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소설 하륜 2
김현빈 지음 / 필맥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속에서 가장 멋진 책사가 아닌가 싶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뜻을 죽을 때까지 펼친 책사이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조선의 틀을 만든 태종의 책사이기에 더욱 관심있게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어떻게 해서 끝까지 살아 남을 수 있었는가를 살펴 보아야 한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책사라고 이야기가 거론되지 않도록 본인 관리를 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왕권주의에서 왕이 갈 길을 정확하게 가르쳐 준 본분을 정확히 알고 있는 책사가 아닌가 싶다.

 왕이 되지 않는다면 결국 2인자이다. 2인자는 영원한 이인자여야 한다는 것이다. 책사 중에서 끝까지 총애를 받고 인정받은 자라고 자부한다.

 하륜은 고려 시대에 태어나 조선시대에 사망한 자로서 정말 많은 우여 곡절이 있었지만 적절한 처신과 함께 사람 볼줄, 미래를 예측할 줄 정확하게 알았다고 본다

 책사가 자신을 나태내는 것이 아닌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지 자신을 위대하게 만들려는 것은 아니였다고 끝까지 주장한다.

 역사적으로 정몽주, 정도전, 이색,이인임, 최영 등과 동시대를 살았지만 크게 평가 되어 지는 인물이다. 조선의 역사에는 정몽주와 정도전을 뺄 수 없겠지만 조선의 왕조 틀을 만든 배후 인물인 것만은 사실이다. 그리고 마지막 생을 자연스럽게 마친 인물이다.

이인자라든가 책사가 되고자 한다면 역시 하륜을 보고 배워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