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사이와 차이 - 장애를 지닌 언어학자의 인간 존재에 대한 성찰
얀 그루에 지음, 손화수 옮김, 김원영 추천 / arte(아르테)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부류에 속한 존재였다. 하나는 이상한 동물, 또 다른 하나는 낯선 하이브리드 생명체였다.'


수많은 찬사와 감탄을 받은 작품. 이 책은 세 살 때 선천성 근육 질환인 척수근육위축증 진단을 받고 장애인으로 삶을 살아온 한 남자의 이야기이다. 근육이 소실되어서 스무 살에는 두 발로 걸을 수 없고, 서른 살에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을지도 몰랐던 사람.


노르웨이 출신의 81년 생인 그는 오슬로대학교 언어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병은 그를 단단히 만들었고, 정제되고 또 정제된 그의 삶은 언어학적인 시각에서 표현이 되었다.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것은 어떤 것인지 깊이 탐색하며, 다양한 장르로 집필을 하고 있는 그는 많은 이들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다.


'나는 '나'일 뿐이다. 누구도 나를 규정할 수 없다.'


그의 이번 에세이는 노르웨이 논픽션 부문 최초로 노미네이트 될 정도로 극찬 받는 작품이다. 장애로 인해 남다른 시선을 받고 살아온 그의 기억들은 세상과 함께이지만 동시에 또 따로였다. 경계에 서있던 그의 삶이 문장으로 오롯이 정제되어 표현되어진 글들은 우리들은 절대 경험할수도 다다를 수도 없는 단계까지 가 닿아있다.


나만의 삶을 살고 있다는 그의 문장을 읽다보면 적어도 비장애로 평범하게 살아온 것같은 나의 삶을 되돌아보게 한다. 결이 다른 깊이와 넓이에 삶의 여러 방식을 생각하게 하는 그의 이야기는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줄 수 밖에 없다. 인간에 대한 깊은 성찰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대단한 작품임에 틀림없다.


'휠체어 사용자가 된다는 것은 내가 아닌 타인이 되는 것을 강요당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비좁은 길을 지날 때나 묵직한 대문을 지날 때면 협상을 하거나 밀어붙여야 한다. 의도치 않게 나 자신이 방해물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책 속에서...>


'세상 속에서 나와 같은 존재로 살다 보면 계획을 세우는 일이 어느새 일종의 반사작용 또는 자동화된 습관으로 자리를 잡게 된다. 하다못해 물 한 컵을 마시는 일일지 라도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길에 관해 세세히 살펴보거나 미리 계획을 세워야 한다.' <책 속에서...>



#도서협찬 #우리의사이와차이 #얀그루에 #손화수 옮김 #아르테 #사회정치 #인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