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회적 공감
엘리자베스 A. 시걸 지음, 안종희 옮김 / 생각이음 / 2019년 8월
평점 :

“시체 장사나 하는 녀석들!” 세월호 사건이 터진 후 한참이 지났다고 하지만 자유한국당 당우너 혹은 의원들의 입에서 나온 이야기를 듣고 나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한마디로 말해서 공감이 없다는 것을 넘어서 저질 스러웠다. 하지만 저들의 입에서 나온 저질스러운 발언들이 나온 근본적인 원인에는 저들이 사회적 사건에 대한 공감능력이 전혀 없기 때문이 아닐까 나는 생각한다.
공감. 솔직히 나 또한 해당 말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는다. 너무나도 감정적이고, 공감만 있으면 우리가 겪고있는 어려 정치적인 문제들이 모두 풀릴 것처럼 이야기 하는 것들이 나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 나에게 있어 공감은 언제나 후순위로 밀려난 감각이었다.
하지만 후순위는 절대로 그것인 잊거나 혹은 배제해야 한다는 것으로 인식하면 곤란한 것 같다. 앞에서도 이야기 한 것처럼 우리는 공감하는 마음을 잃었을 때, 우리 사회 시민들과 멀어지고, 우리 사회가 가려는 방향과 멀어지며, 끝내 괴물이 정치를 하는 상황을 마주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책 <사회적 공감>을 펼친 이유도 이 때문일 것이다. 솔직히 이 책 <사회적 공감>을 읽고 싶었던 이유는 단순히 세월호와 관련된 사례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흔히들 ‘촌철산인’이라고 이야기 하는 상대편을 깔보고 무시하며 우리 편에게는 막대한 카타르시스 느끼게 하는 발언들이 언젠가부터 불편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 사람들 또한 해당 발화를 하는 이유가 있을 테니까 내가 지지하는 쪽에서 발화되는 것들에는 그들에 대한 공감은 물론 존중 또한 전혀 들어있지 않으며, 사람들을 악마화 했다. 인정하고 싶진 않지만 공감하는 능력 혹은 공감하려는 시도가 38선을 넘어 더 이상 따라갈 수 없는 어떠한 것이 됐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갖게 됐고, 그 이유가 아마 내가 이 책 <사회적 공감>을 신청한 이유가 아닐까 싶다.
이 책은 내가 그동안 생각해 왔던 혹은 막연이 상상해 왔던 공감이란 것을 사회적 그리고 정치적 차원에서 잘 분석하며 그것들이 갖고 있는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서 낱낱이 이야기 하고 있는 책이다. 어쩌면 내가 그냥 훑고 넘어갔을 내용들 혹은 아무 생각 없이 지나가고 있을 공감에 대한 것들은 나는 이 책을 읽는 내내 체계적으로 시스테미컬 하게 생각할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저자의 이야기 대로 책을 읽는 내내 사회적 공감은 세상을 보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으로서 사회적 공감은 타인의 입장에 서야한다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던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