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4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 민음사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지 어렵다고 생각한다. 내용도 흐름도 두번쯤 읽어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그 시대의 배경과 역사적 흐름을 잘 알고 읽었으면 조금이나마 쉬웠을 것 같다.

 토마시, 테레자, 사비나, 프란츠 4명의 사랑 이야기라고 하나 난 두명 토마시와 테레자의 사랑 이야기와 주변이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체코의 시대적인 배경 속에서 둘의 사랑 이야기와 주변 사람의 사랑 이야기를 가지고 경중을 비교하는 것 같다

 살아가는 과정에 나에게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나란 인물을 주변 사람들은 어떻게 묘사할까? 나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를 생각해 보아야 할 것 같다. 존재감이 무엇인지 어떤 식으로 살아야 하는지?

 나란 존재는 주변의 여건에서 결정되고 찾아야 한고, 스스로는 긍정의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책 문구중

삶은 항상 밑그림 같은 것이다. 밑그림은 항상 무엇인가에 대한 초안, 한 작품의 준비작업인데 비해, 우리 인생이라는 밑그림은 완성작없는 초안, 무용한 밑그림이다.

우연만이 우리에게 어떤 계시로 나타날 수 있다.

행복없는 쾌락은 쾌락이 아니다.

사랑은 은유로 시작된다. 한 여자가 언어를 통해 우리의 시적 기억에 아로새겨지는 순간, 사랑은 시작되는 것이다.

 

여유가 있을 때 다시 한번 읽고 프라하의 봄을 연상해보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