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에 출간된 책 중에서 올해의 책을 보통 고르지만, 나는 올해 출간된 책을 많이 읽지 않았기에 22년에 내가 읽은 책 중에서 올해의 책을 골라봤다. 순서는 그냥 무작위로 적은 것이다.


  1. <옥스퍼드 세계사>, 교유서가, 2020

문명사가 아닌 진정한 의미의 글로벌 히스토리를 쓴, 현 시점에서 가장 완벽에 가까운 세계사 서적이다.




2. 토니 주트, <재평가>, 열린책들

6~7월에 읽으면서 대가의 필체에 감탄하면서 역사의식의 중요성에 대해서 지적 자극을 많이 받았던 책이다. 특히, 20세기의 역사를 어떻게 읽어야 할지에 대해 많은 참조가 되었다.








3. 이정철, <권력 이동으로 보는 한국사>, 역사비평사

이 목록에 있는 다른 책은 서평을 썼는데, 이 책만 서평을 쓰지 않아 조금 자세히 감상을 말해보려 한다.

이 책은 올 1월에 사서 부분부분 읽다 2월에 완독하였다. 이때는 알다시피, 한국에서 중요한 사건을 앞두고 있던 때였다. 한치 앞을 알지 못하던 그때에, 여론의 대세는 지난 5년에 대한 비판적, 회의적 평가였다. 나 자신에게도 과연 그간 개혁은 옳았을까? 라는 물음이 가시지 않았던 때 이 책을 읽었다.(이정철 교수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한국사 연구자이기도 하다, 이분이 쓴 단독 저술은 다 소장하고 있다)

이 책은 7세기경 삼국시대부터 조선왕조의 성립 때까지 정치적으로 중요한 개혁이 행해졌던 역사적 국면을 촘촘히 다룬 책이다. 저자는 아직 개혁이 옳았는지 논하기에는 이르다면서 이 책을 통해 개혁은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났는지 설명한다. 저자의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현재의 정국을 염두에 둔 서술도 많이 보이며, 다각적으로 한국사의 중요한 정치적 전환기를 살펴보는 저자의 촘촘하고 섬세한 분석에 흐릿한 머릿속이 또렷해졌다. 좋은 책은 읽으면 머리가 개운해진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이 내 올해의 책이다.





4. 마사 누스바움, <시적 정의>, 궁리

문학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이론적이면서도 감동적인 필체로 잘 서술하였다. 문학 읽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새로운 감각을 일깨워줄 것이다.

​마사 누스바움은 (흔한 출판사의 상술 문구가 아니라 정말로) 문예이론, 정치학, 페미니즘 이론 등에서 뛰어난 업적을 많이 남긴 학계의 석학인데, 그녀의 다른 저서도 번역이 많이 되어 나왔다.






5. 폴 우드러프, <최초의 민주주의>, 돌베개

매우 탁월한 민주주의 입문서. 민주주의 이념을 일곱 가지로 간결하지만 대범하게 정리하면서도, 주요 논점들을 놓치지 않았다. 민주주의를 공부하고 싶다면, 우선 이 책의 내용부터 숙달하는 게 좋을 것 같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자주 다른 책의 내용과 연결 짓게 되었는데, 좋은 책은 역시 다른 좋은 책들을 불러온다.



6. 매슈 윌리엄스, <혐오의 과학>, 반니

혐오가 만연한 현재에, 혐오와 혐오범죄의 원인과 그 심리를 이해할 수 있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