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미생물과 산다 - 인류 기원부터 시작된 인간과 미생물의 아슬아슬 기막힌 동거
김응빈 지음 / 을유문화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찌 보면 당연하고, 어찌 보면 이상하다. 미생물이란 것은 말이다. 오늘 나는 논둑에서 일을 하다가 논둑에 사는 수많은 잡 벌레들을 봤다. 물웅덩이라는 결코 깊지도 않은 장은 공간 안에서 수 많은 오만 벌레들이 그 안에서 자신의 생명력을 마음껏 발휘하고 있었다. 복잡하게 생긴 녀석이라고 해봐야 그냥 스케치북에 대충 그려도 될 만한 가는 선형 몸둥아리에 몇 개의 촉수 혹은 털이 난 구조 이상은 아니었다. 비가 오면 순식간에 죽어버릴 이 녀석들. 하지만 이 녀석들은 비가 다시 오면 혹은 주위에 물이 생기면 순식간에 다시 나타난다. 오래전 사람들은 초파리는 공기중에 있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초파리는 언제 어디에서건 나타나니 말이다.

미생물과 산다는 것. 솔직히 유쾌한 일은 아니다. 우리는 이 유쾌하지 않은 동거를 잊기 위해 수도 없이 미생물들을 죽이는 의식들을 한다. 의식이라면 의식. 생활이라면 생활이다. 손씻는 일부터 시작해 세탁 혹은 설거지 등등등. 어쨌던 떨어져 나가는 것은 한정된 미생물들 뿐이다. 그런데 이러한 행위를 문화적으로 반복하면서. 어쩌면 무의식적으로 우리는 미생물과 멀어질 수밖에 없는 것 같다. 미생물의 존재를 인식하기 전에, 우리의 행위, 일상에서 하는 것들 자체가 그들과 가까워 질 수 없다는 것이다. 내가 먹는 음식에 내가 입고 있는 옷에 내가 잠을 자야 하는 비게에. 이렇게 이상한 애들이 붙어있는게 얼마나 이상하냔 말이다. 아무리 미생물이 좋은 애들이라고 하더라도 솔직히 일상에서는 잘 드러내지 않는 이 녀석들의 형태와 행동 때문에 친해지기 힘든 것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

그래도 뭐. 이 세상의 장의사들. 의사들. 인간의 죽음과. 인간 몸속을 누구보다 잘 아는 사람들도 고기를 먹고. 이래저래 잘 살지 않나. 나도 이런 책을 보며. 미생물을 계속 접하면 친해지지 않을까 생각을 해본다. ㅎㅎ. 어쨌든 이 녀석들은 매 순간 새로 태어나도. 나와 함께 살고 있는 녀석들 아닌다. 이 녀석들이 내 몸에 기생하고 있는 생물이라면, 어차피 나란 인간도 지구라는 행성에 기생하는 생물 그 이생 되지 않는다. ㅎㅎ 도진개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랫폼 제국의 미래 -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그리고 새로운 승자
스콧 갤러웨이 지음, 이경식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핵 미사일 발사 버튼을 트럼프가 갖고 있는 것보다, 핵 미사일 버튼을 김정은이 갖고 있는 것보다 더 위험한 상황은 고작 7살 짜리 꼬마아이가 갖고 있는 상황일 것이다. 트럼프 혹은 김정은보다 훨씬 핵 버튼에 대해서 중립적이고 천진난만한 생각을 갖고 있을 아이가 왜 더 불안한 것일까. 그 이유는 아마도 아이가 이것이 얼마나 위험한 물건인지 전혀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세상 누구보다 아름다운 생각을 갖고 있고, 어떤 어른보다 죄를 짓지 않고 살았을 아이에게 전 세계의 평화를 한순간에 깨버릴 수 있을만한 단추가 옆에 하나 놓여 있다는 것은, 솔직히 말해서 에어포스 원에 트럼프와 김정은이 서로간에 로켓맨이라 부르며 서로에 대해 핵단추가 더 크다고 이야기하는것과 비교하여 전혀 안전한 상황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자 여기에 그런 어린 아이같이 사람들의 환상 혹은 꿈을 먹고 사는 회사들이 있다. 흔히 FAANG이라 불리우는 회사들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N은 빼도록 하자. 이 책 <플랫폼 제국의 미래>에서는 N은 나오지 않았으니 말이다. FAAG는 모두 각자의 플랫폼을 갖고 있는 회사들이다. F 페이스북은 세상 사람들을 모두 연결시켜준다는 꿈을 우리에게 심어주었고, A는 이세상의 그 누구도 불편하게 쇼핑하지 않겠다는 꿈을 A 애플은 혁신은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G 구글은 궁금한 것이 있으면 무엇이든지 답해줄 수 있다는 것을 말이다. 이들은 모두 각자의 플랫폼을 갖고 이 플랫폼으로 장사를 하는 회사들이다. 그리고 이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땅을 갖고 거저 돈을 먹고 있는 회사들이기도 하다.

어쩌면 플렛폼을 갖고 있는 회사들은 사회로 따지면 거대한 부동산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 봐도 될 것 같다. 건물을 소유해서 혹은 땅을 소유해서. 이들은 거저 돈을 먹고 있다. 최근 네이버가 댓글 문제로 네이버의 언론사적 기능이 이슈가 되고 있는데, 네이버는 자신은 플랫폼일 뿐이며, 언론사가 아니라고 이야기 한다. 플랫폼 기업들은 다 이렇나 식이다. 자신들은 단순히 플랫폼 기업이라 이야기할 뿐, 사회에 직접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개입하려 하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문제다. 어린 아이에게 핵 미사일 발사 버튼 같은 막강한 힘을 갖고 있는데, 어찌 된건지 이 어린 아이는 자신이 갖고 있는 미사일 발사 버튼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런 위험한게 아니라고 이야기 한다. 그리고 자신은 그런 것에도 관심이 없다고 이야기 한다. 이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하나

<플랫폼 제국의 미래>의 저자 스콧은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제재를 이야기 한다. 틀린말은 아니다. 우리는 ICT부동산 업자들에 대한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 부동산세에 맞먹는. 그런 강력한 규제가 있어야만 이들이 지배하는 각자의 세계에 대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루스 머신 - 블록체인과 세상 모든 것의 미래
마이클 케이시.폴 비냐 지음, 유현재.김지연 옮김 / 미래의창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옛날에 디즈니 만화 동산에서는 욕심쟁이 스쿠루지라는 만화를 방연한적이 있다. 당시 스크루지의 돈 저장고에는 금화가 마치 저수지의 물처럼 저장돼 있었고, 그 금화에는 모두 $라는 표시가 돼 있었다. 당시에는 몰랐으나 중학교 올라가게 되지 $이 달러 표시라는 것을 알게 됐다. 그때 이후로 나는 $표시를 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그리고 몇 년이 더 흘러 대학에서 <시사인>이라는 잡지를 구독하게 됐는데, 거기에서 비트코인 혹은 가상화폐를 이야기하며 $를 되게 매카닉한 그림으로 그려놓은 것을 본 적이 있다. 솔직히 그 때도 해당 기스는 스킵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 라고 물어보면 내가 그 분야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야 알 것 같다. 내가 그때 스킵한 것은 한 시대를 주름잡을 기술을 스킵했다는 것을 말이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비트코인 자체는 스킵해도 됐는데 비트코인을 구현화 시키는 블록체인 기술은 스킵하면 안되는 것이었다.

<트루스 머신>이라는 책을 읽는 내내 내 머릿속에서는 블록체인이라는 글자가 동동 떠다녔다. 강물에 떠내려가는 모래와 자갈들이 유속이 느려지는 강의 하구에서 천천히 멈추듯. 지식 또한 이 정도 책을 읽다 보면 그것이 정보들이 파도처럼 넘실거리는 내 머릿속에서 자리를 잡고 관련 지식들이 정리정돈이 돼야 하는데 이것은 좀체 그렇지 못했다. 지식들의 결합이 아닌, 블록체인 관련 지식들이 내 머릿속에서 N극이 N극을 만난 것 마냥 서로 밀쳐댔다고 하면 그럴까. 어쨌든 좋은 책인 것은 맞지만 왠지 모르게 이해하기 어려운 책이었다.

IT책이어서 그랬던 것 같다. IT분야라는 것이 좀채 머릿속으로 그리기도 쉽지 않고, 손을 이용해서 직접 그것들을 구현해 봐야 하는 것인데, IT기술 분야와 관련된 책을 읽으며 손은 움직이지 않은 채, 머리로만 이해하려니, 이것이 그 한계가 아닌가 싶다.

어쨌든 책 저자에게 미안하다. 비록 이 책은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다른 참고서들을 통해서 반드시 이 책으로 다시 돌아와 읽겠다는 다심을 하게 됐다. 반드시 이 책 내가 다시 읽고 이해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루스 머신 - 블록체인과 세상 모든 것의 미래
마이클 케이시.폴 비냐 지음, 유현재.김지연 옮김 / 미래의창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Wag the dog. 꼬리가 몸통을 흔든다는 금융 용어다. 보통 웩더독은 선물 시장이 현물 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때 이와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나는 이와 관련된 현상을 최근에 본 적이 있다. 바로 비트코인과 관련된 붐을 보면서다.

솔직히 놀랐다. 그정도로 사람들이 비트코인의 주술에 걸릴 줄 말이다. 새로운 화폐의 등장이라고 하면서, 수 많은 젊은이들이 비트코인이라는 가상화폐에 돈을 꼴아 박았다. 그들은 비트코인이 무엇인지 알고 그것에 대해 투자를 한 것일까. 여기어 안다는 것은 단순히 비트코인이 갖고 있는 성질을 안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본질과 사회의 본질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묻는 것이다. 솔직히 나 또한 알지 못했다. 나는 유시민 선생이 jtbc토론회에 나와서 토론하는 모습을 본 뒤에 알았다. 그리고 그때서야 비트코인이라는 것과 블록체인을 분리해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말이다.

비트코인 붐은 어저면 웩더독 현상 이었다. ? 라고 묻는다면 이상하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애초에 비트코인이 붐을 일으켰던 것은 그것이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후에 비트코인의 시세가 떨어지면서 오히려 비트코인을 구현화하기 위한 기술이었던 블록체인이 더 화두가 됐다. 현재 떨어지고 있는 비트코인의 시세를 보면 쉽게 알 수 있겠지만, 비트코인은 몇몇 그것으로 돈을 벌려고 했던 사람들의 환상이 만들어낸 거대한 거품이었다.

반면 블록체인은 다르다. 저번에 한 책에서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서 본 적이 있다. 책에 있는 원리는 알겠으나, 무언가가 잡히지는 않았다. 블록들을 연결시켜놓은 뒤, 그 블록에 정보를 담고, 어떤 거래가 있을 시에 모두가 그 블록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 이것이 전에 내가 책을 보면서 이해했던 블록체인 이었다. 하지만 우리가 과거 수학이나 물 리가 어려웠던 이유는 그것이 도대체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이런 익숙하지 않음은 우리가 그것을 많이 접하고 활용함으로서 일부분 해결된다. 나는 이 트루스 머신 이라는 책을 그러한 관점에서 읽었다. 블록체인이라는 것에 좀더 익숙해 지기 위해서 마이다.

그런데 읽어보니, 역시 이 책을 읽고 난 이후에도 잘 이해가 가지 않았다. 다른 책이 필요한 걸까. 슬프다. 역시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드럽게 여성을 죽이는 법 - 광고는 어떻게 생각과 감정을 조종하는가
진 킬본 지음, 한진영 옮김 / 갈라파고스 / 2018년 4월
평점 :
품절


믿고 보는 출판사에서 이번에는 페미니즘 관련 도서를 내놓았군요. 갈라파고스에서 내놓은 페미니즘 관련 도서는 처음인 것 같습니다. 꼭 읽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