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선 열차와 사라진 아이들
디파 아나파라 지음, 한정아 옮김 / 북로드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홉살 소녀의 시선으로 인도 사회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소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라선 열차와 사라진 아이들
디파 아나파라 지음, 한정아 옮김 / 북로드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도라는 나라는 얼마나 빈곤에 찌들었을까. 우리는 그와 같은 것들을 힐끔힐끔 본다. 혹은 다큐멘터리를 통해서 깊이있게 보긴 하지만, 이야기 없는 사실들의 나열은 우리가 그 사회가 얼마나 가난한지를 입체적으로 알기 어렵게 만든다. 나는 과거 <세 얼간이>를 읽거나, <슬럽독 밀리어네러> 영화 등. 인도와 관련된 몇몇 콘텐츠를 접한 경험이 있다. ! 하나 더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무한도전>이다. 나는 과거 인도편을 재미있게 본 기억이 있다. 하지만 그 또한 인도의 빈곤을 터치만 했을 뿐, 실랄하게 보여주지는 않았단 것 같다.

이번에 읽은 책 <보라선 열차와 사라진 아이들>은 다르다. 이 책은 엄연히 따지면 추리소설이다. 마치 <명탐정 코난>에서처럼 소년 탐정단도 등장한다. 하지만 이 책에서 다루는 것은 그리 간단하지 않아. 아이들이 사라지고, 이 사실을 다른 아이들이 자신들의 친구를 찾기 위해 헤매는 내용이 큰 골자다. 하지만 이 책은 단순히 추리에만 집중하지 않는다. 인도라는 사회를 가장 입체적으로 보여주는데, 추리소설이란 방법을 이용하는 것 같다고나 할까. 책을 읽는 내내 머릿속에서 떠올렸던 장면 중 하나는 셜록홈즈가 어린이 탐정단을 고용한 것이었다. ! 솔직히 그것은 고용이라고 하기도 좀 그렇다. 홈리스와 같은 아이들에게 돈 몇 푼을 주고, 그들을 경계하는 사람들이 아무도 없으니, 그들을 이용하는 것 이었다.

하지만 이 책에서 어린아이들은 도구가 아니라 직접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다. 물론,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처럼 엄청난 반전이 있다거나 세련된 추리가 등장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스릴리로서, 그리고 인도라는 독특한 배경을 다루는 소설로서. 이 책은 당신에게 달콤한 시간을 줄 것이다. 재미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TL에 어서 오세요 그래비티 픽션 Gravity Fiction, GF 시리즈 19
클레이븐 지음 / 그래비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노벨 스러운 SF를 봤나 배꼽이 빠질 뻔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TL에 어서 오세요 그래비티 픽션 Gravity Fiction, GF 시리즈 19
클레이븐 지음 / 그래비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이가 없는 세상이다. 인권이라는 것은 천부적인 것이다. 하늘로부터 자연스럽게 부여된 게 바로 인권이다. 하지만 그런 인권을 누리기 위해서 만약 자격증까지 따야 한다면. 이것은 재앙이다. 과거 문재인 대통령은 개헌을 하면서 국민이 아니라 그 안에 사람이라는 것을 넣고 싶어 했다. 생명이 아닌 게 다행이긴 하지만, 어쨌거나, 우리나라에서도 시민권을 가진 사람과 시민권을 갖고 있지 못한 사람간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국가는 국만을 보호하기 위해서 자동적으로 그 책무를 해야 하고, 이를 하지 않을 경우 사법부로부터 제재를 받는다. 하지만 이 세상. 체린이 떨어진 31세기 같은 경우에는 전혀 그렇지 않다.

이번에 읽은 책 <FTL에 어서 오세요>는 현재 우리가 사는 세상과 겹치는 면이 적지 않다. 우주적 스케일의 소설이라고는 하지만, 솔직히 이 책에 나오는 주제들은 배경만 우주일 뿐, 우리 주변에서 소소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것들이다. 주인공은 FTL에 고용돼 알바를 하면서 벌어먹고 살고 있으며, 이를 잘 하지도 못해 적지 않게 혼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의 주인공은 이와 같은 환경에 무릎을 그대로 꿇지는 않는다. 어떻게 보면 전형적인 책의 주인공의 모습이기도 하다.

하지만 배경과 어우러져서 이 책의 특징은 독특하다. 한마디로 말해서. 왜냐하면 현대 사회에서의 복잡함이 우주을 통해서 전해온다고나 할까. 또한 특유의 라노벨 스러운 설정들은, 상당히 한국적이기도 하면서도 유쾌하다. 책을 보는 내내 배꼽이 빠질 뻔 했던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래된 유럽 - 당신들이 아는 유럽은 없다
김진경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알던 유럽은 이제 사라지고 있다. 우리가 알던 유럽은 그동안 어떤 나라였던 것인가. ! 질문을 잘못 했다. 우리가 알고 있던 유럽 또한 유럽의 한 부분만을 세련되게 만들어 보여줬을 뿐, 우리는 진정으로 유럽이란 나라를 본 적이 없다. 하지만 거대한 사건 하나에 의해서 유럽이 일정한 경향성을 띤다는 것은 사실일지 모른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몇 천명을 죽이고 지금도 계속해서 사람들을 죽이고 자유를 빼앗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한, 유럽은 기존의 경향성이 좀 더 강한 방향으로 될 것이 뻔하다.

이번에 읽은 책 <오래된 유럽>은 코로나 이후 유럽을 다룬다. ! 하지만 코로나 이후의 유럽이 어떻게 변했는지만을 다루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은 코로나 이전의 유럽의 모습 또한 다룬다. 하지만 이 책에 나온 유럽은 우리가 알던 유럽만큼 그렇게 톨레랑스가 넘친 곳은 아니다. 유럽은 애초에 병들어 있었고, 코로나는 그와 같은 병을 보다 촉진시킨 것이다. 술과 담배가 우리 몸 안에있는 암을 더욱 빨리 자라게 하는 것처럼, 기본적으로 유럽 내에서 이민자에 대한 혐오는 존재했고, 다른 민족에 대한 혐오가 어느 정도 존재했다. 그리고 코로나는 이러한 것들을 화산 폭발하는 전면화 시키고 폭발시켰다. 이 부분이 이 책의 핵심이다.

<오래된 유럽>은 그래서 우리에게 절묘하게 유럽의 어제와 오늘을 알려준다. 그 어제와 오늘이란 만들어진 유럽의 모습이 아니라 어떻게 보면 순수한 유럽의 모습이기도 하다. 날 것 그대로라는 말은 때론 좋게 들리기도 하지만 좋지 않게 들리기도 한다. 이 책에서 보여주는 유럽의 모습이란 이민자에 대한 혐오가 존재하고 어느정도 사회 복지망은 존재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다른 유럽 사회 내의 병폐들과 연동돼 계속해서 악화된느 모습이 이 책에서는 지독하게 잘 그려지고 있다.

그래서 역시 한국이란 나라가 좋구나 라는 것을 다시 한번 떠올린다. 경로 지향성이 강화됐다고 할까. 우리가 알고 있는 유럽은 없다. 특정 지역으로 간다고 해서, 우리는 유토피아를 꿈 꿀수 없아. 유토피아는 우리가 점진적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