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줄의 반짝임 - 광고 카피가 알려 주는 일상 속 글쓰기의 비밀 ㅣ 스마트폰 시대의 글쓰기 시리즈
정이숙 지음 / 바틀비 / 2025년 9월
평점 :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 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나이가 들어서 일까. 유일하게 쓰는 글?이 책을 읽고 쓰는 서평인데, 서평을 쓰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책을 이해하는 폭이 좁아져서 일까. 아니면 나의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글 한줄 그 자체가 쓰기 어려워진 것일까. 그래서 인지 요즘 쓰는 서평은 썩 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머릿 속에 맴도는 무엇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글 같달까.. 그래서 읽고 싶었다. 글쓰기가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 내가 쓰고 싶은 그 한 줄을 제대로 쓸 수 있는 것인지. 그런 글을 가장 잘 쓰는 사람은 아마도 광고 카피라이터 일듯. 그래서 이 책을 선택했다.
이 책은 광고 카피라이터로 30년 동안 일해온 저자의 “글쓰기”에 대해 기록된 책이다. 물론 서평을 쓰는 방법은 아니지만, 결국 서평도 내가 읽은 것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하는 글쓰기이니까.
이 책의 각 주제마다 광고카피가 등장한다. 하나씩 등장하는 광고카피를 읽으니,, 이야. 전문가는 정말 남다르다 싶은 생각이 번쩍 든다. 쉽고, 간단하게, 단문으로, 정확하게, 핵심을 찌르는 글들. 최근에는 광고를 제대로 본적이 없다. TV보다는 유튜브로 동영상을 주로보고, 광고는 대체로 “건너뛰기”를 눌러버리니까. 하지만 가끔 눈에 띄는 광고들이 등장한다. ”건너뛰기“의 순간을 잊어버리게 만드는. 대체로 광고카피는 첫 한줄에서 결정된다고하니 아마도 그런 글들이 나의 순간을 채간것 일듯.
그렇다면 그런 ”한“문장은 어떻게 만들수 있을까.
저자는 그 시작을 ”나“로 시작하라 말한다. 나에대해, 내 가족에 대해, 내 친구에대해, 나를 둘러싼 모든 소래를 놓고 한줄씩 써보는 것이다. 가장 잘 알 것같지만 어쩌면 나는 나를 가장 잘 모를 수도 있다. 그런 사실조차 글로써 한 줄을 시작해 보라는 것이다. 다만 그런 글들을 쓸데 맞춤법 지키기는 필수. 또한 적절한 곳에 사용되는 쉼표, 따옴표, 마침표, 이모티콘 등등의 남발 금지! 사실 이부분에 뜨끔했다. 문장을 줄이려는 노력보다는 내가 쓰는 문장엔 장문에 쉼표나 따옴표가 남발하고 있다는 사실이 눈에 보였기 때문이다.
어른이 되고서는 거의 쓰지 않는 의태어나 의성어의 적절한 사용은 문장을 생생하게 만든다는 설명에 그 단어 자체가 참 낯설었다는 느낌이 든 것은 안 비밀.
그리고 평소에도 쓰는 단어나 문장을 다시 돌아보게 했던 “내 문장의 꼴불견“ 파트. 제대로 알고 쓰지 못하는 우리 말에 대한 미안함과 제대로 정리되지 않는 문장의 횡설수설함을 딱 들켜 민망함이 함께 몰려왔던 파트다. 동어반복, 주어, 과잉 존댓말 등은 구어체를 쓸 때 자주 하는 실수인데, 결국은 쓰고 나서 하루정도 지나 다시한번 나의 글을 꼭 읽어보고 수정하는 퇴고의 과정을 거치라는 저자의 충고는 나의 문장을 다시 돌아보게했다. 사실 퇴고의 과정이 참.. 어렵다. 뭔가 내 문장을 내가 다시보는 오그라듬을 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랄까. 아마 내 스스로도 나의 부족한 문장을 회피하고 싶은 것일지도.
결국 글쓰기에 지름길은 없다.
시작이 있어야하고, 그 시작은 “나”로 부터일것, 그리고 매일매일 한줄 씩 써볼것. 타인의 글을 많이 읽어볼 것. 그리고 한줄의 문장도 제대로 쓸 것. 글쓰기 역시 어느날 뚝딱 멋진 한줄은 나오지 않겠지만, 노력하다보면 어느날은 내가 하고 싶었던 내 머릿속에 맴돌던 무엇을 타인의 글이 아니라 나의 글속에 담아낼 수 있지 않을까?!
참고로 이 책을 읽는다고 카피라이터처럼 글 한줄을 뚝딱하고 만들어 낼 수는 없다!
그래도 내가 쓰는 한 줄을 내 마음에는 들 수 있게 쓸 수 있도록 가이드가 되어 줄 수는 있다.
아! 지하철 공사 직원 관계자 분들! 지하철 약냉방 안내문 틀렸 대요~ ”바람의 영향이 적고“ 가 아니고 “바람의 영향이 작고”가 맞는 표현 이래요!! 이 책 p.187 꼭 참고하세요~
굿.
“나는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글로 써서 읽어 보기 전에는 잘 모릅니다.
그래서 글을 씁니다.” P.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