ 세상의 쓰디쓴 이치를 깨우쳐간다. 그럴 때면 자신이 지금 해야 할 일이 진짜 엄마를 찾는 일이라, 문득 문득 자각한다. 그런데 그때의 소녀에게는 어떤 의무감만이 남아있을 뿐, 처음 그 절실함은 보이지 않는다. 소녀가 몇 몇 사람들을 만나면서 진짜 엄마를 찾는 일을 잊게 되는 것은 그 순간이 행복했기 때문이다.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가짜’들과의 만남이었으니까. 진짜는 잊어버릴 만큼이나 말이다.
소녀가 찾던 것은 ‘진짜’였지만 소녀 앞에 나타난 것들은 모두 터무니없는 ‘가짜’들뿐이었다. 하지만 소설을 읽으며 나는 세상에 ‘진짜’는 없다는 것을 알았다. 소녀가 그렇게 간절히 찾아 헤매던 ‘진짜’는 어쩌면 소녀가 ‘가짜’라고 간주해버리고 만 수많은 ‘가짜’들이 아닐까? 소녀는 애써 부정하려 들었지만 세상에는 이렇게 부정하고 싶은 진실들이 난무한다. 그 진실을 마주하기 힘들어 우리는 쉽게 외면해버리지만 소녀는 그 현실 앞에 끊임없이 맞서서, 자신의 진실을 찾아내려, 자신의 삶을 살아내려 노력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소녀는 벙어리인척 말을 하지 않았던 것이고, 더욱 악에 바쳐 소리를 쳤던 것이고, 이별에도 눈물 흘리지 않은 것이다. 비록 끝내 소녀는 ‘진짜’를 찾지 못했지만, 소녀는 그 보다 더욱 진실한 삶을 깨우쳤으리라. 많이 춥고, 많이 쓰라리지만 ‘진짜’같은 ‘가짜’들의 온기가 남아있는.
이 소설은 읽는 이에게 따뜻한 위로를 해주거나, 인생에 힘을 얹어주지 못한다. 오히려 읽히는 속도에 비해 마음은 자꾸만 무너져 내리고, 힘에 부치기만 한다. 그것은 마주하고 싶지 않은 현실을 마주했을 때의 느낌과 같다. 이 소설은 그렇다. 시종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소녀의 두 눈을 마주하고 있어야 하니까, 그 눈에 비친 현실을 적나라하게 바라 봐야하니까, 힘이 드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비단 잔인함과 혹독함으로 끝이 나지는 않는다. 이러한 현실 앞에 고단해하고 있을 누군가에게 고개를 살짝만 돌려 바라봐 주자는, 이름 한번 물어주자는 메시지를 가슴에 묵직하게 얹어준다. 그러니 지금 당신 옆을 스쳐갈 그 소녀를 외면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