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 나라의 아이들 ㅣ 초등 읽기대장
심진규.최고봉.정명섭 지음, 정은선 그림 / 한솔수북 / 2024년 8월
평점 :
초등학교 방학 동안 아이와 읽기 좋은 역사동화를 만났다. 고구려, 백제, 신라 세 나라의 찬란한 시간을 지켜내고자 했던 세아이의 이야기는 더위마져 잊게 만들었다.
세계 곳곳에 여전히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 무엇을 지켜내고자 전쟁을 이어가고 있는지. 전쟁의 고통은 고스란히 그 나라의 국민들에게 돌아 간다. 신라의 태자가 지죽량에게 했던 말 처럼 백성들이 헛된 피를 흘려서 고통에 빠뜨려서는 안 된다는 말을 세계 곳곳에서 전쟁을 일으키는 사람들의 귀에 들렸으면 했다. 천년의 역사를 지켜 온 신라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백성들은 지켜 냈다.
망가져 가는 백제를 되살리기 위해 의병이 되기를 결심한 노비 아이 풍, 고구려 벌력천에서 나라를 지키려 용기를 낸 아이 두란, 경순왕 시해를 막으려는 신라의 마지막 낭도 모달, 삼국시대 역사속아이들의 용감한 행동이 어떤 일들을 불러 왔을까.


"백제는 결국 이렇게 망하고 마는 것인가?"
성충은 지난날을 떠올리며 한숨을 내쉬었다.
귀와 눈을 닫아 버린 백제의 왕은 충신을 알아보지 못했다. 백성들의 생활은 점점 궁핍해져만 가는데 아무도 그들의 삶을 들여다 보지 않는다. 이름없이 살아가는 아이에게 '풍'이라는 이름을 지어준 성충이다. 이름 없이 살았던 아이들이 그 시대에는 얼마나 많았을까.
풍은 자신에게 이름을 지어준 성충을 위해 의병이 되고자 한다. 성충의 복수를 위한 풍의 결심은 성공할 수 있을까.

"싸리나무 가지 하나는 쉽게 부러진다. 그러나 여러 개의 싸리나무 가지는 쉽게 부러지지 않는다. 너희도 그렇다. 우리는 오늘 비록 신라군에 점령당했지만, 우리가 이렇게 뭉친다면 곧 회복할 수 있을것이다. 아무쪼록 서로를 아끼며, 고구려 정신을 잃지 않도록 하자."
고구려 마지막 경당에서 배움을 익혔던 아이들. 그들 속에 나라를 지키기위해 용기를 낸 두란 이라는 아이가 있었다. 경단에서 배웠던 무예를 신라군에게 써먹을 때가 온거다. 두란은 신라군이 강변에 나타났다는 소식을 알리기 위해 달리고 달렸다. 숨이 목구멍까지 차 올랐지만 쉬지 안고 달려 치소 경비병에 이 사실을 알렸다. 용감했던 두란의 행동이 고구려를 지켜 낼 수 있을까.

"신라가 사라지고, 고려가 이 땅을 차지하는 것일세. 외적이라면 목숨을 걸고 마지막까지 저항하겠지만 한 핏줄 아니겠는가? 계속 살아갈 백성들만 생각하세."
계속 살아갈 백성들을 위해 태자는 화랑들을 설득할 수 있도록 지죽랑에게 부탁한다. 신라의 삼국 통일 기반을 다진 것은 목숨 걸고 싸운 화랑들이 존재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책을 읽기 전까지는 화랑은 알았지만 낭도는 잘 알지 못했다. 낭도는 화랑을 따르는 무리라고 한다. 낭도 역시 화랑을 도와 신라 천년의 역사를 지켜 내고 있었다. 경순황 시해를 막으려고 쉼없이 달렸던 아이 모달, 신라의 마지막 낭도다.

아이와 함께 읽기 좋은 초등 역사동화 책 #세나라의아이들을 통해 삼국시대 역사를 다시한번 배웠다. 마지막까지 나라위해 용기를 내었던 세 아이의 행동에 아이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자신에게 이름을 지어준 성충의 복수를 위해 무예를 익히는 풍의 모습이 제일 기억에 남는다고 말해주었다.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여름방학, 아이와 시원한 에어컨 바람을 맞으면 재미있는 역사동화를 읽어 보았다. 초등 고학년이 되면서 역사에 관심이 많아진 아이는 쉼없이 책장을 넘겼다. 생소한 단어들이 눈에 띄면 검색을 통해 단어를 이해하면 책을 읽었다. 글 뿐만아니라 그림으로도 삼국시대 세 아이의 모습이 담겨져 있어 책을 읽는 재미를 더했다.
방학동안 아이와 함께 읽기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역사 속에 존재 했던 아이들을 만나는 시간이 무척 흥미로웠다.
#세나라의아이들#삼국시대#역사동화#역사속아이들#교사작가#동화#한솔수북
<이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