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가 왜 오염되었는지도 모르면서 환경을 보호하겠다고요?''아.. 내 얘긴가?'라고 순간 생각했다. 환경오염과 보호를 위해 조금이라도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던 내가 이 문장을 읽는 순간 멈칫했다. 과연 나는 알맹이 없는 겉도는 지식만 갖고 있었던 바보였던가?라며 말이다. 화학의 눈으로 보아야만 진정한 지구가 보인다니 새로운 시각에로의 새로운 시도이다. 환경문제는 어제오늘 일도 아니고, 개인이나 기업이나 예전에 비해 인식을 많이 하고 있는 건 사실이나, 여전히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환경 교육이 미흡한 우리나라에서 좀 더 전문가적인 시선으로 환경을 바라보게 할 때 우리의 지구는, 우리의 미래는 완전히 달라질지 모른다. 핵심을 알고 접근하는 것은 전혀 다른 일이기 때문이다. '화학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비로소 지구의 목소리가 들린다!'이 책은 화학적인 관점에서 지구의 환경을 바라본다. 지구의 온난화와 기후변화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플라스틱은 단지 썩지 않아서 문제인건지? 말이다. 우리는 단 하루도 화학물질과 떨어져서 지낼 수 없는 환경에 살고 있다. 매일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방사성 물질도 마찬가지이다. 화학을 알고나면 그것들의 오염경로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들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저자는 지구의 '물질 순환' 시스템을 주요하게 제시한다. 현재는 그 시스템을 인간의 무분별한 화학물질 사용 등으로 제대로 발휘를 못하여 지금의 환경오염이 발생한 것이다. 하여 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지구를 살리는 핵심이라 말한다. 그 큰 틀 안에서 우리가 해야할 일은 이미 알고 있는 작은 실천틀은 물론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구를 바라보고 사랑하는 일 또한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여러 환경문제에 대한 책들은 많지만, 화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니 좀 더 섬세하게 보이는 것 같다. 핵심을 알고 진짜를 위해 행하는 일이 가능하다. 더 많은 이들이 지구를 위해 조금의 실천을 점점 늘려보자. 그러면 우리의 녹색지구가 다시 돌아올 것이다. 이 책은 그 길을 위한 첫 걸음일지 모른다!'환경을 지키는 일은 어떤 물질이 이 세상을 구성하고, 인간이 만들어낸 화학물질에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이들이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아는 데에서 출발합니다.' <책 속에서...> '목표를 지구 시스템의 물질 순환 회복으로 설정하면, 그 다음 단계로 해야 할 일은 쉽게 찾을 수 있어요. ‘어떻게 하면 효율적인 화학물질을 만들 수 있을까?’에서 ‘어떻게 하면 효율적이면서도 지구에 피해를 주지 않는 화학물질을 만들 수 있을까?' <책 속에서...> #도서협찬 #화학의눈으로보면녹색지구가펼쳐진다 #지구환경의미래를묻는우리를위한화학수업 #원정현#지상의책 #갈매나무 #자연과학 #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