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자의 길, 이성계와 이방원 ㅣ 이덕일의 역사특강 2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4년 4월
평점 :
정말 태종에 대하여 정확하게 서술한 책 같다. 모두에게 권하고 싶다.
조선이라는 역사에서 이방원을 빼놓으면 의미가 없는 것 아닌가 싶다. 태종을 가장 진솔되게 묘사한 것 같다. 조선이라는 나라가 세워지게 된 것은 이방원 태종이 있었기 때문이다. 문무와 용기와 과감한 행동 등 .....
그러나 우리 역사는 태조와 세종을 부각시키다 보니 ......
정말 왕이라는 지위가 조금이나마 알게 해준 것 같다. 무엇을 하여야 하는지 정확히 서술한 책이 없었는데 ......
속이 후련하다 조선사는 태종을 논해야 한다. 아들로서 왕으로서 아버지로서 가장 고뇌한 인물 아니었나 생각한다. 참 많은 부분들이 가슴을 울렸다. 모두가 다 아는 고려, 조선의 역사이지만 보는 관점에서 또는 시대의 흐름이 특정인을 부각시키다 보니 정작 위대한 왕을 소흘히 한 것은 아닌가 싶은데 상당히 많은 부분을 설명하였다.
인생에 있어서 지위는 호랑이 등에 탄 사람일텐데 그것을 알고 살아가는 사람이 어느 정도일까 싶다.
세종의 르네쌍스는 어찌보면 태종이 뿌린 피를 기반으로 피어난 꽃 아닌가 하는 이야기에 정말 동감한다. 세종은 아버지 태종의 일을 그냥 진행만 하였고 모두 그려 놓은 밑그림 중 일부를 세종은 실행한 왕이었는데 대왕이라는 칭호를 받는다. 굳이 세종대왕이 못했다는 말은 아니라 정말 태종의 밑그림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창업의 왕과 수성의 왕은 달라야 한다. 태종은 이를 정말 잘 알고 누구도 할 수 없는 악역을 자처하고 살아왔고 또 수성을 할 수 있도록 밑바방을 그린 왕이다.
정도전 정몽주 최영 등 정말 훌륭한 인물 들이 많이 있다. 그들에게서도 배워야 한다. 그들의 장점은 무엇이고, 무엇이 문제이고, 어찌 세상은 살아야 하는지
역사는 좀 더 진솔되게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작자에게 감사함을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