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후로 다시 읽는 세계사 - 역사를 뒤흔든 지리의 힘, 기후를 뒤바꾼 인류의 미래
이동민 지음 / 갈매나무 / 2023년 4월
평점 :
'기후는 언제나 인류에게 위기이자 기회였다'
기후의 관점에서 인류를 생각해본적은 별로 없었다. 현재의 이상 기후나 온난화로 인한 환경파괴 정도의 표면적인 것들만 심각성을 느꼈을뿐, 기후로 인해 문명이 바뀌고 인류의 위기와 변화가 닥쳤으리라고는 더욱이 말이다. 이 책은 기후로 인해 변화되어온 역사에 대해 논한다. 색다른 시각에 새로운 정보가 신선한 자극을 준다.
이 책은 지리교육과 교수인 저자의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전쟁사와 지구사에 관심을 가져온 그가 지리와 기후를 접목시켰으니 색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밖에! 저자 특유의 폭넓은 시선은 기후가 얼마나 인류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는지를 그 관계가 얼마나 촘촘한지를 보여준다.
20만여 년 전 인류가 지구 상에 처음 등장했을때만 하더라도 빙하기였다. 인간이 발 디딜 만한 공간은 지금처럼 많지 않았고, 척박한 땅이었다. 하지만 오히려 그러한 환경이 인류를 전세계로 옮겨갈 수 있게 한 요인이다. 자전축이 바뀌면서 사막이 초원이 되고 온난한 기후로 바뀌며 문명이 시작된다. 반면 기후로 인해 문명이 퇴보되기도 했다. 보이지 않는 거대한 힘, 바로 기후가 인류를 만들어 온 것이다.
인류에게 삶의 터전을 마련해준 기후는 현재 상당히 위기를 겪고 있다. 과거에는 기후로 인해 인류가 변화되었다면, 지금은 인류로 인해 기후가 변하고 있고, 그것이 다시 역으로 인류를 향해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 거대한 힘에 도전해서는 안된다. 앞으로도 기후는 인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바꿀 것이다. 기후가 우리를 덮칠지언정 우리가 먼저 그것을 노하게 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지금의 위기가 자연이 우리에게 준 벌이 아닌가 생각된다.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3,000년이 훨씬 넘는 긴 역사를 자랑하던 마야문명은 어째서 그렇게 웅장하고 화려한 유적만 남긴 채 사라졌을까? 아프리카와 마찬가지로, 마야문명에도 중앙아메리카에 드리운 열대수렴대가 그 배후에 있었다.' <책 속에서...>
'인간은 기후를 바꿀 수 없다. 기후는 운명이다. (…) 당신이 태어난 곳의 기후가 당신의 생각, 행동, 식습관, 관습, 국가의 인구 분포, 정치, 경제, 수도의 위치를 결정한다. (…) 실제로 모든 것을 정복하는 것은 바로 기후이다.' <책 속에서...>
#도서협찬 #기후로다시읽는세계사 #이동민 #갈매나무 #역사 #세계사 #기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