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은 왜 늙는가 - 진화로 풀어보는 노화의 수수께끼
스티븐 어스태드 지음, 최재천.김태원 옮김 / 궁리 / 2005년 1월
평점 :
절판
노화나 건강에 관련된 책들이 요즘 왕창 쏟아져나오는 듯하다. 하지만 적게 먹고, 채식하고 운동해라 정도의 결론에다가 병원에 자주 가라니, 호르몬 요법을 받으라니 하는 의료업계광고 팜플렛에 불과한 책들이 많다.
그런데 이 책은 노화에 대해 어떤 '확실한' 결론도 없다는 논조로 일관하고 있다. 헤이플릭 한계도 텔리미어의 단축도 아직 노화의 원인으로 보기에는 많이 부족한 메커니즘이며, '날씬한 사람이 오래산다' , '운동하면 노화를 방지한다' 와 같은 언뜻 확실해 보이는 주장도 신빙성이 없다는 것이다. '적게 먹고 채소를 먹으면 오래 산다'는 식의 주장이 많은데, 그 효과도 거의 미미한 수준이며 하버드대학의 30년간의 연구결과 수 십년 조깅을 하는 사람이 겨우 1,2년 더 산단다니 '운동 효과'가 있는지도 의심스럽다는 것이다. 그 30년동안 조깅을 위해 들인 시간과 노력을 감안해보라!. 1,2년은 너무 적은 보상이 아닌가 말이다.
그리고 노화관련 연구는 대부분 쥐를 이용한 것들이라 인간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눈에 띈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보다 '과학책' 답다고 하겠다. 과학은 선거운동이 아니다.
이 책에서 유일하게 '단호히' 천명하는 사실은 285 페이지의 '현재는 어떤 약물이나 생활습관, 운동요법, 식이요법 등으로도 노화를 늦추거나 막을수가 없으며. 어떤 광고나 학설도 온전히 믿기 힘들다.'는 것이다. 장수하고 싶은 분들에게는 꽤나 슬픈 결론이지만, 지금 시점의 우리는 늙고 병들어 죽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받아들이면서, 사회적으로 조금이라도 더 편안히 늙어 죽을 방도를 궁리해보아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여담이지만 이 책의 공동번역자 '최재천'은 요즘 굉장히 책을 많이 낸다. . 그 중에는 ''황우석'과 함께 쓴 '나의 생명이야기'(2005)도 있다. ( 이 책에선 이 책의 저자에게 논문지도를 받았니, 안부를 주고 받는다니 하는 자기자랑을 해대고 있다 )
번역을 직접 해본 사람이라면 아무리 쉬운책이라도 온전히 번역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런데 연구와 강의에도 빠듯할 교수가 이 토록 책을 많이 낼수 있다는것이 놀랍기도 하고, 의심스럽기도 하다. 앞으로 자기 이름을 달고 얼마나 더 많은 책을 낼지 두고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