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느리게 더 느리게 - 하버드대 행복학 명강의 ㅣ 느리게 더 느리게 시리즈 1
장샤오헝 지음, 최인애 옮김 / 다연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삶을 살아가는 궁극적인 목적이 바로 '행복해지기 위해서'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나.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든 어떤 과정을 거치며 살아가든 그 과정에, 끝에 행복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행복이라는것이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라서 무엇이라고 한 단어로 딱 정의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누군가가 전하는 행복의 의미, 행복을 찾는 방법이 어떤 것인지 알고싶어 졌다. 그래서 읽게 된 <느리게 더 느리게>. 이 책은 하버드대생들의 마음을 사로 잡은 탈벤 샤하르 교수의 강의 행복학이라고도 불리우는 <긍정심리학>을 바탕으로 쓰여진 글이다. (그러다 보니 샤하르 교수님이 직접 강연하는 행복학 강의가 어떨지 무척이나 궁금해졌다.)
행복은 어디에 있는 가로 시작해 역경과 어려움 속에 숨은 행복을 발견하라 까지 15챕터의 저마다 다른 강의로 나누어져 있고, 한 이야기들이 끝날 때마다 하버드 행복노트라는 간략한 문장들도 쓰여져 있다. 완벽하려고 노력하지 말고, 사소한 잘못이나 실수는 잊어버리고, 자신을 용서하는 법을 배우고, 인생은 여행이지 단거리 경주가 아니기 때문에 인생의 풍경을 즐기며 천천히 걸어야 하고, 성공은 삶의 경유지일뿐 행복이야말로 진정한 목적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참 인상적이었던 인생은 세로가 아닌 가로로 비교해야 한다는 점. 지금의 자신을 예전의 자신과 비교하고, 현대를 과거와 비교하라는 것이었다. 비교 대상이 자신의 과거가 되면 훨씬 풍성하고 행복해 진다는 말이 참 마음이 와 닿았다. 난 더 잘난 다른 사람과 나를 비교하며 나는 행복하지 않다고만 생각했던 건 아닌지 생각해 보게 됐다.
이렇게 여러 강의를 통해서 '행복은 내가 어떤 태도로 살아가느냐에 달려있다' 라는 진부하지만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어떻게 살아가야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라는, 행복을 향한 방법론적인 것들을 많이 알게 되었다. 천천히 속도를 늦추고 너무 물질적인 것들만 추구하지 않으며 자신을 믿고 살아가야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는 것, 많이 들어본 이야기들이고 잘 알면서도 사실 실천이라는 게 쉽지 않다, '맞아, 맞아' 하면서도 생각보다 지켜나가기는 힘든 것들. 역시 거저 얻어지는 건 없다. 노력하고 한걸음 내 딛고 실천할 때야 말로 진정으로 무엇이든 내 손에 잡을 수 있다는 걸 또 다시 한번 느꼈다.
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전해오는 이야기나, 잘 알려진 스티븐 잡스나 베토벤 헬렌켈러등 유명한 인물들의 일화등을 덧붙여 설명을 해준다. 근데 이런 부분들이 그저 보여주기 식으로 나와 있어서 연결들이 좀 매끄럽지 못하기도 하고, 사례에 대한 충분한 설명들이 덧붙여 지지 않은 부분들이 많아서 조금 아쉬웠다. 이런 아쉬운 부분들을 배제하고나면 머리와 마음에 새기고 배워야 할 문장들이 많아서 밑줄 죽죽 그어가며 읽기에는 참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