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 하버드대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이만열) 지음 / 21세기북스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으면서 루스베네틱트의 국화와 칼 이라는 일본을 소개한 책이 생각났다. 일본을 전혀 가보지 않은 역자가 일본을 표현한 글이다. 비교해 보는 것도 이 책을 읽는 재미가 훨씬 증폭될 것이다.

우리나라가 처한 특수성을 감안하면 우리는 항상 움추리고 나를 낮추고 살아가는 습관 등이 나타나는 것은 아닌가 싶다. 과연 남북이 통일이 되었거나 북한이 포함된 우리나라였다면 대한민국을 표현하거나 나타태는 것들에는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리 못하는 현실에서는 어쩔 수 없고 강대국 속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 한번쯤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제는 우리가 우리를 생각해 볼 필요도 있고 남이 우리를 어떤 시각으로 보는지 또 잘못된 점은  고치기 위해서는 왜 그리하였는지, 앞으로 무엇을 하여야 하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이책의 내용은 나는 왜 대한민국을 주목하는가, 한국의 재발견, 발전적 한류를 꿈꾸며, 세계가 한국을 공부하게 하라, 한국의 기술적 유산은 차별적 발전의 원천, 미래 한국의 비젼 으로 기술하였다.

과연 우리는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앞으로 민족성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무엇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한번쯤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코리아 드림을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하여야 할까 또 우리가 가질 주체 사상은 과연 선비정신, 홍익인간 등 나라가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갈 방향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적인 인문학이 가미된 체계적인 정책과 저술이 필요하다고 본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강대국 사이에서 우리만이 가잘 수 있는 대한민국이어야 하고 지속적인 유지를 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에 대하여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과연 대한민국의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지 이제는 정립하고 채워야 할 시기인 것 같다. 

외국인이 보는 시각에서와 대한민국이 꼭 가져야 할 것등을 생각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