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가 필요하지 않은 인생은 없다
김애리 지음 / 카시오페아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님의 전작 <여자에게 공부가 필요할 때>를 감명깊게 읽기도 했었고, 블로그도 들락날락 거리며 '참 멋지게 사는 분이다' 하는 생각을 하곤 했었다. 그래서 신간 책 소식을 알게 됐을 때도, 출간 전 연재로 몇편의 글을 읽어보고 나서도 꼭 읽어봐야겠다 싶었던 책. 무엇보다 글을 잘 쓰기 위한 방법을 다른 책이 아니라, 쓰기가 가진 가장 강력한 기능 '치유와 성장과 행복'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소개가 참 마음에 들었다.

 

책에서는 글쓰기가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음을,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한 상처를 치유할 수도 있음을, 끈기있게 써내려 가고 실천할 수 있는 글쓰기에 관해 이야기를 들려준다. 왜 글을 써야하는지 작가님의 경험이나 다른 사람들의 경험들을 빌려 글쓰기가 가져다 주는 이로움을 알려주고, 한 번도 글을 써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여러가지 질문목록이나 메모의 기술, 다른 사람들과 생각을 나눌 수 있는 교환노트 작성하기 등 다 쉽게 실천해 볼 수 있는 것들이라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 같았다. 그 중에서도 필사와 감사일기는 쉽고 간편해 나도 꼭 실천해 보고 싶었다. 더불어 찬찬히 책을 읽다 보면 정말이지 독서와 글쓰기를 하지 않으면 안되겠다는 생각을 마구 일깨워 준다.

 

 

'글을 쓴다'는 행위는 내겐 책, 영화, 드라마등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보고 나선 느낌들과 생각들과 감상들을 그냥 흘려보내고 싶지 않아서 등의 이유로 늘 '도구'에 그치지 않았다. 그래서 한번도 '글쓰기'자체가 가져다 주는 효과와 유익함들을 생각해 적이 별로 없었던 것 같다. 단편적인 글들을 써내려 가면서 생각을 정리할 수 있어서 좋았고, 단어들을 골라가면서 표현을 바꿔가며 쓰는 게 재미가 있었을 뿐. 나도 모르게 그런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서 책에서 언급한 대로, 차근차근 조금씩 마음의 성장을 이루고, 힐링을 하고, 어느 정도 힘을 얻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 책을 읽지 않았으면 어렴풋이 느낄 수는 있었겠지만 모르고 지나치고 말았을지도 모를 일들.

 

 

"한 두번은 절대 모른다. 아무 것도 바뀌지 않는다. 누구든 그럴 것이다. 그러나 한 해, 두 해 지나고 매일 쓰는 시간이 십 년을 넘어서자 인생이 왈칵 방향을 틀었다. 알고 보니 나는 쓰는 내내 아주 미세하게 나를 바꿔가고 있었다. 그렇다고 내가 위대한 진리를 발견했거나 인생의 심연을 밝혀 줄 눈을 갖게 되었거나, 하다못해 관상만 봐도 미래가 보이는 점쟁이처럼 남들의 내면을 잘 보게 되었다는 건 아니다. 그저 나 자신에 대한 이해의 폭이 2차선에서 4차선 정도로 확장되었으며, 그로 인해 남들의 주입한 가짜 행복이나 성공의 이미 말고 내가 정의하는 것들을 영혼 한가운데 문신처럼 새기게 되었음이 전부다.(P53)"

 

난 책에 쓰여진 이 문단 하나만으로도 글을 쓰는것이 나를 포함한 모두에게 필요한 일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나에겐 늘 꼬리표 처럼 따라다니고, 잡힐 듯 하면서도 여전히 잘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같은명제가 바로' 나도 나를 잘 모르겠다'다. 삶을 살아나가고 있고, 생각을 하는 있는 것도 분명히 주체인 '나' 인데 여전히 스스로에 대해서 알쏭달쏭하기만 하다. 이 궁금증에 조금이나마 해답을 얻기 위해서도, 이해를 폭을 넓히기 위해서도 조금 더 깊이있는 글쓰기들을 시도해 보고 싶다. 책의 가이드라인을 따라 또 마음가는데로 하얀 여백위에 연필 한자루를 들고 꼼꼼히 생각들을 채워나갈 수 있으면 좋겠다.

 

결국 글을 쓴다는 건 혼자만의 성찰의 시간 갖는 것. 과거를 돌이켜 볼 수도 있고, 현재를 더 충실히 다질수도 있고,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일이다. 잘 쓰고 못 쓰고를 떠나서 글쓰기가 어느 세계에 혼자 동 떨어진 듯 어렵고 두렵고 거창한 일이 아니라, 그저 나를 향해가는 천천히 걸어갈 수 있는 하나의 길임을 다분히 많이 느꼈다. 제목 그대로 정말 , 글쓰기가 필요하지 않은 인생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