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SG 쇼크 - 흥분한 뇌를 잠재우는 조용한 식단의 기적
캐서린 리드.바버라 프라이스 지음, 문선진 옮김 / 앵글북스 / 2025년 6월
평점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MSG에 대한 유해성 논란은 이미 끝난 줄 알고 있었습니다. 저 역시 WHO와 FDA 같은 공신력 있는 기관의 발표를 믿었고 우리나라의 식약처 또한 그 연구 결과를 근거로 MSG가 안전하다고 했기에 당연히 안심하고 있었죠.
해썹 HACCP 인증을 담당하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조차 공식 블로그에 FDA의 발표를 근거로 들며 MSG가 안전하다는 포스팅을 올려놨으니까요.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나서 그 모든 믿음이 완전히 박살 났습니다.
최근 읽은 책 중 가장 공포스러웠던 책이며 가장 유익했던 책인 MSG 쇼크(원제: Fat, Stressed, and Sick)의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MSG 쇼크는 실리콘밸리의 저명한 생화학자이자 자폐 스펙트럼 진단을 받은 딸을 둔 어머니가 자신의 아이를 치료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다 우연히 식품에 든 MSG의 유해성을 알게 되어 MSG의 유해성과 식품산업계의 은폐를 고발하고 이를 대체할 방법을 제안하는 책입니다.


솔직히 지금도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MSG는 안전하다는 주장과 건강에 해롭다는 주장이 서로 대립하고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여기보다 더 격렬하게 싸우고 있는 미국 커뮤니티에서 MSG 옹호론자들이 흔히 내세우는 주장을 몇 개 정리해 봤습니다.
• 요리에 감칠맛을 더해주는 안전하고 훌륭한 제품이다.
• WHO와 FDA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안전하다
• MSG는 자연에 존재하는 천연 아미노산이다
• 글루타메이트는 혈액뇌 장벽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하다
그런데 여기서 눈여겨봐야 할 점은 MSG의 유해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겐 과학적인 근거나 논문을 대라며 집요하게 댓글을 달며 공격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식품 산업계와 관련된 사람들이 아닐지 의심이 들었습니다.


MSG 쇼크를 읽어보시면 왜 WHO와 FDA의 발표를 아무 의심 없이 믿어서는 안 되는지, MSG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우리 몸에 이토록 엄청난 악영향을 주는지, 혈액 내 글루타메이트 농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면 혈액 뇌 장벽의 염증이 생기고 물리적 변화가 생겨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한 다른 유해 물질까지도 통과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는 걸 아실 수 있습니다.
가장 충격적이었던 건 MSG가 단순히 맛을 좋게 하는 성분이 아니라 엄청난 중독성과 더불어 세포를 사멸시키는 유해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었던 도리토스나 레이즈 같은 과자에만 들어있는 게 아니라 거의 모든 종류의 가공식품에 들어가 있다는 점이었어요. MSG가 끔찍한 이유는 최소 50개 이상의 여러 명칭으로 식품첨가물에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죠.
심지어 아기들이 먹는 분유에도 말이죠!!! 그 이유 또한 철저히 기업의 이익을 위한 겁니다.
식품 업계는 1970년대에 영유아용 분유에서 MSG를 제거했다고 주장하지만, 가수분해된 단백질과 아미노산은 여전히 분유에 첨가되고 있다. 첨가물의 목적은 소장의 글루탐산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여 맛 기호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런 성분을 아이가 처음으로 먹는 분유에 첨가함으로써 MSG가 풍부한 음식에 대한 평생 선호도가 높아지도록 유도한다. P.73
거기에 더해 단순히 식품뿐만 아니라 치약, 구강 청결제, 영양 보충제 등에도 들어있어요. 책 안에 3페이지에 걸쳐 MSG가 함유된 식품 라벨 성분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제가 얼마 전 주문한 단백질 보충제에도 들어있더라고요.... 거기에 파마산 치즈는 물론 웬만한 드레싱에도 다 들어가 있으니 다이어트 식단 짜는 것만으로도 정말 머리 아픕니다.
아스파탐 또한 WHO에서 2B 그룹이고 식약처에서도 안전하대서 제로 음료 많이 마셨는데 이것도 이미 오래전에 글루타메이트와 함께 흥분 독소로 분류됐었다니 꽤 충격이었어요.

저자는 미국 사회 전체가 글루타메이트화 되었다며 이는 비만, 당뇨병, 만성 염증, 자폐증, 각종 중독, 암, 현대 사회를 뒤흔드는 행동 및 인지 문제(우울증, 조현병, 파킨슨병, 뇌전증 등)를 초래한다고 주장합니다. 실제 사례도 있는데 40년간 조현병을 앓아온 사람이 식단을 바꾸고 나서 완전히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하더라고요.

MSG 쇼크의 저자 캐서린 리드는 자신의 딸의 자폐 스펙트럼을 치료하기 위해 MSG에 관해 정말 깊고도 광범위한 조사와 연구를 했고 그 모든 게 이 책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MSG에 대한 진실을 알고 싶은 분들, 자폐증 자녀를 둔 부모님이나 그러한 지인을 둔 분들, 불안장애, 우울증, 조현병, 각종 염증으로 인한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분들은 꼭 한 번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