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커밍 페이스북 - 후발주자로 시작하여 플랫폼 제국의 미래가 되기까지
마이크 회플링거 지음, 정태영 옮김 / 부키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마크 주커버그. 그는 이 시대의 혁신의 아이콘이다. 영화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나는 그가 어떤 사람이고, 페이스북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알 수 있었다.

단순히 기숙사에 있는 아이들간에 친구를 매칭해주는 것. 누가 보면 주위에 있는 친구들을 찾아주고, 친구일지도 모르는 사람들을 알려주는 그런 사소한 것인데도 불구하고 페이스북은 세계적인 플랫폼 회사가 됐다.

솔직히 놀라지 않을 수가 없다. 우리나라 같으면 과연 이 것이 가능할까 나는 싶다. 일단, 프로그래밍으로 진지한 장난이 가능 하다는 것이 나를 놀라게 했다. 솔직히 말해서 화학과 아이들이 폭탄을 제조한다든가, 컴퓨터 공학과 애들이 게임을 만들다던가, 토목공학과 애들이 스파게티 면으로 다리를 만든다던가 하는 일들. 이런 것들은 기본적으로 유희와 관련된 것들이다. 유희란 무엇인가. 그것은 우리를 귀신처럼 창조적인 길로 이끄는 유령이나 다름없다. 뇌가 한 부분에 미쳐서 사람들은 그 길로 계속해서 딸려 들어간다. 페이스북을 창시한 마크 저커버그는 그 길을 걸었고, 그 길은 영리와도 관련 되 이었으며, 계적으로 상당한 영향까지 미치기에 이르렀다.

솔직히 이 책을 읽는 내내 우리나라의 상황과 큰 차이가 난다고 나는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우리나라 대학을 가보면 마크 저커버그 같은 아이들은 하나도 없다. 대학생 때 특히 더 말이다. 대학생들은 모두 기업에 들어가려고 노력한다. 창조적인 아이들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어떤 발명품을 만들기보다, 기업에서 원하는 연구들을 하청하는 지경에 있다. 그나마 이러한 것이 조금이나마 덜 한게 서울대 일 것이다. 하지만 서울대 마저도 그렇게... 좀 그렇다. 자신들이 하고 싶은 것을 활발히 펼칠 수 있는 입장은 근본적으로 아니다.

마크 저커버그는 재미로. 학부 시절에 이 위대한 회사의 시초가 되는 것을 만들었다. 일단 그런 천재들은 우리나라에도 널렸겠지만, 자신의 이상을 실제 구현하고, 그것으로 새로운 흐름을 만들 수 있는 환경에 있는 사람이 우리나라에 몇이나 될까. 아마 머리에서 흰 머리가 올라오고, 직장에서 나갈똥 말똥 하는 40대에서 50대의 사람들이 저커버그 같은 꿈을 꾸고 있는 것은 아닐까 나는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라 중남미 1 올라 중남미 1
권선흥 지음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미 대륙. 아직은 미지의 대륙이나 다름없다. 남미 대륙은 미디어에서 많이 소비되고 있을 뿐 아직 남미 대륙이 전세계적으로 갖고 있는 정치적 영향력은 아프리카와 거의 삐까삐까한 수준에 불과하다. 남미 최대의 시장인 메르코수르와 관련된 뉴스가 나오거나, 남미에서 어느 대통령이 당선됐다 혹은 아마존이 파괴되고 있다는 등의 이야기를 제외하면 거의 우리가 남미에 대해서 아는게 무엇이 있을지 당혹스러울 지경이다.

남미. 당신은 무엇이 떠오르는가. 아마존, 아나콘다 (아나콘다가 남미에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동남아에만 있는 것은 아닌지. 그런데 이름을 보면 왠지 남미에도 있을 것 같다), 바나나, 커피, 안데스, 마야, 잉카, 쇠고기, 과일, 원주민 등등등. 남미하면 아직까지 우리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것들은 우리의 시각과 촉각 혹은 미각과 청각을 자극하는 5감과 관련된 것들이다. 하지만 자본주의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우리의 5감이 아닌 우리 5감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 자본이다. 하지만 우리가 남미 시장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 얼마나 되는가. 이것을 알지 못한다면 우리는 그 나라에 대해서 아는게 거의 없다 라고 생각하는게 맞을 것이다. 한 나라를 문화적으로만 안다는 것은, 그 나라가 갖고 있는 중요한 포텐셜을 모두 놓치고 있다고 봐도 될 것이다.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바로 그러한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영향력이다.

나는 <홀라 중남미>를 처음 들었을 때, 이 책 또한 중남미에 관한 관광서적이 아닐가하는 생각을 했었다. 얼마전에 <코카콜라 하바나>라는 책을 읽은적이 있었는데, 그 책은 딱 그랬다. 하바나를 중심으로 해당 국가에 대한 관광 명소 역사적인 것들만을 조명한 책 이었다.

하지만 <홀라 중남미>는 다르다. 코트라에서 다년간 일했던 사람. 그 사람이 남미라는 시장에 대해서 샅샅이 분석한 책이다. 솔직히 이런 책을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 생각이 들 정도로 남미 시장을 노리고 있는 기업에게는 중요한 책이나 다름없을 것이다. 아마 이 사람은 남미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더 강연 요청이나 마케팅 전략 관련해서 더 많은 도움 요철을 받고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병호의 무기가 되는 독서 - 파괴적 혁신의 소용돌이 속에서 무엇을 읽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공병호 지음 / 미래의창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효정 누나는 머리가 좋았다. 그럴만 했다. 누나는 서울에 있는 유명 사립대학을 졸업하고 그 학교에서도 특출난 아이들만 간다는 사회학과에 진학했으니 말이다. 어느날 나는 효정 누나에게 어떻게 그렇게 머리가 좋냐? 라는 말을 한 적이 있었다. 누나 왈. 어렸을 적부터 누나는 책을 많이 읽었다고 했다. 하지만 평소에 누나는 글자 자체를 보지 않는 사람 같았다. 틈만 나면 휴대폰으로 게임을 했지, 그녀가 책을 들고 있는 모습 혹은 글자를 읽는 모습은 한 번도 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그런데 효정 누나와 같은 사람을 살면서 꾀나 많이 만났다. 학벌이 좋지 않아다, 혹은 학벌이 좋아도. 대개 어렸을적부터 책을 많이 읽은 사람들은 뇌가 스펀지처럼 유연한 사람들 이었다. 정말 머리가 좋다고나 할까. 그들이 살고있는 사회적 위치가 어디든 간에 그들은 생각하는 법을 알고 있었다. 일반 사람들이 그냥 시킨것만 하는 것과 달리, 그들은 자신들에게 들어온 정보를 인풋하고, 그것을 자신의 머리에서 해석을 했다. 그리고 그 해석한 내용을 아웃풋으로 내놓는다. 물론 사람들마다 그 해석한 내용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도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조직오 오래 몸을 담은 사람들은 대개 좋은 인풋을 내놓는다. 회사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외향을 갖추고, 그 안에는 자식의 생각이 들어간 결과물로 채워 놓는다.

나는 다독과 정독을 한 사람들은 마치 머릿속에 이지스함이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종종 한다. 100개가 넘는 타겟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듯, 책을 많이 읽은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들어올 어떠한 의문이던지 그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 속도는 느리더라도 분명한 대응을 내놓는다. 일반적인 사람들이 그냉 떼우고 지나가려는 것과 달리, 책을 읽은 사람들은 정말 신기하게도 하나하나에 대하여 신중하고 일정한 방향성이 있는 것들을 내놓는다.

<공병호의 무기가 되는 독서>에서 말하는 무기. 독서가 무기가 된다면 단순히 소총은 아닐 것이다. 내가 앞에서 이야기 한 이지스함과 같은 무기일 것이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우리 인류에게 있어 독서라는 것은 2000년도 전부터 하던 것이다. 과거 사람들이나 현재 사람들이나 이지스함으로 싸우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러면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은 무엇일까. 그 사람들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겨우 소총 한자루로 들고 싸우는 사람들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인지 나는 어디에서나 적용 가능한 무기를 갖고 있는 독서를 하는 사람들의 인생이 책을 읽지 않은 사람의 인생보다 좀더 풍부하고 재밌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ZOOM 거의 모든 것의 속도
밥 버먼 지음, 김종명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사람들은 정지한 것을 찾고 싶어 했다. 절대적으로 정지한 것. 그것이 있어야 사람들은 기준을 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영원불멸한 것. 어쩌면 그것은 살아있는 것도 혹은 죽은겄도 아니기에 정지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동양의 음양오행설과 맞먹을 정도의 이상한 이론인 5원소설 또한 그랬다. , , 바람, 땅 그리고 불. 5가지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보면 자연에 있는 정지한 것 이었다. 생명이 깃들지 않고 늙지도 않았다. 그냥 사람들이 어떻게 해서 만들면 있는 것. 사람들은 이것을 통해서 자연이라는 것을 근본적으로 알려고 했다.

뿐만인가. 사람들은 동적인 의미에서 정지한 것을 또한 찾고 싶어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땅을 세웠다. 사람들이 발을 딛고 서있는 땅은 움직이는 것이 아니었다. 지동설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다. 땅은 움직이지 않고 하늘은 움직인다. 해와 달이 날마나 바뀌고 별은 계절별로 변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땅을 신이 만들었고, 인간을 만물의 최고라 생각했다. 정지했다는 것. 그것언 어쩌면 권력이었다. 모든 것이 정지한 것을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것. 그리고 유일하게 움직이지 않아도 되는 것. 우리가 흔히 고대 혹은 주세와 관련된 영상들을 보면 항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은 움직이지 않았다. 그래서 정지한 것은 권력이었다.

하지만 누구나 알다시피 지금 땅은 움직이고 있다. 그것도 아주 맹렬히 움직이고 있다. 아직 어린 친구들은 땅이라는 거대한 지구가 빠른 속도로 태양을 돌고 있다고만 생각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것이 다가 아니다. 태양은 또 무언가를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돌고 있다. 태양을 중심으로 태양계 행성들이 맹렬히 타원운동을 하고 있고, 태양 또한 우주에서 원운동을 하고 있는 항성중 하나다. 뿐만인가. 그냥 무언가를 돌기만 하는 게 아니라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고까지 있다. ! 이 거대한 땅덩이라들이 무궁무진하게 움직이고 있는데, 이 세상에서 우리가 정지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만한 게 과연 있을까. 우리같이 미미한 것들. 인간도 마찬가지다.

세상 만물은 움직인다. 다만 우리는 정지한게 있다고 믿고 싶을 뿐이다. 우리가 갖고 있는 얄팍한 관념 그리고 느낌으로 세상을 보지 말자. 그렇다면 속도는 무엇인가. 속도라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젤 수 있을까. 우리는 속도를 상대적으로 밖에 젤 수 없다. 하지만 이 상대적이라는 개념은 우리에게 세상을 보는 하나의 강력하고 합리적인 틀을 제시해 주었다.

! <Zoom 거의 모든 것의 속도>는 이와 같이 움직이는 것을 다룬 것이다. 속도는 스펙타클 하다. 어쩌면 정지한 것을 배우는 게 아니라 그리고 알아가는 게 아니라, 속도를 가장 순수한 것. 가장 근본적인 것으로 생각을 하고, 세상을 알아가야 하지 않을까. 이 책이 으 첫 걸음이 당신에게 될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획자의 노트 - 기획에서 보고서 작성, 프레젠테이션까지! 현장에서 바로 써먹는
이성재 지음 / 길벗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기획이라는 것을 해본적이 있었던 것 같다. 그런데 만만치 않았다. 동네 사람들과 함께 하는 영화 상영회 기획이었는데 뭐 하나 쉬운 게 없었다. 시설을 대여하고, 대여된 시설의 장비를 체크하고, 당일날 되는지 확인하고, 홍보 업무를 하고, 홍보 업무를 하는 것이 제대로 돼 가는지 확인하고, 또 막상 당일날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설계하고.

사람들 만나는 일 그리고 그들을 만나서 무엇을 해야 할지 정해놓고 하는 것은 절말 쉬운 일이 아님을 깨달았다. 나는 그 일을 정말 만만히 봤던 것 같다.

기획이라는 것은 한 사람의 머릿속에 있는 상상이 현실로 구현되게 만드는 일이다.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일단 머릿속에서는 모든 것을이 이상적이다. 내가 구상한 것만이 아니라, 당시에 어떠한 위급 상황이 벌어질지 모른다는 것 또한 매우 이상적이다. 단순히 자신이 그린 로드맵 뿐만이 아니라, 자신이 원치 않는 로드맵들 또한 머릿속의 상상으로는 이상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실수 혹은 실패는 그런 에상된 곳에서 오지 않는다.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뒷통수를 후려 치듯 온단 말이다.

미래에 있을 예상하지 못할 일들. 특히 실수조차 예상하지 못할 일들을 위해 우리는 어떻게 준비하고 무엇을 기달야 할까

<기획자의 노트>는 솔직히 말해서 나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책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이 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는 기획이란 것이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행사 혹은 직업상으로의 기호기만이 아니라 나의 일상을 계획적으로 완벽하기 풀어나가고 싶은 기획이 나에게는 필요했다. 단순히 계획에서 끝나는 것으 이나라 나는 인생 전반을 기획하고 싶었다.

크게는 아니지만 그래도 도움이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