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은 안전을 배달하지 않는다 - 배달 사고로 읽는 한국형 플랫폼노동
박정훈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짜장면과 치킨을 주로 배달시켜먹던 우리는 코로나로 인해 거의 모든 음식을 배달시키는 문화를 만들어냈다. 배달앱들은 최고의 매출을 일궈내었고, 라이더라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내었다. 모든 것에는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이 공존하는 법. 이 책은 배달 라이더들의 사고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많은 이들이 라이더의 위험한 곡예 운전을 라이더들의 잘못으로 치부한다. 하지만, 저자는 이것이 AI 플랫폼이 낳은 비극이라 지적하고 있다. 식사시간에 배달료를 더 많이 주고, 갑자기 주어지는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라이더들은 위험천만한 배달을 한다. 배달 수락 횟수에 따라 패널티를 주고, 여러 프로모션으로 임금의 변동성을 증가시켜 성과에 목멜 수 밖에 없는 구조를 만들어 둔 것이다.


실제로 라이더 사망자의 40% 가량은 출근한지 보름 안에 사망을 했다. 익숙치 않은 운전실력으로 그들이 난폭운전을 했을거란 사람들의 예상은 완전히 빗나간 것이다. 초보자들에게 제대로 된 교육이나 지침들이 과연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드는 부분이다.


우리는 편하게 집에서 배달음식을 시켜먹고 그 시장은 어마어마하게 커졌다. 하지만, 그 편리함 뒤로 배달 노동자들의 권익은 아직 초창기 수준에서 답보 중이다. 우리가 누릴 수 있는 편리함만큼 그들에게 더 나은 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배달플랫폼기업은 그들만 배불릴 것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 기업의 책임을 다해야만 한다. 하루 빨리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길 바라본다.


'근로복지공단 자료에 따르면 2016~2018년 총 27명의 청년이 배달을 하다가 사망했는데, 이 중 3명은 첫 출근날, 3명은 이튿날, 6명은 보름 안에 사망했다. 난폭운전을 할 줄도 모르는 초보 라이더가 배달업에 뛰어드는데 그 누구도 그가 배달 일을 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지 않았다.' <책 속에서...>


'배달노동자들은 자발적으로 AI가 제시하는 낮은 가격을 받아들이고, 여러 개의 배달을 수행하면서 장시간 노동을 선택하거나, 높은 배달료를 주는 오후 12~1시, 저녁 6시 30분~7시 30분 사이에 미친 듯한 속도로 달리거나, 갑자기 주어지는 1시간당 3건 배달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신호를 위반하거나, 날씨가 좋지 않은 위험한 도로를 달리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 어느 쪽이든 안전과는 거리가 멀다.' <책 속에서...>



#도서협찬 #플랫폼은안전을배달하지않는다 #배달사고로읽는한국형플랫폼노동 #박정훈 #한겨레출판 #사회정치 #하니포터 #하니포터6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