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 하버드대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이만열) 지음 / 21세기북스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우리가 가지고 있는 현황이나 문제점을 잘 정리한 책 같습니다. 한번쯤 읽어보고 대한민국을 어떻게 표현하고 나타낼 것인가 각자 생각할 좋은 기회였던 것 같습니다.

우리 스스로 대한민국을 표현하는 방법을 좀 더 넓게 표현하고 나타내는 장을 만들어서 가장 우수한 작품을 찾는 것이 필요한 것 같다. 두가지의 방법으로 대한민국 국민의 입장에서와 외국인의 입장에서~~~

표현하면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더 많이 부각시킬 수 있겠지만 우리가 가지고 있는 한계성을 어떤 식으로든 극복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 같다. 남쪽의 입장이 아닌 한반도의 입장에서 폭 넓게 보았으면 좋겠다. 북방의 대륙적인 기상을 북한이라 뺀 것이 아닌 순수 우리민족의 기상으로 보고 넓게 의미를 확대하였으면 현재보다는 더 쉽고 넓게 표현할 수 있는 것 같다.

강대국의 사이에서 남쪽의 입장으로 보기 때문에 움추리고,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강점을 근시안적으로 보는 것 같다.

전자 산업이나 한류 열풍도 좋지만 고려나 고구려의 넓은 기상을 포함한 민족성을 표현한다면 더 멋진 대한 민국 아닐까 싶다.

참으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우리가 근시안적으로 보는 이유를 알게된 계기였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장점이 많은데 표현 못하는 사유를 생각하는 계기였다.

우리는 조그만한 땅덩어리에 적은 자원, 많은 인구가 있기에 급박하게 살아야 하고 그 경쟁에서 이겨야 하는 숨막히는 세대라는 것이다. 내일도 중요하지만 당장을 살아야 하는 것 때문에 빨리 빨리 가 나오고 당장을 이기고 그 다음을 생각하게 된 것 같다. 이제는 돌이켜 보고 모순을 찾는 시간을 가지고 더 큰 꿈을 꾸어야 한다는 것이다. 수준에 따라 나라도 국민도 변해야 하기 때문이다.

 루스베네딕트가 일본을 표현한 국화와 칼을 다시 한번 생각하고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누구든 연구하고 표현할 수 있는 연구의 대상 국가가 될만한 대한민국이라는 것을

우리나라를 한마디로 표현하기에 적절한 단어를 생각해 본다. 홍익인간, 선비사상, 고요한 나라 등 많이 있다. 더 생각하고 옛날을 포함한 단어를 생각해 보자

 

읽고 토의하는 시간과 새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한 단계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